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Plan for Utilizing the Buffering Vegetation based on the Land use Type

토지이용 특성에 어울리는 완충식생 활용 계획

  • An, Ji Hong (Department of Biology, Graduate School of Seoul Women's University) ;
  • Lim, Chi Hong (Department of Biology, Graduate School of Seoul Women's University) ;
  • Lim, Yun Kyung (Department of Biology, Graduate School of Seoul Women's University) ;
  • Nam, Kyeong Bae (Department of Biology, Graduate School of Seoul Women's University) ;
  • Pi, Jung Hun (Department of Biology, Graduate School of Seoul Women's University) ;
  • Lee, Chang Seok (Department of Bio and Environmental Technology, Seoul Women's University)
  • 안지홍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생물학과) ;
  • 임치홍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생물학과) ;
  • 임윤경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생물학과) ;
  • 남경배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생물학과) ;
  • 피정훈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생물학과) ;
  • 이창석 (서울여자대학교 생명환경공학과)
  • Received : 2016.07.14
  • Accepted : 2016.09.29
  • Published : 2016.09.30

Abstract

Since Gyungan stream is included in the protected zone of the water supply source of the Metropolitan area in Korea, the water quality needs to be continuously managed. Therefore, a measure is required that can inhibit the flow of water pollutant into the water body and facilitate the ecological restoration of riparian vegetation. A field survey was conducted on the hydr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landscape elements established on the downstream catchment of the Gyungan stream, the result of which showed that the paddy field and urbanized area can be regarded as point pollution sources. The upland field can be regarded as a non-point pollution source. In order to improve the water quality in the Paldang lake, we first recommended creating a riparian vegetation belt. We also suggested introducing a treatment wetland and an artificial plant island to places in which the creation of a riparian vegetation belt is not ensured. We recommend creating a treatment wetland equipped with diverse functional groups. For creating the plant island, we recommend Zizania latifolia and Typha orientalis, which showed the highest productivity among aquatic plants. The former could be introduced around the outlet of a paddy field and the estuary of tributaries, while the latter could be introduced to a water body directly sourced from mountainous land.

Keywords

1. Introduction

하천에서 지속적인 어획량을 확보하는데 있어서 매년 범람하는 범람원이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연구 결과(Welcomme, 1979)가 발표된 이후 수계생태계와 육상생태계 둘 다의 생물학적 온전성을 유지하기 위한 강변생태계의 역할에 대해 사람들의 관심이 모아져 왔다(Lachavanne, 1993; Naiman and Decamps, 1997). 강은 강변구역 및 추이대와 함께 그 경관을 통과하는 생태통로를 제공하고, 강변구역은 유역 내에서 수로와 여러 토지이용유형 사이에 완충지대 역할을 한다. 그러나 오늘날 인간활동에 의해 육상과 수계 사이의 이러한 밀접한 관계는 단절되고, 질이 저하되었으며 극단적인 경우에는 파괴되었다(Bravard et al., 1986; Dister et al., 1990; Petts, 1990; Petts et al., 1989; Salinas and Guirado, 2002). 또한, 농경지 및 도시개발의 영향을 받아 강변 식생대는 변하였고, 그 결과 강변식생의 영양염류 흡수능 및 정화능이 감소되었다(Connolly et al., 2015; Furnas, 2003). 그러나 이러한 강변구역을 복원하면 우선 자연의 가치를 증진시킬 수 있고, 나아가 수질 개선에도 기여한다.

강이라는 생태통로는 범람원을 따라 나타나는 현재 활동중이거나 활동이 중단된 부수로와 이러한 수로의 가장자리에 위치한 강변구역으로 이루어진다(Goodwin et al., 1997; Lee et al., 2011; Salinas and Guirado, 2002). 신생대 4기의 기후변화, 몇몇 경우에 더 오랜 기간에 걸쳐 일어난 그러한 변화, 그리고 새로운 구조 활동의 영향 및 인간간섭에 의해 복잡해졌지만, 강은 발원지로부터 하구에 이르기까지 다소 예측할 수 있는 방식으로 변하는 긴 연속체이다(Vannote et al., 1980). 이러한 연속체를 따라 그 생태통로는 토양과 식생 조각이 변하는 복합체로 이루어진다. 여러가지 형태 및 다양한 연령의 생태 조각은 내재하는 지형구조를 반영한다(Cummins, 1992; Petts, 1990; Salo, 1990).

강변구역의 보호, 복구 및 복원은 유역에 기초한 하천관리에서 우선권을 가진다. 하천 가장자리는 추이대에 전형적인 중요한 특징을 가지고 있다(Naiman and Decamps, 1997). 하천 관리에 하천 가장자리를 포함시키는 경우는 그것이 가진 다음과 같은 네 가지 핵심기능에 근거한다: 1) 수질조절, 2) 자연보호, 3) 수계 내 서식지 증진, 4) 레크리에이션 및 쾌적성. 기능 1)과 3)은 상류 하천에서 가장 효과적이고, 2)와 4)는 하천 network 전반에 걸쳐 환경증진효과를 제공한다.

Fig. 1.Map showing the sites at which the vegetation survey was carried out.

