Presenting the Development Direction Through the Analysis of Tool used to Measure Computational Thinking

컴퓨팅사고력 측정에 사용되고 있는 도구 분석을 통한 새로운 검사도구 개발방향 제시

  • 김민정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컴퓨터교육전공) ;
  • 이원규 (고려대학교 정보대학 컴퓨터학과) ;
  • 김자미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컴퓨터교육전공)
  • Received : 2017.10.24
  • Accepted : 2017.11.28
  • Published : 2017.11.30

Abstract

In order to ensure that the 2015 revised curriculum is successfully settled at the field of school, there are 68 national SW schools operated by 2015 and 2016 at national level, and an inspection tool was developed to measure the effectiveness of SW educ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the direction of the computing thinking inspection tool which can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curriculum from 2018 through the analysis of the previously developed computing thinking inspection tool.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validity of the ability factors to measure the problem solving process based on computing thinking was not enough. In the analysis of the item characteristics, the degree of discrimination was good, but difficulty was not enough to accurately measure the competence of students because of the high percentage of easy questions. Based on the results, this study suggested the development of the items considering the problem solving process based on the computing thinking, the application of the students' empirical knowledge, and the constitution that can confirm the flow of the thinking power with materials in the real life.

2015 개정 교육과정이 현장 학교에 성공적으로 안착할 수 있도록, 국가차원에서 2015, 2016년에 68개의 SW연구학교를 운영하고 SW교육의 효과성을 측정하기 위한 검사도구가 개발되었다. 본 연구는 기존에 개발된 컴퓨팅 사고력 검사 도구 분석을 통해 2018년부터 실시되는 교육과정의 효과성을 검증할 수 있는 컴퓨팅 사고력 검사도구의 방향성을 제시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분석결과, 기존에 사용된 검사도구는 컴퓨팅 사고력 기반의 문제해결과정을 측정하기 위한 능력요소의 타당성은 부족하였다. 문항특성 분석 결과, 변별도는 양호하였으나, 난이도는 쉬운 문항의 비율이 높아 학생들의 역량을 정확히 측정하기는 부족하였다.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는 컴퓨팅 사고력 기반의 문제해결과정을 고려한 문항개발, 학생들의 경험적 지식 활용, 실생활의 소재로 사고력의 흐름을 확인할 수 있는 구성을 제안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성태제(2002). 현대교육평가. 학지사.
  2. 이지연(2014), 초등학교 대상 사고력 교육의 국내 연구동향 분석. 대한사고개발학회, 10(3), 43-65
  3. 교육부(2015). 초중등 교육과정 총론, 2015개정 교육과정 총론. 교육부.
  4. The CSTA Standard Task force.(2011). CSTA K-12 Computer science standards. CSTA
  5. DfE.(2013), National Curriculum in England :frame work for key stage 1 to 4, (www.education.gov.uk)
  6. Zentralabitur KLP (https://www.schulentwicklung.nrw.de/lehrplaene/upload/klp_SII/if/KLP_GOSt_Informatik.pdf), QUA-LiS NRW.
  7. 이원규(2007), ICT리터러시 검사도구 개발 연구, 한국교육학술정보원
  8. The Association for Computing(ACM). The Association for Information System(AIS), and The computer Society(IEEE-CS). The join Task Force for Computing Curricula 2005.
  9. Wing, J. M. "Computational Thinking", Commnication of the ACM, Vol. 49, No.3, pp. 33-35. 2006.
  10. Denning, P. J. "What is Computation?", A Ubiauity Symposium Opening Statement August. 26. 2010.
  11. 김자미(2017). 컴퓨팅사고력 기반의 문제해결 능력. 정보처리학회지, 24(2), 13-21.
  12. 안성진(2015). Computational Thinking에 대한 이해(정보문화포럼 2016년 연구보고서), 서울 : 미래창조과학부, 한국정보화진흥원
  13. 대구광역시교육연구정보원(2017), 컴퓨팅사고력의 요소와 지도방법 알아보기, SW교육 담당교원 역량강화 기초과정.
  14. 교육부(2015). 소프트웨어운영지침. 교육부.
  15. Bring Computationa Thinking to K-12: What is Involved and What is the role of Computer Science Education Community?, Valerie Barr and Chris Stephenson(2011)
  16. 김자미(2017). 2016년에 공표한 일본의 학습 지도요령과 2015 개정 교육과정 총론의 구성 분석. 한국컴퓨터교육학회 논문지, 20(4), 1-14.
  17. 김용민(2017), 초등학교 여학생의 컴퓨팅적 사고력 신장을 위한 앱인벤터 활용 S/W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한국정보교육학회지, 19(4), 385-398.
  18. 오정철(2016), 초등학생의 컴퓨팅사고력 신장을 위한 퍼즐 기반 컴퓨터과학 수업모형 및 프로그램 개발. 한국수산해양교육학회, 28(5), 1183-1197.
  19. 서영호(2016),초등학교 SW교육에서 동료 프로그래밍 교육 방법이 컴퓨팅사고력과 창의성 신장에 미치는 효과 분석. 정보교육학회지, 20(3), 219-234.
  20. 김경민(2017), 컴퓨팅사고력 향상을 위한 정보소양교육에 관한 연구. 한국컴퓨터교육학회 논문지, 20(4), 59-66.
  21. 한옥영(2017), 비전공자 소프트웨어 교육을 통한 컴퓨팅사고력 향상에 대한 연구. 한국컴퓨터교육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21(1), 139-141.
  22. 유인환(2016), 소프트웨어 공학 : 컴퓨팅사고력 신장을 위한 SW 개발 프로세스 탐구. 한국정보처리학회, 5(2), 51-58.
  23. 초등 CT-STREAM교사연구회(2014), CT 기반 초등 융합인재교육(CT-STEAM) 프로그램 개발 적용을 통한 초등학생의 융합적 창의력 신장 방안 모색, 한국과학창의재단
  24. 성태제(2002), 타당도와 신뢰도. 학지사
  25. 윤일규(2010), 정보교과 교수내용지식(PCK) 수준 측정 문항 개발 및 타당화. 한국컴퓨터교육학회 논문지, 13(6), 23-34.
  26. 성태제(2005), 문항반응이론의 이해와 적용. 교육과학사.
  27. 文部科学省(2017), 情報活用能力調査(高等學校) 調査結果. 文部科学省.
  28. 정웅열(2017), 정보교육에서 비버 챌린지(Bebras Challenges)의 활용 가능성과 향후 과제. 한국컴퓨터교육학회 논문지, 20(5), 1-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