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부여(扶餘) 능산리고분군(陵山里古墳群) 성격(性格)에 대한 재고(再考)

Revisiting of ancient tombs in Neungsan-ri, Buyeo

  • Kim, Gyu-un (Buyeo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
  • Yang, Suk-ja (Buyeo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 투고 : 2016.03.09
  • 심사 : 2016.05.02
  • 발행 : 2016.06.30

초록

능산리고분군은 일제강점기에 몇 차례 조사되었으나 아직까지 그 전체적인 양상을 이해하기에는 자료가 턱없이 부족하다. 또한 기왕의 조사자료에 대한 분석 자체도 부족하다. 따라서 능산리고분군이 어떻게 조사되었고, 보존되어 왔는지에 대한 검토를 통해 능산리고분군을 새롭게 이해하고 접근할 필요성이 있음을 강조하였다. 능산리고분군의 일련번호는 일제강점기부터 지금까지 확실한 기준이 제시되지 않은 채 자의적으로 부여해 왔다. 이는 당시 조사과정에서 일련번호가 어떻게 변하였는지에 대한 검토가 없었기 때문으로 보았다. 그리고 능산리고분군은 현재 정비되어 있는 7기로 구성된 것이 아니라 이미 일제강점기에 서쪽부터 3+4+7+5기로 구성되어 있음을 확인하였고, 현 (現)8호분의 성과를 더하면 적어도 20기로 구성된 고분군임을 제시하였다. 또한 동고분군의 경우, 현실의 규모, 고우야마키로 제작한 목관에 옻칠을 한 공정까지 중앙의 6기와 비교해도 크게 차이가 없는 것으로 보면서 6기만을 왕릉군으로 설정해 온 기왕의 인식에 변화가 필요함을 강조하였다. 궁극적으로 현재 정비되어 있는 능산리고분군은 일제강점기에 이미 정비가 완료되면서 원래 가지고 있던 정보를 하나도 표현하고 있지 못함을 지적하였다. 현실로 진입하는 입구시설, 호석을 덮어버리고 고대하게 과장된 봉분이 그러하고, 심지어 주위에 다른 고분들이 분명 있음에도 불구하고 지금까지 제대로 된 지표조사 한번 없었던 문제점을 부각시키면서 능산리고분군에 대한 전반적인 조사가 필요하다고 결론지었다.

Royal tombs in Neungsan-ri had been studied several times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era. But, conceiving the general complexion of them is difficult for lack of data and analysis of previous studies are still insufficient. Thus, necessity of new approach and understanding in Royal tombs in Neungsan-ri are emphasized by the reviewing existing studies and conservation history. The Serial numbers of the Royal tombs in Neungsan-ri has been registered arbitrarily without clear guidelines from Japanese Colonial era until present time. It means previous studies were devoid of consideration for serial number changes. And, research has shown that Royal tombs in Neungsan-ri counts at least twenty, taking No.8 tomb of recent study into consideration. Moreover, in case of eastern tombs it needs changes in the existing perception that Royal tombs in Neungsan-ri consist of only six-tombs because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eastern tombs and central sixtombs considering the burial chamber and lacquered wooden(koyamaki) Coffin. Ultimately, current state of Royal tombs in Neungsan-ri doesn't have authenticity because they had been found and regulated in the Japanese Colonial era. Consequently, it is required to overall study into entrance to burial chamber and covered burial stone marker and exaggerated mounds, ignored another tombs other than six-tombs in the center.