온대 지역에서 강변의 완충지대, 특히 유기물이 많은 강변토양을 가진 것들은 수계로 유입되는 표면수 및 지하수의 영양염류농도를 크게 감소시킬 수 있으며(Cooke and Cooper, 1988; Fustec et al., 1991; Howard-Williams et al., 1986; Pinay and Decamps, 1988), 농경생태계로부터 수계로 유입되는 물의 질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Haycock and Burt, 1990; 1991).

수변 완충 식생대는 농경지역과 도시지역에서 수계로 유입되는 영양염류와 퇴적물을 제거하고 그 이동에 영향을 미친다(Mikołaj et al., 2015). 초지로 이루어진 완충지대는 침전물에 결합된 인과 질소가 하천으로 유입되는 양을 80-87% 감소시키고, 지하수를 통해 질산염이 유입되는 것을 90% 이상 감소시킨다(Cooper, 1990; Smith et al., 1989). 충적토상에 성립된 숲(예를 들면, 오리나무 숲)은 특히 비점오염원을 감소시키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Labroue and Pinay, 1986; Mander et al., 1995; Welsch, 1991). Rhodes et al. (1985)은 강변식생 및 습지에 의한 흡수를 통해 Sierra Nevadas의 상류 하천에서 질산염을 99% 까지 제거할 수 있음을 밝혔다. 미국 메릴랜드 주의 Rhode 강의 삼림화된 습지의 효과에 대한 사례연구에서 Peterjohn and Correll (1984)은 부표면에서 유출되는 질산염 질소를 연간 ha당 45kg, 표면에서 유출되는 입자성 유기물질을 연간 ha당 11kg 제거할 수 있다는 결과를 얻었다. 이러한 결과에 근거하여 Peterjohn and Correll (1984)은 하천 유역의 자연계와 관리된 서식지가 함께 작용하여 비점오염원을 효율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고 결론지었다.

강 가장자리를 따라 성립된 식생은 다음과 같은 과정을 통해 수질을 조절한다(Petts and Calow, 1996): (1) 침전물에 포함된 영양염류, 살충제 및 표면 유출에 의해 수송된 기타 오염물질, 특히 인을 포집하여 보유, (2) 식생 및 미생물에 의해 유용성 영양염류 흡수. 이것은 질산염 제거의 주요 과정, (3) 유기 및 무기 토양 입자에 의한 흡수.

그러나 핵심적인 변수는 수로이다(Haycock and Burt, 1991; Hill 1990). 지하수의 흐름은 수로의 흐름과 거의 직각을 이루지 않고 그것의 실제 지체 시간은 기대치보다 크다. 더 나아가 채널화된 표면에서의 유출은 홍수 시 완충지대를 신속히 빠져나가지만 오염물질 수송경로는 완충지대를 거쳐 간다는 사실을 인식할 필요가 있다(Osborne and Willey, 1988; Risser, 1990).

본 연구의 목적은 토지이용유형 특성에 어울리는 수질오염 저감용 수변식생 활용방안을 결정하고, 기 수행된 연구(An et al., 2015; An et al., 2016)를 통해 선정된 복원모델을 현장의 여건에 어울리게 적용하는데 있다.

 

2. Materials and Methods

토지이용유형은 기존 토지이용도(국토지리정보원 발행)와 정밀 현존 식생도(국립환경과학원 발행)를 분석하고, 위성영상 및 항공사진 분석으로 경안천 하류 유역의 토지이용유형을 분류하였으며, 현지조사를 통해 이를 보강하였다. 토지이용유형과 수질오염 정화용 식생의 공간 배치를 담은 지도 작성은 ArcGIS 10.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수행하였다(ESRI, 2010).

토지이용유형의 특성에 기초하여 유형 별 오염물질 배출을 줄이기 위한 수변식생 활용 방안을 제시하였다. 이때 수변 완충 식생대 조성을 위한 정보는 비교적 자연에 가까운 모습을 간직하고 있는 대조하천 구간을 대상으로 식생정보를 수집한 후 이를 토대로 경안천 하류 유역에 적합한 수변식생벨트 모델을 제안하였다.

점 오염원의 배출을 줄이기 위한 수단으로는 정화 못이 제안되었고, 수체의 수질 개선을 위한 수단으로는 식물 섬이 채택되었다. 정화 못의 대조생태 정보는 본 연구를 수행한 경안천 하구에서 얻은 식생정보를 기본으로 삼았다.

식물 섬을 조성하기 위한 식생정보는 부유 및 부엽 식물, 침수식물, 정수식물, 습생대식물 등 수생식물의 생산력을 비교한 후 가장 높은 값을 보이는 정수식물을 대상으로 선발하였다. 수변식생의 연순생산량을 평가하기 위해 25cm × 25cm 크기의 방형구를 설치하고 그 안에 출현한 식물의 지상부를 모두 잘라낸 후, 80℃건조기에서 48시간 건조시킨 후 칭량한 건중량을 연순생산량으로 삼았다(An et al., 2016).

 

3. Results and Discussion

3.1. 토지이용 특성을 반영한 수질 개선용 수변식생 활용 방안

경안천 하류 유역에 성립된 경관요소의 특성을 검토한 결과(An et al., 2015; An et al., 2016) 논은 둑을 이용하여 얕은 저수지 형태로 물을 가두고 있고, 그 유출은 주로 물꼬를 통해서 이루어지기 때문에 비점오염원이기보다는 점오염원으로 판단되었다(Fig. 2). 도시화지역도 도로를 제외하면 대부분의 배출수가 하수관거를 통해 배출되므로 역시 점오염원에 가깝다.

