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f Evaluating the KSL Textbook for Students with Multicultural Backgrounds

다문화 학생을 위한 제2언어로서의 한국어교재 평가 연구

  • Received : 2016.07.04
  • Accepted : 2016.08.10
  • Published : 2016.10.28

Abstract

The present study aims to investigate how teachers evaluate the Korean textbook they use for teaching primary students with multicultural background. Faced with the rich variety of materials available, it is often a challenging task for language teachers to select the most suitable coursebook. It is required that they carry out a detailed and comprehensive analysis of coursebooks and evaluate them with a set of criteria to guide the process. 32 Korean teachers took part in the primary KSL textbook evaluation that aimed to identify improvement areas. They used a pro-forma specified with 51 criteria. The teachers' responses to the questions in the pro-forma were statistically analyzed to draw implications for material evaluation. The findings of the analysis suggest that the KSL textbook for primary multicultural students need to be improved at the internal and external levels. Implications are discussed with focus on material evaluation and development, and KSL teacher professional development by helping them gain good and useful insights into the nature of the textbook, and sensitizing them to features to look for in teaching and learning materials.

본 연구의 목적은 다문화 학생의 한국어교육을 위해 개발된 한국어교재평가를 통해 개선점을 모색하고 향후 개발 방향에 대한 제언을 하는 것이다. 교재평가에는 선행연구 분석을 통해 종합적으로 한국어교재를 평가할 수 도구를 활용하였다. 학교에서 표준한국어 교재를 활용한 경험이 있는 32명의 한국어 교사들이 평가에 참여하였다. 평가 도구에 제시된 51개의 세부 기준에 따라 교재의 내적 외적 구성요소별 평가를 시행하였다. 평가 결과에 의하면 학습자의 수준에 맞는 어휘 제시, 어휘의 반복적 사용, 문화에 대한 내용 확대 등이 개선점으로 지적되었다. 한국어교재 평가 결과를 바탕으로 학교급별 표준한국어교재 개발의 방향, 한국어 교원의 교재평가 전문성 제고, 평가 결과 기반 교재 선정 및 활용에 대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교육부, 국가 기초학력 보장체제 구축 기본계획(안), 교육부, 2013.
  2. 교육과학기술부, 다문화 가정 학생 교육 지원 계획, 교육과학기술부, 2008.
  3. 교육과학기술부, 보도자료: 다문화 교육 선진화 방안, 교육과학기술부, 2012a.
  4. 교육과학기술부, 한국어 교육과정, 교육과학기술부 고시 제2012-14호[별책 27], 2012b.
  5. 국립국어원, 초등학생을 위한 표준 한국어 1. 서울, 국립국어원, 2012a
  6. 국립국어원, 초등학생을 위한 표준 한국어 2, 서울, 국립국어원, 2012b
  7. 국립국어원, 중학생을 위한 표준 한국어 1, 서울, 국립국어원, 2013a.
  8. 국립국어원, 중학생을 위한 표준 한국어 2, 서울, 국립국어원, 2013b.
  9. 국립국어원, 고등학생을 위한 표준 한국어 1, 서울, 국립국어원, 2013c.
  10. 국립국어원, 고등학생을 위한 표준 한국어 2, 서울, 국립국어원, 2013d.
  11. 박형민 외, 한국어(KSL) 교육과정 운영방안 연구보고서, 국가평생교육진흥원 CR 2014-1, 서울, 중앙다문화교육센터, 2014.
  12. 정다운, "다문화 가정 자녀 대상 한국어 교재 분석," 어문논집, 제53권, pp.73-107, 2013.
  13. 서종학, "한국어 교재 평가의 실제," 국어교육, 제109권, pp.89-110, 2002.
  14. 최권진, 채윤미, "다문화가정 자녀 대상 한국어 교육의 현황과 교재 분석," 한국어문학연구, 제54권, pp.431-462, 2010.
  15. 홍종명, "교재 선정을 위한 한국어교재 평가 모형 연구," Foreign Language Education, 제18권, 제3호, pp.413-438, 2011.
  16. A. Cunningsworth, Choosing Your Coursebook, London, Macmillan Heinemann, 1995.
  17. I. McGrath, Materials Evaluation and Design for Language Teaching, Edinburgh, Edinburgh University Press, 2002.
  18. B. Tomlinson, Ed., Materials Development in Language Teaching,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8.
  19. 진대연, "한국어 교재 분석의 기준: 연구와 적용," 국어교육학연구, 제9권, pp.407-434, 1999.
  20. K. S. Chang, "Principles underpinning materials development and evaluation for young learners," Primary English Education, 제9권, 제1호, pp.225-248, 2003.
  21. 이일수, 주진오, "드라마 활용을 통한 한국어 교육콘텐츠 개선 방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 15권, 제4호, pp.45-55, 2015.
  22. 박덕재, "외국어로서 한국어 교육콘텐츠에서의 성별언어에 대한 인식,"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9권, 제8호, pp.423-432, 2009. https://doi.org/10.5392/JKCA.2009.9.8.423
  23. B. Tomlinson, Materials evaluation, In B. Tomlinson, Ed., Developing Materials for Language Teaching, London, Continuum, pp.15-36, 2003.
  24. 이해영, "한국어 교재의 언어 활동 영역 분석," 한국어교육, 제12권, 제2호, pp.469-490, 2001.
  25. 한송화, "연세대학교 한국어학당 교재 분석,"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 제28권, pp.331-362, 2003.
  26. 엄녀, "평가 기준을 통한 중국 대학교의 한국어 교재 분석," 한국어교육, 제18권, 제1호, pp.235-262, 2007.
  27. 원혜영, "한국어교재의 과제활동 수행양상 연구,"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 제34권, pp.257-282, 2009
  28. 이성희, "영어 교재 평가 모형 연구," 외국어교육, 제8권, 제1호, pp.195-221, 2001.
  29. J. C. Richards and K. Graves, Teachers as Course Developers,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