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Costume of Loulan - Centered Around Interrelationship with Ancient Korean Costume -

누란(樓蘭) 복식 연구 - 고대 한국복식과의 상관관계를 중심으로 -

  • Chae, Keum-Seok (Dept. of Clothing & Textiles, Sookmyung Women's University) ;
  • Kim, Eun-Kyoung (Dept. of Clothing & Textiles, Sookmyung Women's University)
  • 채금석 (숙명여자대학교 의류학과) ;
  • 김은경 (숙명여자대학교 의류학과)
  • Received : 2016.07.17
  • Accepted : 2016.09.13
  • Published : 2016.09.30

Abstract

Loulan was an ancient kingdom located on the northeast of the Taklamakan Desert, a diverging point between the north and south of Silk Road, on the east of the current Turpan, from the 2nd century BC and the 7th century A.D, absorbing and propagating culture of both sides through active trade. Meanwhile, as many previous research investigations suggest the early trade between Korea and the countries bordering on Western China, characteristics of Loulan costume have been found to have similarity to those of ancient Korean costume. Also, it can be compared to costume in other surrounding regions. Therefore, it is a highly valuable region in researching ancient costume. This study examined the historical background of Loulan and its relationship with ancient Korea, analyzed the clothes found in historic sites of Louland and Niya, and compared costume elements of Loulan and those of Korea. The result of the study shows that first, the Loulan Jeogori was based on the Jikryeonggyoim, with Chaksu, narrow sleeves and the length coming between below the chest and above the bottom, and the line decoration and waist belt were very similar to Korean costumes, as well as the Banryeong, curved collar and Bansu, short sleeves. Second, the types of pants included Gunggo, characterized by closed bottom and many creases, and Daegugo, wide-leg trousers, which are very similar in shape to the Korean Shilla lay sculpture, Stele To Martyr Yi Ch'a-don, Yangjikgongdo and Wangheedo. Third, in accessories as well, the Jowu stuck on the Gwanmo is similar in the shapes to Korean costume.

Keywords

References

  1. 권영필. (2011). 문명의 충돌과 미술의 화해. 경기: 두성북스.
  2. 권영필, 김호동. (2007). 중앙아시아의 역사와 문화. 서울: 솔.
  3. 국립제주박물관. (2008). 실크로드의 역사와 문화. 서울: 서경문화사.
  4. 국립중앙박물관. (2003). 서역미술. 서울: 국립중앙박물관.
  5. 국제한국학회. (1999). 실크로드와 한국문화. 서울: 소나무.
  6. 김영종. (2009). 실크로드, 길 위의 역사와 사람들. 경기: 사계절.
  7. 김영재. (2004). 고려불화: 실크로드를 품다. 서울: 운주사.
  8. 김용범. (2008). 역사로 읽는 실크로드의 문화. 대전: 보성.
  9. 김용문. (2005). 니야의 출토복식연구 - 5MN1호묘를 중심으로. 한복문화학회지, 8(1), 109-120.
  10. 김소현. (2003). 호복. 서울: 민속원
  11. 김소희, 채금석. (2015). 고구려와 선비족 의복 형태 비교 연구 - 북위시기를 중심으로.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17(2), 63-78
  12. 누란미라 4천년 비밀. (2010, 3, 19). 매스타임즈. 자료 검색일 2014. 9. 5, 자료출처 http://www.mest.kr/sub_read.html?uid=8226
  13. 문광희. (1987). 한, 중 단령의 비교연구. 부산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4. 문무왕. (2014). 신라 불교문화 원형 연구 - 실크로드와 경주를 중심으로. 한국미술사연구소, 43, 173-203.
  15. 박경자. (1997). 누란왕국의 출토복식에 관한 연구. 중앙아시아학회지, 2, 93-110.
  16. 이윤정, 정찬주. (2005). 고대 우리나라 의복에 미친서역 의복의 영향. 한복문화학회, 8(2), 47-62.
  17. 이은진, 신혜성. (2013) 중국 고대(古代) 카프탄(Caftan)형 의복에 관한 연구.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19(2), 423-432.
  18. 이주형, 임영애, 김인규, 이미림, 박형국. (2007). 동양미술사(下). 서울: 미진사.
  19. 전지은. (2001). 우리나라 服飾과 西域服飾間의 共通性에 關한 硏究. 패션비즈니스학회지, 5(4), 127-143.
  20. 전호태. (2004). 고구려 고분벽화의 세계. 서울: 서울대학교 출판부
  21. 조윤재. (2013). 古代 韓國의 鳥羽冠과 실크로드. 선사와 고대, 39, 121-146
  22. 조선유적유물도감편찬위원회. (2000). 북한의 문화재와 문화유적 I. 서울: 서울대학교 출판부
  23. 직공도 (양나라). (2015, 9. 25). 위키피디아. 자료검색일 2016. 3. 14, 자료출처 https://ko.wikipedia.org/wiki/%EC%A7%81%EA%B3%B5%EB%8F%84_(%EC%96%91%EB%82%98%EB%9D%BC)
  24. 채금석. (2012). 전통한복과 한스타일. 파주: 지구문화사.
  25. 채금석. (2014). 백제 복식 유형별 형태에 관한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38(1), 1-18. https://doi.org/10.5850/JKSCT.2014.38.1.1
  26. 共同通信社. (2005). 高句麗壁畵古墳. 東京: 共同通信社
  27. 东华大学出版社. (2007). 大漠联珠. 上海: 东华大学出版社
  28. 中國美術全集編輯委員會. (2006). 中國美術全集 17. 北京: 文物出版社.
  29. Wang, W. C. (1976). 龍袍 [Dragon robe]. Beijing: Museum of Chinese H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