융합보안 설비구축 원인에 대한 근거이론적 접근

Security-equipment building cause based on 「grounded theory」 approaches

  • 임헌욱 (계원예술대학교 / 산학협력단)
  • 투고 : 2016.12.01
  • 심사 : 2016.12.21
  • 발행 : 2016.12.31

초록

기술유출 방지를 위해 정부에서는 2007년도에 산업기술방지법을 제정하고 융합보안장비 구축을 권장하고 있다. 이에 기업에서 융합보안장비를 구축하는 원인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기존의 조사방식인 양적연구(quantitative research)와 달리 심층면담을 통해 원인을 찾아가는 질적연구(qualitative research) 중 바니 글래이저(Barney G. Glaser)와 안젤름 스트라우스(Anselm L. Strauss)가 사회과학의 질적방법론의 한 종류로 사용한 근거이론(grounded theory)을 사용하였다. 이에 정부로부터 융합보안장비 구축비를 지원받은 기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정부지원금이 높을수록, 대표자나 고객사의 요청이 있을 경우, 기술유출방지를 통해 업무효율성이 높을수록, 매출증대가 높을수록 융합보안장비를 구축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The government is to prevent technology leakage in 2007, the Industrial Technology Protection Act was enacted and encouraging deployment of security equipment. in this study, corporate security equipment for the tried to determine the cause. In contrast to quantitative research, which is an existing research method, Barney G. Glaser & Anselm L. Strauss used a grounded theory as a kind of qualitative methodology in social science.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the higher the government subsidy, the request from the representative or the client, the higher the efficiency through the prevention of technology leakage, the higher the sales increase, In the United States.

키워드

참고문헌

  1. 임헌욱, "산업보안 패러다임 변화에 따른 보안 교육방안 고찰", 보안공학연구논문지, 17권, 2호, 2015
  2. 장병완, "융합보안 산업 활성화를 위한 정책제언", 국회의원 장병완, 2014
  3. 지식경제부 공고 제2010-95호, http://www.motie.go.kr/motie/ui/g_search/search.jsp
  4. KEIT, "IT R & D 발전 전략 (2010 - 2015)". 한국 산업 기술 평가원, 2010
  5. Michael Workman, "A theory-grounded investigation of phishing and pretext social engineering threats to information security", Journal of the american society for information science and technology, . (2008), Vol59, Issue 4, Pages 662-674 https://doi.org/10.1002/asi.20779
  6. 권태일, 박옥철, 박남권, "경호관련학과 취업 진로결정에 관한 근거이론적 분석" 한국민간경비학회보, 제32호 (2015년 5월), pp.29-51
  7. Andrew Bennett, Colin Elman, John M.owen, "Security Studies and Recent Developments in Qualitative and Multi-Method Research", Security studies. vol. 23 no. 4 (Oct./Dec. 2014) p.657-662 https://doi.org/10.1080/09636412.2014.970832
  8. Diana Kapiszewski, Dessislava Kirilova, "Transparency in Qualitative Security Studies Research: Standards, Benefits and Challenges", Security studies. vol. 23 no. 4 (Oct./Dec. 2014), p.699-707 https://doi.org/10.1080/09636412.2014.970408
  9. 조성구, 김태민, "민간조사업의 도입에 관한 질적 연구" 한국경찰학회보, 제14권 2호 통권 33호 (2012. 4), pp.241-268
  10. 최진혁, "CPTED 기법의 산업보안 적용 가능성에 대한 질적 연구" 치안정책연구소, 제24권 제1호, 2010
  11. 김인수, "경호비서의 업무영역에 관한 질적 연구", 용인대학교 대학원, 2015.2, 68p. 석사논문
  12. 김성곤, "체육 교과 교육학 연구에 있어서 근거 이론적 접근 방법의 활용 " 교과교육연구소 (2011), Vol.15, 2 호, pp.374-279
  13. 주수영, 청소년의 여가활동에서 비행이 발생하는 원인에 대한 근거 이론적 접근, 청소년 문화 포럼 2015, Vol44, 0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