Fig. 2Photos showing a sluice gate created on the levee of rice paddy where water and agricultural waste water flow in and out.

그러나 밭은 논둑과 같이 농경수의 배출을 제한하는 구조물을 갖추지 않고 불특정 배수 구조로 비점오염원에 해당한다(Fig. 3).

Fig. 3Photos showing upland fields as a non-point pollution source.

이러한 검토 결과에 기초하여 수질개선을 위한 수변식생 벨트(Fig. 4)는 밭을 중심으로 도입하기로 하였다. 그 대신 논의 물꼬 주변과 각 하천의 하구에는 정화 못(Fig. 5)을 도입하여 이를 보완하고자 한다. 나아가 토지이용유형이 산림으로 구성되어 수체가 경사가 급한 산지와 직접 만나는 부분이 있다. 산림은 비교적 안정된 생태계를 유지하며 단위면적 당 오염물질 배출량은 적지만 면적이 넓어 전체 배출량은 많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수체가 산지와 직접 마주하고 있는 부분은 수변식생 벨트나 인공습지의 설치가 어렵기 때문에 정화기능이 높은 식물을 도입한 식물섬(Fig. 6)을 설치하여 이를 보완하고자 한다.

Fig. 4Model of the arrangement of plant species in the riparian vegetation buffer to be introduced for the reduction of pollutant discharge from an upland field. Sp.p: Spiraea prunifolia, C.j: Callicarpa japonica, U.d: Ulmus davidiana, A.j: Alnus japonica, S.s: Salix subfragilis, S.k: Salix koreensis, Sa.i: Salix integra, S.g: Salix gracilistyla, P.j: Phragmites japonica, Ph.c: Phragmites communis

Fig. 5Model of arrangement of plant species to be introduced for reducing pollutant discharge in the treatment wetland. Sa.i: Salix integra, S.s: Salix subfragilis, S.k: Salix koreensis, A.j: Alnus japonica, Ph.a: Phalaris arundinacea, P.t: Persicaria thunbergii.

Fig. 6Model of artificial plant island designed to display maximum purification capacity (left) and the actual feature of an artificial plant island installed in a lake. Z.l: Zizania latifolia, T.o: Typha orientalis.

경안천 하류 유역의 토지이용 실태를 분석한 결과 산림지역이 가장 넓은 면적(73.6%)을 차지하였고, 밭(7.8%), 논(6.4%) 등이 그 뒤를 이었다(An et al., 2015). 따라서, 각 토지이용 유형별 오염물질 저감을 위한 수변식생벨트, 정화못 및 인공 식물섬의 공간배치를 Fig. 7에 나타내었다.

Fig. 7Plan to create riparian vegetation buffer for reducing pollutant discharge by land-use type in the downstream watershed of Gyungan.

3.2. 기존 하천 강변구역의 생태적 복원

경안천 하류에서 진단평가를 실시한 7개 구간(An et al., 2015; Fig. 1)의 질을 높이기 위해 대조하천 구간에서 수집한 식생정보(An et al., 2016)에 근거하여 생태적 복원 방안을 제시하였다(Fig. 8).

Fig. 8Plans for restoring riparian buffer zone from GY1 to GY7. P.j: Phragmites japonica, Ph.a: Phalaris arundinacea, S.g: Salix gracilistyla, Sa.i: Salix integra, M.s: Miscanthus sacchariflorus, S.s: Salix subfragilis, S.k: Salix koreensis, Ph.c: Phragmites communis, Z.l: Zizania latifolia, P.t: Persicaria thunbergii, S.r: Scirpus radicans, Ar.p: Artemisia princeps.

제1구간(GY1)은 군락다양성이 비교적 낮고, 제방에는 붉나무, 벚나무 등의 육상식물이 출현하였다. 따라서 제방 변에 갯버들, 선버들 등의 연목림을 보완한 수변식생의 조성을 제안하였다.

제2구간(GY2)은 외래종과 일년생식물의 점유율이 높고, 제방에는 족제비싸리, 은행나무 등의 외래종과 육상식물이 출현하였다. 홍수터에 형성된 갯버들, 선버들 등의 수변식 물군락과 연결성 확보를 위해 제방에 갯버들 등의 관목림을 보완한 수변식생 조성을 제안하였다.

제3구간(GY3)은 수체 근처와 제방에 형성된 가죽나무, 족제비싸리, 붉나무 등의 외래종과 육상식물의 출현으로 홍수터에 형성된 수변식물군락과 연결성 확보의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나아가 수변에 갈대, 줄 등의 수생식물대를 보완한 수변완충식생대 조성의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자연도 평가결과 불량으로 나타난 제4구간(GY4)은 외래종과 일년생식물의 점유율이 높고, 종 다양성이 낮아 단순한 식생구조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갈대, 갈풀, 환삼덩굴 등이 우점하는 넓은 초지에 갯버들, 선버들 등의 목본성 수변식물 도입의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제5구간(GY5)은 제방에 가죽나무, 단풍잎돼지풀 등의 외래종이 높은 밀도로 분포하여 이의 제거가 우선 필요하고, 그런 다음에는 갯버들, 선버들 등의 수변식물군락의 조성이 필요하다.

