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Effects of Active Coping Strategy on Subjective Happiness in College Student: Mediated Effect of Academic Resilience

대학생의 적극적 대처방식이 주관적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학업탄력성의 매개효과

  • Received : 2017.08.16
  • Accepted : 2017.09.18
  • Published : 2017.12.28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in order to test a model in relation to active coping strategy, academic resilience, and subjective happiness in college students. Also, sought to test the mediating effects of academic resilienc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ctive coping strategy and subjective happiness. Data was collected through a self-report questionnaire which was administered to 400 college students. Correlational analysis and structure equation modeling analysis were conducted to test the research model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as the level of active coping strategy increased, the level of academic resilience and subjective happiness increased. Second, as the level of academic resilience increased, the level of subjective happiness increased. Third, the model with active coping strategy as a prophetic variable, academic resilience as a mediating variable, and subjective happiness as a result variable showed a full mediating effect. Thus, although active coping strategy has no direct influence on subjective happiness, it has an indirect effect on subjective happiness by enhancing academic resilienc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provide basic data on research and education for the improvement of happiness in college students and to help them develop educational counseling and training programs for improving their happiness and adapting to college life.

본 연구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적극적 대처방식, 학업탄력성과 주관적 행복감의 관계모형을 설정하고, 적극적 대처방식과 주관적 행복감의 관계에서 학업탄력성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대학생 4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모형을 검증하기 위하여 상관분석과 구조방정식 모형(SEM)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적극적 대처방식의 수준이 높을수록 학업탄력성과 주관적 행복감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업탄력성이 높을수록 주관적 행복감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적극적 대처방식을 예언변인으로, 학업탄력성을 매개변인으로, 주관적 행복감을 결과변인으로 설정한 모형은 완전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적극적 대처방식은 주관적 행복감에 미치는 직접적인 영향력은 없지만, 학업탄력성을 높여서 주관적 행복감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대학생의 행복감 증진을 위한 연구과 교육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 이들의 행복감 증진과 대학생활 적응을 위한 교육상담 및 훈련 프로그램의 개발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Keywords