키워드

참고문헌

  1. 강원표, 2015, 능산리 고분의 개요 유리건판으로 보는 백제의 고분, 국립중앙박물관
  2. 강인구, 2002, 百濟王陵 被葬者 推定 三國時代硏究 2
  3. 강인구, 1977, 百濟古墳의 硏究, 일지사
  4. 강현숙, 1996, 百濟橫穴式石室墳의 展開過程에 대하여 韓國考古學報 34, 한국고고학회
  5. 공주대학교 박물관.공주시, 1995, 백제고분자료집
  6. 국립부여문화재연구소, 1998, 능산리
  7. 국립전주박물관, 2015, 익산 쌍릉, 일제강점기 자료조사보고 16집
  8. 국립중앙박물관, 2010, 광복이전 조사유적유물 미공개도면 VI 충청남도
  9. 국립중앙박물관, 1997, 유리건판목록집 I
  10. 김규운, 2015, 일본 고분시대 횡구식석곽의 형식학적 연구 일본연구 제24집
  11. 김낙중, 2014, 묘제와 목관을 통해 본 익산 쌍릉의 의미 문화재 47-4, 국립문화재연구소
  12. 김낙중, 2009, 백제 사비기 횡혈식석실분의 확산 韓國考古學報 71, 한국고고학회
  13. 백제역사유적지구 세계유산등재추진단.부여군, 2013, 백제역사유적지구 세계유산 등재 보존관리계획
  14. 부여군, 2015, 부여 백제역사유적지구 가이드북 능산리고분군, 백제고도문화재단
  15. 부여군, 2008, 부여 능산리고분군 동하총 보존환경조사
  16. 부여군문화재보존센터, 2009, 일제강점기 사비인식
  17. 부여군지편찬위원회, 2003, 부여군 문화유적
  18. 안승주, 1975, 百濟古墳의 硏究 百濟文化 7.8
  19. 이남석, 2014, 사비시대의 백제고고학, 서경
  20. 이남석, 2002, 百濟墓制의 硏究, 서경
  21. 이남석, 2000, 陵山里古墳群과 百濟王陵 百濟文化 29
  22. 이병호, 2015, 백제 사비기 익산 개발 시기와 그 배경 백제연구 제61집
  23. 이병호, 2009, 일제강점기 부여 지역의 고적 조사 일제강점기 사비인식, 부여군문화재보존센터
  24. 이태호, 2008, 동하총 벽화의 미술사적 의의 부여 능산리고분군 동하총 보존환경조사
  25. 정호섭, 2011, 백제 벽화고분의 조영과 문화계통 韓國古代史硏究 61, 한국상고사학회
  26. 조영현, 1990, 三國時代 橫穴式石室墳의 系譜와 編年硏究-漢江以南地域을 中心으로, 충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7. 최영주, 2013, 百濟 橫穴式石室의 形式變遷과 系統關係 百濟文化 48
  28. 홍보식, 1993, 百濟橫穴式石室墳의 形式分類와 對外傳播에 대한 硏究 박물관연구논집, 부산시립박물관
  29. 홍사준, 1966, 扶餘 陵山里 一古墳의 調査 미술사학연구 제7권 제3호
  30. 關野貞, 1915, 百濟の遺蹟 考古學雜誌 제6권 제3호
  31. 吉井秀夫, 2007, 古代東アジア世界からみた武寧王陵の木棺 日中交流の考古學, 동성사
  32. 吉井秀夫, 2001, 무령왕릉의 목관 百濟 斯麻王-무령왕릉 발굴 그 30년의 발자취, 국립공주박물관
  33. 吉井秀夫, 1995, 百濟の木棺-橫穴式石室出土例を中心として 立命館文學 제542호
  34. 吉井秀夫, 1992, 웅진.사비시대 백제 횡혈식석실분의 기초연구, 경북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5. 山本孝文, 2007, 百濟 泗泌期 石室의 設計와 構造系統論 韓國考古學報 63, 한국고고학회
  36. 山本孝文, 2002, 百濟 泗泌期 石室墳의 階層性과 政治制度 韓國考古學報 47, 한국고고학회
  37. 有光敎一, 1979, 扶餘陵山里傳百濟王陵.益山雙陵 橿原考古學硏究所論集 제4집
  38. 齋藤忠, 1976, 百濟武寧王陵を中心する古墳群の編年的序列とその被葬者に關する試考 朝鮮學報 21
  39. 朝鮮總督府, 1920, 大正六年度古蹟調査報告
  40. 朝鮮總督府, 1916, 朝鮮古蹟圖譜3
  41. 朝鮮古蹟硏究會, 1938, 昭和十二年度古蹟調査報告
  42. 朝鮮古蹟硏究會, 1935, 昭和二年度古蹟調査報告 第二冊