제6구간(GY6)은 군락다양성이 낮고, 제방에 아까시나무, 붉나무 등의 외래종과 육상식물이 출현하여 이들을 버드나무 등으로 교체한 수변식물군락의 조성이 필요하다.

제7구간(GY7)은 자연도 평가결과 불량 구간으로 외래종과 일년생식물의 점유율이 높고, 단순한 식생구조로서 갈대, 물억새, 환삼덩굴 등이 우점하는 초지에 선버들, 버드나무 등의 목본성 수변식물의 도입이 필요하다.

3.3. 밭 경작지 주변에 조성될 완충식생대

수변완충지대와 습지는 비점오염물질의 하천 유입을 차단, 저감하는 대표적인 방법이다(Kim and Sung, 2010; Woo and Oh, 2005). 수변구역에 도입되는 수변완충식생대는 오염원 조절을 통한 수질정화, 야생동물 서식처, 이동통로, 강둑 안정, 토사유출 감소, 홍수저감 등의 기능을 고려하여야 한다(Kim and Sung, 2010; USDA, 2001). 수변완충식생대의 폭이 증가함에 따라 오염물질 제거에 유리하고, 다양한 유형으로 조성하는 것이 영양염류 제거에 더 효과적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U. S. EPA, 2005). 따라서 경안천 하류 유역의 자연도 평가결과를 토대로 삼고 비교적 온전한 자연의 모습을 간직하고 있는 대조하천 구간에서 수집한 식생정보를 고려하여 강변식생 복원계획을 제시하였다. 이 계획에서는 도입종을 주변에서 자라는 자생종 위주로 선정하였고, 그 배치는 대조하천으로부터 얻은 생태정보에 기초하였다(Fig. 4).

비점오염원으로서 밭은 농업용수가 직접적으로 유출되는 불특정 배수 구조를 가지며(Fig. 3), 하천으로의 유입원을 찾기 어렵기 때문에 수변완충식생대를 조성하여 밭에서 배출되는 유출수를 정화하는 구조가 필요하다(Fig. 4). 수변완충식생대에 의한 수질정화 기능은 물리적 측면과 화학적 및 생물학적 측면으로 구분할 수 있다(Lee, 1997). 오염물질의 침적과 여과 및 일부 흡착은 물리적인 과정으로 식생이 유발하는 수문학적 과정과 관계가 있다(Brix, 1993). 식물은 광합성을 위해 잎을 생산하며, 그에 따라 엽면적지수(leaf area index; LAI)를 증가시킴으로 강우의 포착량과 증발산량을 증가시킨다. 식물에 의한 표면 거칠기(surface roughness)의 증가는 물의 흐름을 지연시킨다(Lee, 1997).

대부분의 유출수에서 질산염 농도는 수변식생대를 통과한 후 크게 감소한다. 이는 식생의 성장에 따른 흡수량으로 그 양이 많다. 생물량에 집적되는 양 뿐만 아니라 습기가 많은 수변토양에서는 산소부족으로 많은 양의 질소가 탈질과정을 통해 대기로 사라진다(Lowrance et al., 1997; Woo and Oh, 2005). 주기적으로 범람하거나 지하수의 수위가 높은 범람원, 하천변, 호수 주위 등에는 식물에 의한 유기탄소의 공급이 원활하여 많은 양의 무기질소가 제거된다(USDA, 2001). 대부분의 식물과 미생물은 영양소를 기반으로 대사활동을 함으로 질소나 인을 흡수하여 물의 부영양화 감소에 기여한다(Lee, 1997). 약 10m 폭의 완충림을 통과하였을 때, 부유성 물질, 용해성 인 및 질산성 질소는 각각 64%, 34% 및 38%가 제거되는 것으로 나타났다(Dunn et al., 2011).

대조하천 식생정보를 종합하여 체계화한 결과(An et al., 2016), 수변완충식생대는 수변으로부터 달뿌리풀, 갈대 등으로 구성된 초지, 갯버들, 개키버들 등으로 구성된 관목림, 그리고 선버들, 버드나무, 오리나무, 느릅나무 등으로 구성된 교목림을 도입하여 조성하는 것으로 제안하였다. 그러나 밭 경작지에 인접하여 교목성 식물을 도입하면 그늘을 만들어 경작에 지장을 초래하므로 경작지로부터 5m 이내의 구간에는 조팝나무, 작살나무, 찔레꽃, 화살나무, 쥐똥나무 등의 관목으로 식생벨트를 조성하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Fig. 4). 이러한 구조의 완충식생이 성공적으로 도입되면 비점오염원을 효과적으로 통제할 수 있는 기반을 갖출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3.4. 논 지역의 오염 저감을 위한 정화용 습지

경작지는 주된 비점오염원으로 알려져 있으나 농업용수가 배출되는 구조를 보면 논과 밭의 차이가 있다. 논은 논둑이 농업용수의 배출을 제한하여 배수로로 모여 배출되어 비점보다는 점 오염원에 가까운 것으로 판단된다(Fig. 2). 우리나라의 강에서 수변구역은 하천과 유역이 제방으로 분리되어 있어 있으며, 제방이 없는 경우 도로나 산기슭이 하천까지 연장되어 있다. 따라서 유역에서 발생한 비점오염물질은 배수로, 지천, 합류식 하수관거 월류수와 같은 점오염원 형태로 유입되며, 이러한 지역은 수변완충식생지대를 이용한 비점오염원을 저감하기는 곤란하다(Yoon et al., 2003).

