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ferences
- 강민정 (2015). 문장제 유형에 따른 유아의 빼기 문제해결 전략 및 오류 유형 분석. 미래유아교육학회지, 22(4), 37-55.
- 곽향림, 허미화, 김선영 (2013). 구성주의 유아교육교수법. 서울: 창지사.
- 교육부 (2017). 초등학교 1-2학년군 수학 교사용 지도서 1-1. 서울: 교육부.
- 교육과학기술부 (2013). 5세 누리과정 해설서. 서울: 교육과학기술부.
- 권영례 (2010). 유아수학교육. 파주: 양서원.
- 권혁일 (2008). 디지털 스토리텔링이 초등학생의 수학학업성취도 및 태도에 미치는 효과. 교육과학연구, 39(3), 139-170.
- 김경희 (2006). 사회적 구성주의 수학활동이 유아의 수학능력, 수학적 과정, 수학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순천향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김동일, 고혜정, 신재현, 김이내, 김우리야, 김붕년 등 (2013). 수학문장 제 문제해결력 검사 타당화 연구: 학습장애 위험군 선별을 중심으로. 열린교육연구, 21(1), 129-148.
- 김세루 (2010). 협동적 문제해결에 기초한 유아 수학활동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전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김소연, 김수영 (2015). 유아 수학 문장제 문제해결력 검사도구 개발 및 유아 수학 문장제 문제해결력과 유아의 연령, 언어능력, 연산능력 간의 관계 연구. 유아교육연구, 35(1), 113-134.
- 김유정 (2003). 생활 문제 중심의 소집단 이야기나누기가 유아의 수.연산 발달에 미치는 효과. 건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김정은, 홍순옥 (2014). 유치원 수학교육의 실태와 문제점,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육아지원연구, 9(1), 177-211.
- 김창복 (1999). 유아의 활동중심 수학학습을 위한 부모참여 프로그램 내용의 구성 및 적응. 열린유아교육연구, 4(2), 241-262.
- 박연옥 (2006). 학부모와 초등교사 및 유치원 교사의 취학 전 유아의 문자.수학교육에 대한 인식 비교.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백현경 (2003). 이야기형 수학 문제 만들기 활동이 유아의 수학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송연숙 (2002). 유아의 연령에 따른 산수문장제와 해결과정별 수행수준에 관한 연구. 열린유아교육연구, 7(3), 109-129.
- 송연숙, 황해익 (2000). 유아의 산수문장제 해결능력에 미치는 관련변인 연구. 열린유아교육연구, 5(1), 19-69.
- 윤미진, 김은정 (2013). 스토리텔링 기반 수학 활동 수업이 아동의 학업성취도와 수학적 태도에 미치는 효과. 아동교육, 22(3), 173-190.
- 윤은경 (2007). CGI(Cognitively Guided Instruction)원리를 적용한 수업이 수학적 의사소통 능력 및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부산교육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이아람 (2013). 스토리텔링을 적용한 초등학교 수학 수업에서의 학생들의 문장제 문제 이해 및 의사소통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이정욱, 안경숙, 김소향 (2001). 3세와 4세 유아의 비형식적 수 지식에 대한 연구. 유아교육연구, 21(1), 251-267.
- 정혜영 (2015). 수학적 과정에 대한 유아교사의 이해 및 교수실제 탐구. 유아교육연구, 35(6), 317-337.
- 한종화 (2007). 학부모의 유아수학교육에 대한 인식과 가정수학교육 현황. 유아교육논문집, 11(4), 29-54.
- 홍혜경 (2013). 유아의 더하기와 빼기 문제에 대한 표상능력과 연산능력. 유아교육연구, 33(4), 5-24.
- 홍혜경, 이정욱, 정정희 (2006). 유아 수학능력검사 도구 개발. 유아교육연구, 25(5), 377-400.
- 황성아, 권주석 (2006). 수학 문장제지도 프로그램이 수학학습부진아동의 수행전략 및 태도에 미치는 효과. 발달장애연구, 10(1), 23-38.
- 황순분 (2002). 단계형 수준별 학습을 통한 연산능력 신장 방안. 부산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Aubrey, C. (1997). Children's early learning of number in school and out. In I. Tompson (Ed.), Teaching and learning early number (pp. 20-29). Buckingham: Open University.
- Canobi, K. H. (2005). Children's profiles of addition and subtraction understanding. Journal of Experimental Child Psychology, 92(3), 220-246. doi: 10.1016/j.jecp.2005.06.001
- Carpenter, T. P., & Moser, J. M. (1984). The acquisition of addition and subtraction concepts in grade one through three. Journal for Research in Mathematics Education, 15(3), 179-202. doi: 10.2307/748348.
- Carpenter, T. P., Corbitt, M. K., Kepner, H. S., Lindquist, M. M., & Rey, R. E. (1980). Solving verbal problem: Results and implication from national Assessment. Aritbmetic Teacher, 28(1), 8-12.
- Geary, D. C., Hamson, C. O., & Hoard, M. K. (2000). Numerical and arithmetical cognition: A longitudinal study of process and conceptdeficits in children with learning disability. Journal of Experimental Child Psychology, 77(3), 236-263. doi: 10.1006/jecp.2000.2561.
- Johnson, D. W., & Johnson, R. T. (1990). Social skills for successful group work. Educational Leadership, 47(4), 29-33.
- NCTM (2000). Principles and standards for school mathematics. Reston, VA: The National Council of Teachers of Mathematics, Inc.
- Riley, M. S., Greeno, J. G., & Heller, J. I. (1983). Development of children's problem solving ability in arithmetic. In H. Ginsburg (Ed.), The development of mathematical thinking (pp. 153-196). NY: Academic Press.
- Schliemann, A. D., & Carraher, D. W. (2002). The evolution of mathematical reasoning: everyday versus idealized understanding. Developmental Review, 22(2), 242-266. doi: 10.1006/drev.2002.0547.
- Turner, E. E., & Celdon-Pattichips, S. (2011). Mathematical problem solving among latina/o kindergartners: An analysis of opportunities to learn. Jounal of Latino Ecuation, 10(2), 146-169. doi: 10.1080/15348431.2011.556524.
- Ward, C. S. (1993). Developmental versus academic mathematics education: Effects on problem-solving performance and attitudes toward mathematics in kindergarten.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Peabody College for Teachers of Vanderbilt University, Nashvile, Tennessee.
- Welchman-Tischler, R. (1992). How to use children's literature to teach mathematics. Reston, Virgina: National Council of Teachers of Mathematics.
Cited by
- The Development of Number Sense Teaching Program based on CRA Model vol.28, pp.1, 2018, https://doi.org/10.21024/pnuedi.28.1.201803.7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