톰 브라운 재킷 디자인에 나타난 섹슈얼리티 표현특성

The Expressive Characteristics of Sexuality in Thom Browne fashion Jacket

  • 박수연 (성신여자대학교 의류학과) ;
  • 김미영 (성신여자대학교 의류학과)
  • Park, Sooyeon (Dept. of Clothing & Textile, Sungshin Women's University) ;
  • Kim, Mi-Young (Dept. of Clothing & Textile, Sungshin Women's University)
  • 투고 : 2016.07.15
  • 심사 : 2016.09.16
  • 발행 : 2016.09.30

초록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find out the characteristics of sexuality expressed in the contemporary modern fashion jacket, especially designer Thom Browne. Thom Browne is a very successful fashion brand that has focused on design of extraordinary theme. In the research methodology, the analysis was carried out over a total of 862 work pieces in the collection of S/S, F/W, RESORT, PRE-FALL from 2010 to 2016.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ntemporary expressions of sexualities can be subdivided into four separate categories. First, The demolition is inflated retail, exaggerated shoulder silhouettes, such as short sleeve jacket is mainly used in the form of a women's match with each other and expressed by different materials applied to men. Female jackets are designed for the silhouette to highlight the strong masculine image to highlight additional detail on the chest or vice versa, to express women's jacket to distort the female. Secondly, Sensuality is designed the body of a male was represented by a design that gives a greater masculinity was expressed that the interpretation of the male gender in detail jacket sleeves and wrap the exposed areas of the important men of fashion. Women's jacket by using a see-through material, mainly sensory Castle outward to reveal the concealed body of the female form a natural curve shows the feminine sensuality. Lastly, Incongruity is inadequate representation by sex of clothing to match the jacket and skirt in women's wear it is also unsuitable for revealing gender as male by applying soot forms. The study attempts to find the meaning in that this presents the direction of the creative development of the modern fashion design based on the aesthetic characteristics of Thom Browne fashion appearing in the modern fashion.

키워드

참고문헌

  1. 김명희. (2012). 프레타포르테에 나타난 목걸이 장식의 조형적 트랜드 분석 : 샤넬, 랑방, 마르니 컬렉션을 중심으로.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 김미경. (2010). 사이키델릭 패션의 디지털 이미지에 관한 연구. 세종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 김정연, 제갈미, 이연희. (2010). 현대남성패션에 나타난 젠더특성: 메트로섹슈얼과 위버섹슈얼의 특성을 중심으로. 한국복식학회, 60(7), 1-13.
  4. 김지희,유태순. (2003). 20세기 패션 디자인의 조형성 표현방법 연구. 한국의류산업학회지, 5(1), 17-24.
  5. 김지희. (2010). 디지털 시대의 패션디자인에 표현된 성 개념의 상징성.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29, 223-234.
  6. 김찬주. (2003). 세계 패션선도 도시들의 남성 스트리트 패션 연구 : 유형분류와 스타일. 한국의류학회지. 27, (3/4), 10-22.
  7. 김태희. (2007). 현대 남성 패션에 나타난 로맨티시즘 디자인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8. 두산백과. 자료검색일 2015.12.05. 자료출처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110041&1&cid=40942&categoryId=31433
  9. 백수진, 박희정, 간호섭. (2014). 마리오테스티노의 패션광고사진에 나타난 섹슈얼리티의 유형. 14(2). 한국패션디자인학회지, 14(2), 77, 75-87.
  10. 손소영. (2015). TV광고에 나타난 남성의 섹슈얼리 티에 관한 연구. 조형미디어학회, 18(1), 103-110.
  11. 운현서, 윤정아, 이연희 (2015). 현대 남성복 컬렉션에 나타난 키치 특성.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17(2), 11-25.
  12. 위키백과. 자료검색일 2015.10.23. 자료출처 https://ko.wikipedia.org/wiki/%EC%84%B9%EC%8A%88%EC%96%BC%EB%A6%AC%ED%8B%B0
  13. 유혜진. (2012). 현대 남성패션에 나타난 엠니스 (M-ness)를 응용한 패션디자인. 동덕여자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4. 이언영, 변미연, 이인성. (2006). 현대 패션에 나타난 남성복 스타일 특성에 관한 연구 : 메트로섹슈얼 현상을 중심으로,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8(2), 125-133.
  15. 이운영. (2006). 현대 남성패션에 나타난 섹슈얼리티 현상에 관한 연구. 한국디자인문화학회, 12(3), 41-51.
  16. 이원미. (2009). 베르사체 패션에 나타난 섹슈얼리티미적특성: 도나텔라 베르사체 작품을 중심으로.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7. 이진경, 이연희. (2014). 성 이미지 변화에 따른 폴스미스 재킷의 디자인 특성.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16(3), 151-161.
  18. 이진경. (2014). 성 이미지 변화에 따른 폴스미스 남성 재킷의 디자인 특성.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16(3), 151-161.
  19. 장정임, 이연희. (2013). 톰브라운 컬렉션에 나타난 패러디. 한국복식학회지, 63(3), 61-77.
  20. 정세희, 김영선. (2015). 21세기 패션의 탈중심화 현상에 나타난 해체성에 관한 연구: 의복의 외형미와 착용미를 중심으로. 복식문화학회, 23(1), 148.전체페이지 표기
  21. 조은주 (2005). 대중문화에 나타난 Metrosexual 현상과 패션 이미지 특성.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2. 최창숙, 강인애. (2012). 베이비붐 세대 여성의 재킷 선호도에 관한 연구.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14(3), 135-146.
  23. 패션인사이트. 자료검색일 2016.09.01. 자료출처 https://www.fi.co.kr:442/main/view.asp?SectionStr=Plan&idx=26727&NewsDate=2009-01-26
  24. 한순영. (2010). 현대 남성복에 나타난 양성성에 관한 디자인 연구.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5. Thom Browne. 자료검색일 2015, 09. 12. 자료출처 http://thombrowne.co.kr/public/display/main/vie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