논의 물꼬를 통하여 배출되는 농경폐수는 부영양화를 유발하는 질소와 인을 포함하고 농약성분도 포함하고 있어 문제가 된다. 이러한 성분이 포함된 농경수가 하천으로 바로 유입되면 하천 오염을 유발하는 것은 물론 생물다양성에 영향을 미쳐 하천의 건강을 위협하게 된다(Carpenter et al., 1998; Carpenter et al., 1995). 따라서 논의 배수로 주변에 정화 못을 설치하면 오염의 정도를 낮출 수 있다. 정화 못은 자연 상태에서 물질순환과 생물학적 작용에 의해 각종 오염물질을 처리하는 기법으로 전 세계적으로 광범위하게 이용되고 있다(NADB, 1994; Oswald, 1988). 오염물질 침강, 수생식물에 의한 흡수, 수생식물이 부양하는 미생물에 의한 정화 등으로 일정 수준의 오수 처리 효율을 얻을 수 있으며(Yoon et al., 2003), 야생동물의 서식처 역할도 할 수 있어 생태적으로 가치 있는 공간이 된다(Lee et al., 2010a; Lee et al., 2010b).

정화 못(treatment wetland)은 경안천 하구의 정수식물 및 연목식물대에 성립된 식생조성을 모방하여(An et al., 2016) 부유식물, 부엽식물 및 침수식물은 자연 이입을 유도하고 줄, 부들 등으로 이루어진 정수식물대, 갈대, 고마리 등으로 구성된 습생식물대, 개키버들, 선버들, 버드나무, 오리나무 등으로 구성된 연목대 식생을 도입하여 조성하는 것으로 제안하였다(Fig. 5).

3.5. 수체의 오염물질 저감을 위한 인공 식물 섬

인공 식물섬은 수초를 심을 수 있는 식재틀과 이를 수상에 띄울 수 있는 부력재질로 구성된다. 인공 식물섬은 도입된 수초가 성장함에 따라 수중의 인과 질소 등 영양염류를 흡수해 최대 성장 시 수초를 제거하여 부영양화 원인물질을 제거할 수 있는 인공구조물로서, 오염물질 정화를 위한 생태시설로 활용 가능하다(HRERC, 2005).

인공식물섬은 수중에 새로운 생태계를 조성하여 작은 물고기나 갑각류의 산란 및 서식처로 이용되며, 지상부의 식생은 조류, 양서류, 파충류 등의 서식 공간으로 이용되어 생태적 복원의 역할을 한다. 따라서 비점오염원 저감을 위한 LID(low impact development) 시설로서 활용이 가능하다(NIER, 2013, Fig. 6). 수위가 불안정하거나 식생이 정착하기 어려운 지역에 인공 식물섬을 설치하면 수질정화 기작뿐만 아니라 생태계 복원효과로써 하나의 독립된 소규모 생태계(biotope)가 조성된다(Kwon, 2007). 수표면적의 10~20% 정도의 인공 식물섬을 설치할 경우, 계절에 따라 최소 30%~최대 60% 정도의 수질개선 및 미관창출 효과를 지속적으로 발휘할 수 있고, 지형 및 수문학적 특성에 따라 선택적으로 사용하면 수질개선 및 야생생물의 서식처를 제공하고, 미관 개선 및 교육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Kwon, 2007).

인공식물섬은 경안천 하류유역에서 토지이용유형이 산림으로 구성되어 수변식생 벨트나 인공습지의 설치가 어려운 경우 본류에서 들어오는 비점오염원 저감에 대한 보완책으로서 줄과 부들 등과 같이 정화기능이 탁월한 식물을 도입하여 조성할 필요가 있다.

 

4. Conclusion

우리나라와 같은 논농사 중심 지역에서는 하천경관의 한부분에 해당하는 홍수터의 대부분을 논으로 이용해 왔다. 그리고 오늘날 그곳을 다시 도시로 개발하여 강변생태계가 차지하는 면적이 매우 좁고(Lee et al., 2011), 빈번하게 자연적 교란과 인위적 교란이 이어진다. 따라서 강변식생이 없거나 있다고 하더라도 매우 빈약하여 그것이 보유하고 있는 다양한 생태적 기능을 기대하기 어렵다(An et al., 2015; 2016). 그럼에도 불구하고 하천 주변에서는 여전히 강도 높은 토지이용이 이루어져 하천을 비롯한 수계생태계에서 수질을 건전하게 유지하는데 어려움을 겪고 있다.

경안천은 수도권 상수원 구역에 포함되어 지속적인 수질관리가 요구된다. 그러나 그 주변은 토지이용 강도가 높고 강변식생은 빈약하여 강변식생의 생태적 복원을 비롯하여 토지이용 유형 별로 수질오염물질이 수체 내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 또는 여과할 수 있는 대책이 요구된다. 경안천 하류 7개 구간의 진단평가를 실시한 결과, 군락다양성이 낮고 외래종과 육상식물의 출현 비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질을 높이기 위한 생태적 복원 방안으로 홍수터에 갯버들, 선버들 등의 연목림을 도입하고, 제방변에 성립한 외래종과 육상식물을 버드나무 등으로 교체한 수변식물군락의 조성을 제시하였다.