References

  1. 권석만, "심리학의 관점에서 본 욕망과 행복의 관계," 철학사상, 제36권, pp.121-152, 2010.
  2. M. Argyle, The Psychology of Happiness, New York: Tayler & Francis Inc, 2001.
  3. E. Diener, S. Oishi, and R. Lucas, "Personality, culture, and subjective well-being: Emotional and cognitive evaluation of life," Annual Review of Psychology, Vol.54, No.1, pp.403-425, 2003. https://doi.org/10.1146/annurev.psych.54.101601.145056
  4. M. E. P. Seligman, "Positive Psychology: An introduction," American Psychologist, Vol.55, pp.5-14, 2000. https://doi.org/10.1037/0003-066X.55.1.5
  5. C. Tkach and S. Lyubomirsky, "How do people pursue happiness?: Relating personality, happiness-increasing strategies, and well-being," Journal of Happiness Studies, Vol.7, pp.183-225, 2006. https://doi.org/10.1007/s10902-005-4754-1
  6. E. L. Deci and R. M. Ryan, "The 'What' and 'Why' of Goal Pursuits: Human Needs and the Self-Determination of Behavior," Psychological Inquiry, Vol.11, No.4, pp.227-268, 2000. https://doi.org/10.1207/S15327965PLI1104_01
  7. C. L. M. Keyes, "The mental health continuum: From languishing to flourishing in life," Journal of Health and Social Behavior, Vol.43, pp.207-222, 2002. https://doi.org/10.2307/3090197
  8. R. M. Ryan and E. L. Deci, "Self-determination theory and the facilitation of intrinsic motivation, social development, and well-being," American Psychologist, Vol.55, No.1, pp.68-78, 2000. https://doi.org/10.1037/0003-066X.55.1.68
  9. S. S. Luthar, D. Cicchetti, and B. Becker, "The construct of resilience: A critical evaluation and guidelines for future work," Child Development, Vol.71, No.3, pp.543-562, 2000. https://doi.org/10.1111/1467-8624.00164
  10. A. S. Masten, K. M. Best, and N. Garmezy, "Resilience and development: Contributions from the study of children who overcome adversity," Development and Psychopathology, Vol.2, pp.425-444, 1990. https://doi.org/10.1017/S0954579400005812
  11. S. S. Luthar and D. Cicchetti, "The construct of resilience: Implications for interventions and social policies," Development and Psychopathology, Vol.12, pp.857-885, 2000. https://doi.org/10.1017/S0954579400004156
  12. 김경희, 권재환, "대학생의 학업 및 진로스트레스, 수용행동과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모형 검증," 인간발달연구, 제21권, 제4호, pp.43-60, 2014.
  13. 안진향, 자아탄력성이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적극적 대처방식의 매개효과-, 성신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5.
  14. 서유리, 중학생의 스트레스 대처방식과 학업적 자기효능감 및 행복의 관계, 경성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2.
  15. 이하나, 정현주, 이기학, 이학주, "대학생의 자아 탄력성, 행복감과 스트레스 지각 및 대처와의 관계," 상담학연구, 제7권, 제3호, pp.701-713, 2006.
  16. D. J. Terry, L. Tonge, and V. J. Callan, "Employee adjustment to stress: The role of coping resources, situational factors, and coping responses," Anxiety, Stress & Coping, Vol.8, No.1, pp.1-24, 1995. https://doi.org/10.1080/10615809508249360
  17. 김정문, 불안정 애착이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자동적 사고, 정서 인식, 정서표현 양가성, 스트레스 대처방식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양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0.
  18. 이자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과 스트레스 대처 방식이 대학생의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 지지를 매개로 하여, 대구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3.
  19. 위종희, 조규판, "아동이 지각한 가족건강성, 자아탄력성, 사회적 지지, 스트레스 대처행동 및 심리적 안녕감 간의 구조관계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제14권, 제8호, pp.237-264, 2014.
  20. 김미향, 청소년의 학업 스트레스가 정신적 웰빙에 미치는 효과: 학업탄력성의 조절효과, 경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4.
  21. 전경숙, 정태연, "한국 청소년의 행복을 결정하는 요인들," 한국심리학회지: 사회문제, 제15권, 제1호, pp.133-153, 2009.
  22. K. L. Kumper, Factors and processes contributing to resilience : The resilience framework. In M. D. Glantz & J. L. Johnson(Eds.). Resilience and development: Positive life adaptations (pp.179-224), New York: Kluwer academic, 1999.
  23. R. Loeber, "Development and risk factors of juvenile antisocial behavior and delinquency," Clinical Psychology Review, Vol.10, pp.1-41, 1990. https://doi.org/10.1016/0272-7358(90)90105-J
  24. 구재선, 김의철, "심리적 특성, 생활 경험, 행복의 통합적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제 20권, 제4호, pp.1-18, 2006.
  25. B. E. Compas, V. L. Malcarne, and K. M. Fondacaro, "Coping with stressful events in older children and young adolescents,"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Vol.56, pp.405-411, 1988. https://doi.org/10.1037/0022-006X.56.3.405
  26. 강명희, 이수연, "청소년의 학업스트레스와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희망 및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 청소년학연구, 제20권, 제6호, pp.265-293, 2013.
  27. A. G. Billings and R. H. Moos, "The role of coping responses and social resources in attenuating the stress of life events," Journal of Behavioral Medicine, Vol.4, pp.139-157, 1981. https://doi.org/10.1007/BF00844267
  28. J. Block and A. M. Kremen, "IQ and ego-resiliency: Conceptual and empirical connections and separatenes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Vol.70, pp.349-361, 1996. https://doi.org/10.1037/0022-3514.70.2.349
  29. 김보라, 자아탄력성이 외상후 성장에 미치는 영향: 삶의 의미의 매개효과, 아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0.
  30. 장경문, "자아탄력성과 스트레스대처방식 및 심리적 성장환경의 관계," 청소년학연구, 제10권, 제4호, pp.143-161, 2003.
  31. 최지연, 대학생의 부정정서가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 숙명여자대학교,
  32. 김누리, 학업탄력성척도 개발 및 타당화, 숙명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8.
  33. 손현정, 간호대학생의 MBTI 성격유형에 따른 스트레스 대처방식과 학업탄력성, 가톨릭관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5.
  34. A. J. Martin and H. W. Marsh, Academic resilience and the four Cs: confidence, control, composure, and commitment, Auckland, NZ: University of Western Sydney, Australia, 2003.
  35. A. J. Martin and H. W. Marsh, "Academic resilience and its psychological and educational correlates: A construct validity approach," Psychology in the Schools, Vol.43, No.3, pp.267-281, 2006. https://doi.org/10.1002/pits.20149
  36. C. A. Gizir and G. Aydin, "Protective Factors Contributing to the Academic Resilience of Students Living in Poverty in Turkey," Professional School Counseling, Vol.13, No.1, pp.38-49, 2009. https://doi.org/10.5330/PSC.n.2010-13.38
  37. J. L. Schelble, B. A. Franks, and M. D. Miller, "Emotion Dysregulation and Academic Resilience in Maltreated Children," Child & Youth Care Forum, Vol.39, No.4, pp.289-303, 2010. https://doi.org/10.1007/s10566-010-9105-7
  38. C. M. Foshee, Conditions that Promote the Academic Performance of College Students in a Remedial Mathematics Course: Academic Competence, Academic Resilience, and the Learning Environment, Arizona State University, Educational Technology, Dissertation, 2013.
  39. 박진영, "지역대학 성인대학생의 대학생활적응에 대한 사회적 지원, 학업탄력성, 자아존중감의 영향력 분석," 한국지방자치학회지, 제14권, 제3호, pp.47-75, 2012.
  40. 우종필, 구조방정식모델 개념과 이해, 서울: 한나래아카데미, 2012.
  41. S. Folkman and R. S. Lazarus, "If it changes it must be a process: Study of emotion and coping during three stages of a college examination,"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Vol.48, pp.150-170, 1985. https://doi.org/10.1037/0022-3514.48.1.150
  42. 박주영, A.B 성격유형.자아정체감.스트레스 대처간의 관계연구, 숙명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5.
  43. P. Hills and M. Argyle, "The oxford happiness questionnaire: acompact scale for the measurement of psychological well-being,"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Vol.33, pp.1073-1082, 2002. https://doi.org/10.1016/S0191-8869(01)00213-6
  44. 허승연, 청소년의 행복에 영향을 미치는 생태체계 변인, 숙명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9.
  45. 홍세희, "구조방정식 모형의 적합도 지수 선정기준과 그 준거,"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제19권, pp.161-178, 2000.
  46. 김계수, 구조방정식모형 분석, 서울: 한나래아카데미, 2010.
  47. 문미숙, "대학생의 스트레스경험 및 대처행동 조사," 충주대학교논문집, 제42권, pp.611-621, 2007.
  48. 장진우, 이윤주, "대학생을 위한 행복증진 집단 상담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청소년상담연구, 제 17권, 제2호, pp.121-138, 20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