경안천 하류 유역에 성립된 경관요소의 특성을 검토한 결과, 논은 둑을 이용하여 얕은 저수지 형태로 물을 가두고 있고, 그 유출은 주로 물꼬를 통해서 이루어지기 때문에 비점오염원이기보다는 점오염원으로 판단되었다. 도시화 지역도 도로를 제외하면 대부분의 배출수가 하수관거를 통해 배출되므로 역시 점오염원에 가깝다. 그러나 밭은 논둑과 같이 농경수의 배출을 제한하는 구조물을 갖추지 않고 불특정 배수 구조를 유지하여 비점오염원에 해당하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이러한 검토 결과에 기초하여 수질 개선을 위한 식생 활용방안으로 밭은 수변으로부터 달뿌리풀, 갈대등으로 구성된 초지, 갯버들, 개키버들 등으로 구성된 관목림, 그리고 선버들, 버드나무, 오리나무, 느릅나무 등으로 구성된 교목림을 도입하여 완충식생대를 조성하고, 논과 도시화 지역은 물꼬 주변과 각 하천의 하구에 정화 못을 도입하여 오염원이 수역으로 유입되는 것을 조절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나아가 토지이용유형이 산림으로 구성되어 수체가 경사가 급한 산지와 직접 만나는 부분이 있다. 산림은 비교적 안정된 생태계를 유지하며 단위면적 당 오염물질 배출량은 적지만 면적이 넓어 전체 배출량은 많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수체가 산지와 직접 마주하고 있는 부분은 수변식생 벨트나 인공습지의 설치가 어렵기 때문에 정화기능이 높은 식물을 적용한 식물섬 설치를 제안하였다.

References

  1. An, J. H., Lim, C. H., Lim, Y. K., Nam, K. B., Pi, J. H., Moon, J. S., Bang, J. Y., and Lee, C. S. (2015). Diagnosis on the Riparian Vegetation in the Downstream Reach of the Gyungan Stream for Creating Vegetation Belt, Journal of Korean Society on Water Environment, 31(6), pp. 680-692. [Korean Literature] https://doi.org/10.15681/KSWE.2015.31.6.680
  2. An, J. H., Lim, C. H., Lim, Y. K., Nam, K. B., Pi, J. H., Moon, J. S., Bang, J. Y., and Lee, C. S. (2016).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a Model for Restoring a Vegetation Belt to Buffer Pollutant Discharge, Journal of Korean Society on Water Environment, 32(2), pp. 205-215. [Korean Literature] https://doi.org/10.15681/KSWE.2016.32.2.205
  3. Bravard, J. P., Amoros, C., and Pautou, G. (1986). Impact of Civil Engineering Works on the Successions of Communities in a Fluvial System, Oikos, 47, pp. 92-111. https://doi.org/10.2307/3565924
  4. Brix, H. (1993). Wastewater Treatment in Constructed Wetlands: System Design. Removal Processes, and Treatment Performance, Lewis Publishers, London, pp. 9-22.
  5. Carpenter, S. R., Caraco, N. F., Correl, D. L., Howarth, R. W., Sharpley, A. N., and Smith, V. H. (1998). Nonpoint Pollution of Surface Waters with Phosphorus and Nitrogen, Ecological Applications, 8, pp. 559-568. https://doi.org/10.1890/1051-0761(1998)008[0559:NPOSWW]2.0.CO;2
  6. Carpenter, S. R., Frost, T., Persson, L., Power, M., and Soto, D. (1995). Freshwater Ecosystems: Linkages of Complexity and Processes, In: Mooney, H. A. (eds.), Functional Roles of Biodiversity: A Global Perspective, Chapter 12, John Wiley & Sons, New York.
  7. Connolly, N. M., Pearsona, R. G., Loong, D., Maughanb, M., and Brodieb, J. (2015). Water Quality Variation along Streams with Similar Agricultural Development but Contrasting Riparian Vegetation, Agriculture, Ecosystems and Environment, 213, pp. 11-20. https://doi.org/10.1016/j.agee.2015.07.007
  8. Cooke, J. G. and Cooper, A. B. (1988). Sources and Sinks of Nutrients in a New Zealand Hill Pasture Catchment III, Nitrogen, Hydrological Processes, 2, pp. 135-144. https://doi.org/10.1002/hyp.3360020204
  9. Cooper, A. B. (1990). Nitrate Depletion in the Riparian Zone and Stream Channel of a Small Headwater Catchment, Hydrobiologia, 202, pp. 13-26. https://doi.org/10.1007/BF02208124
  10. Cummins, K. W. (1992). Catchment Characteristics and River Ecosystems : A Functional View, In: Boon, P. J., Calow, P., and Petts, G. F. (eds.), River Conservation and Management, John Wiley & Sons, New York, pp. 247-262.
  11. Dister, E., Gomer, D., Obrdlik, P., Peterman, P. T., and Schneider, E. (1990). Water Management and Ecological Perspectives of the Upper Rhine’s Floodplains, Regulated Rivers, 5, pp. 1-15. https://doi.org/10.1002/rrr.3450050102
  12. Dunn, A. M., Julien, G., Ernst, W. R., Cook, A., Doe, K. G., and Jackman, P. M. (2011). Evaluation of Buffer Zone Effectiveness in Mitigating the Risks Associated with Agricultural Runoff in Prince Edward Island, Science of Total Environment, 409(5), pp. 868-882. https://doi.org/10.1016/j.scitotenv.2010.11.011
  13. Environmental Systems Research Institute (ESRI). (2010) ArcGIS Version 10.0, ESRI, Redlands CA, USA.
  14. Furnas, M. (2003). Catchments and Corals: Terrestrial Runoff to the Great Barrier Reef, Australian Institute of Marine Sciences, Queensland, pp. 334.
  15. Fustec, E., Mariotti, A., Grillo, X., and Sajus, J. (1991). Nitrate Removal by Denitrification in Alluvial Ground Water: Role of a Former Channel, Journal of Hydrology, 123, pp. 337-354. https://doi.org/10.1016/0022-1694(91)90098-3
  16. Goodwin, C. N., Hawkins, C. P., and Kershner, J. L. (1997). Riparian Restoration in the Western United States: Overview and Perspective, Restoration Ecology, 5(4), pp. 4-14. https://doi.org/10.1111/j.1526-100X.1997.00004.x
  17. Han River Environment Research Center (HRERC). (2005). Report of Plant Island Operation and Management, Han River Environment Research Center, Hanam, pp. 219. [Korean Literature]
  18. Haycock, N. E. and Burt, T. P. (1990). Handling Excess Nitrates, Nature, 348, pp. 291. https://doi.org/10.1038/348291a0
  19. Haycock, N. E. and Burt, T. P. (1991). The Sensitive of Rivers to Nitrate Leaching: The Effectiveness of Near-Stream Land as a Nutrient Retention Zone, In: Landscape Sensitivity, Willey & Sons, London, pp. 261-272.
  20. Hill, A. R. (1990). Ground Water Cation Concentrations in the Riparian Zone of Forested Headwater Stream, Hydrological Processes, 4, pp. 121-130. https://doi.org/10.1002/hyp.3360040203
  21. Howard-Wiiliams, C., Pickmere, S., and Davies, J. (1986). Nutrient Retention and Processing in New Zealand Streams: the Influence of Riparian Vegetation. New Zealand Agricultural, Science, 20, pp. 110-114.
  22. Kim, B. R. and Sung, K. J. (2010). Design of Riparian Areas for the Carbon Sequestration and Diffused Pollutants Control,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Engineers, 32(11), pp. 1030-1037. [Korean Literature]
  23. Kwon, O. B. (2007). Study on the Improvement of Aquatic Ecosystems by Vegetated Artificial Floating Island, Ph. D. Dissertation, Kangwon University, Seoul, Korea, pp. 181. [Korean Literature]
  24. Labroue, L. and Pinay, G. (1986). Epuration Naturelle des Nitrates des Eaux Souterraines: Possibilités D'application au Réaménagement des Lacs de Gravières, Annales de Limnologie, 22(1), pp. 83-88. https://doi.org/10.1051/limn/1986009
  25. Lachavanne, J. B. (1993). Biodiversity in Land/Inland Water Ecotones, UNESCO-MAB, Paris.
  26. Lee, C. S., Ahn, J. H., Pi, J. H., Lee, S. M., and Lee, J. S. (2011). Futuristic Direction of River Restoration in Korea under Changing Climate Regime, Restoration Ecology, 2(2), pp. 137-143.
  27. Lee, D. W. (1997). Drifting Ecology, Beom Yang Sa Publishing Co, Seoul, pp. 334. [Korean Literature]
  28. Lee, S. M., Cho, Y. C., Shin, H. C., Cho, H. J., Kim, S. M., and Lee, C. S. (2010a). Response of Sample Plants and Purification Capacity Depending on Treatment Stage in a Wetland for Treatment of Acid Mine Drainage, Restoration Ecology, 1(1), pp. 1-8. [Korean Literature] https://doi.org/10.1111/j.1526-100X.1993.tb00001.x
  29. Lee, S. M., Cho, Y. C., Shin, H. C., Cho, H. J., and Lee, C. S. (2010b). Selection of Tolerant Plant Species to Acid Mine Drainage and Ecological Design for Treatment Wetland by Applying Those Plants, Restoration Ecology, 1(1), pp. 17-25. [Korean Literature]
  30. Lowrance, R., Altier, L. S., Newbold, J. D., Schnabel, R. R., Groffman, P. M., Denver, J. M., Correll, D. L., Gilliam, J. W., Robinson, J. L., Brinsfield, R. B., Staver, K. W., Lucas, W., and Todd, A. H. (1997). Water Quality Functions of Riparian Forest Buffers in Chesapeake Bay Watershed, Environmental Management, 21(5), pp. 687-712. https://doi.org/10.1007/s002679900060
  31. Mander, U., Kuusemets, V., and Ivask, M. (1995). Nutrient Dynamics of Riparian Ecotones: a Case Study from the Porijogi River Catchment, Estonia, Landscape and Urban Planning, 31(1-3), pp. 333-348. https://doi.org/10.1016/0169-2046(94)01061-C
  32. Mikołaj, P., Paweł, M., Ignacy, K., Marek, G., Katarzyna, I., and Wojciech, F. (2015). Spatial Quantification of Non-Point Source Pollution in a Meso-Scale Catchment for an Assessment of Buffer Zones Efficiency, Water, 7, pp. 1889-1920. https://doi.org/10.3390/w7051889
  33. Naiman, R. J. and Decamps, H. (1997). The Ecology of Interfaces: Riparian Zones, Annual Review of Ecology and Systematics, 28, pp. 621-658. https://doi.org/10.1146/annurev.ecolsys.28.1.621
  34.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NIER). (2013). A Study on Riparian Buffer Zone Plans for Water Quality Improvement in Kyeongan Downstream,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Incheon, pp. 39. [Korean Literature]
  35. North American Wetlands for Water Quality Treatment Database (NADB). (1994). Electronic Database Created by R. Knight, R. Ruble, R. Kadlec, and S. Reed for the U. S.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Copies Available from Don Brown, U. S. EPA, pp. 569-7630.
  36. Osborne, L. L. and Wiley, M. J. (1988). Empirical Relationship Between Land Use/Cover and Stream Water Quality in an Agricultural Watershed, Journal of Environmental Management, 26, pp. 9-27.
  37. Oswald, W. J. (1988). Advances in Anaerobic Pond System Designs. In: Gloyna, E. F. and Eckenfelder, W. W. (Ed.), Advances in Water Quality Improvement, University of Texas Press, Austin, pp. 186-194.
  38. Peterjohn, W. T. and Correll, D. L. (1984). Nutrient Dynamics in an Agricultural Watershed: Observations on the Role of a Riparian Forest, Ecology, 65, pp. 1466-1475. https://doi.org/10.2307/1939127
  39. Petts, G. E. (1990). Forested River Corridors - a Lost Resource? In: Cosgrove, D. and Petts, G. E. (eds.), Water Engineering and Landscape, Belhaven, London, pp. 12-34.
  40. Petts, G. and G. Calow. (1996). River restoration, Blackwell Science, London.
  41. Petts, G. E., Moller, H., and Roux, A. L. (1989). Historical Change of Large Alluvial Rivers: Western Europe, John Wiley & Sons, Chichester.
  42. Pinay, G. and Decamps, H. (1988). The Role of Riparian Woods in Regulating Nitrogen Fluxes between the Alluvial Aquifer and Surface Water: a Conceptual Mode, Regulated Rivers, 2, pp. 507-516. https://doi.org/10.1002/rrr.3450020404
  43. Rhodes, J., Skau, C. M., Greenlee, D., and Brown, D. L. (1985). Quantification of Nitrate Uptake by Riparian Forests and Wetlands in an Undisturbed Headwaters watershed, US Forest Service General Technical Report, RM-120.
  44. Risser, P. G. (1990). The Ecological Importance of Land-Water Ecotones, In: Naiman, R. J., and Decamps, H. (eds), The Ecology and Management of Aquatic-Terrestrial Ecotones. Man and the Biosphere Series, 4, The Parthenon Publishing Group, UNESCO, pp. 7-21.
  45. Salinas, M. J. and Guirado, J. (2002). Riparian Plant Restoration in Summer- Dry Riverbeds of Southeastern Spain. Restoration Ecology, 10, pp. 695-702. https://doi.org/10.1046/j.1526-100X.2002.01050.x
  46. Salo, J. (1990). External Processes Influencing Origin and Maintenance of Inland Water-Land Ecotones, In: Naiman, R. J., and Decamps, H. (eds), The Ecology and Management of Aquatic-Terrestrial Ecotones. Man and the Biosphere Series, 4, The Parthenon Publishing Group, UNESCO, pp. 37–64.
  47. Smith, C. M., Williamson, R. B., and Cooper, A. B. (1989). Riparian Retirement: the Effects on Streambank Stability and Water Quality, Proceedings of the New Zealand Soil and Water Conservation Annual Conference, Nelson, New Zealand, pp. 27-35.
  48. U. S. Department of Agriculture (USDA). (2001). Stream Corridor Restoration: Principles, Processes, and Practices, U. S. Department of Agriculture, pp. 637.
  49. U. S.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U. S. EPA). (2005). Riparian Buffer Width, Vegetation Cover, and Nitrogen Removal Effectiveness; A Review of Currrent Science and Regulations, United States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Ohio, pp. 40.
  50. Vannote, R. L., Minshall, G. W., Cummins, K. W., Sedell, J. R., and Cushing, C. E. (1980). The River Continuum Concept, Canadian Journal of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37, pp. 130-137. https://doi.org/10.1139/f80-017
  51. Welcomme, R. L. (1979). Fisheries Ecology of Floodplain Rivers, Longman, London, pp. 317.
  52. Welsch, D. J. (1991). Riparian Forest Buffers - Function for Protection and Enhancement of Water Resources, USDA Forest Service, NA-PR-07-91.
  53. Woo, H. S. and Oh, J. M. (2005). The Creation of Riparian Habitat and the Control of Nonpoint Pollution Establishing Riparian Buffer Zone, Magazine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38(3), pp. 29-36. [Korean Literature]
  54. Yoon, C. G., Jung, K. W., Jeon, J. H., and Ham, J. H. (2003). Guidelines and Optimum Treatment for Agriculture Reuse of Reclaimed Water, Journal of Limnology, 36(3), pp. 356-368. [Korean Literatu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