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role of the digital culture contents industry in the knowledge economy: An input-output analysis

디지털 문화 콘텐츠 산업이 지식경제사회에 미치는 파급효과 분석

  • 신용재 (서강대학교 경영전문대학원) ;
  • 이동현 (소프트웨어정책연구소)
  • Received : 2015.12.30
  • Accepted : 2016.02.04
  • Published : 2016.03.31

Abstract

The digital culture contents is one of the fastest growing industry in Korea and it accounts for 60% of the digital contents industry. This paper attempts to analyze economic impacts of the digital culture contents industry using input-output analysis. This study investigated the production-inducing effect, value-added-inducing effect and employment-inducing effect of the digital culture contents industry based on a demand-driven model. In addition, the study dealt with the supply shortage effect and sectoral price effect of the digital culture contents industry using a supply-driven model and the Leontief price model, including the inter-industry linkage effects of 29 sectors with the digital culture contents industry sector. Some interesting findings were drawn from the study. First, production of 1.0 won in the digital culture contents industry results in production-inducing effect of 2.39542 won, value-added effect of 1.29895 won and employment-inducing effect of 0.39657 persons in other industries. Second, the supply shortage of 1.0 won in the digital culture contents industry prevents other industries from producing 0.56631 won. Third, a 1% increase in the price level of the digital culture contents industry raises the overall price level by 0.06017%. Finally, very high backward linkage effects were found, but forward linkage effects were minimal.

디지털 문화 콘텐츠 산업은 지식경제사회의 핵심적인 산업으로 디지털 강국으로 부상함과 더불어 문화 산업의 성장이 빠르게 진행되는 한국의 상황에서는 더욱 중요하게 여겨지고 있는 산업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출판, 만화, 음악, 게임, 방송, 영화, 애니메이션 그리고 이를 구현하는 콘텐츠 솔루션까지 포함하는 디지털 문화 콘텐츠 산업을 외생화하여 경제적 파급효과를 분석하였다. 수요유도모형을 통해 생산유발효과, 부가가치유발효과 그리고 취업유발효과를 알아보았고, 공급유도모형과 레온티에프 가격 모형을 통해 공급지장효과, 물가파급효과를 알아보았다. 마지막으로 전후방연쇄효과 또한 분석되었다. 분석 결과 생산유발효과는 2.39542원, 부가가치유발효과는 1.29895원 취업유발효과는 0.39657명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1원 생산이 지장될 때, 공급유도모형에 의한 공급지장효과는 0.56631원, 레온티에프 가격모형에 의한 물가파급효과는 0.06017%인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영향력계수는 1.75237로 1위, 감응도계수는 0.54952로 28위를 나타내 디지털 문화콘텐츠는 원료의 성격이 아닌 최종재의 성격이 강한 것으로 나타났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인원, 조은선 and 정호연, "지식정보화사회에서 요구되는 기업의 웹생산활동과 웹마케팅성과에관한 연구," 지식경영연구 (15:2), 2014
  2. 곽승준, 유승훈 and 유태호, "원자력발전의 산업파급효과 분석: 투입산출분석을 이용하여," 경제학연구 (50:3), 2002.
  3. 구자순, "디지털융합 환경에서 문화정책과 미디어정책의 융합에 관한 연구," 문화경제연구 (12:1), 2009.
  4. 김태현, "디지털콘텐츠 산업의 가치사슬변화와 사업자 동향," 정보통신정책 (18:23), 2006.
  5. 김창수 외 6명, "디지털콘텐츠 비즈니스," 도서출판 청람, 2010.
  6. 노시춘 and 방기천, " 지식창출형 콘텐츠 기반 창조산업 육성방안," 디지털융복합연구 (10:2), 2012.
  7. 민용식, 정군오 and 임응순, "문화 콘텐츠산업의 파급효과 분석,"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9:3), 2009.
  8. 박상찬, "과학기술과 문화예술 융합을 위한 정책연구," 과학기술부, 2005.
  9. 백영석, 이호 and 이동현, "모바일 캐주얼 게임 몰입이 만족도 및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지식경영연구 (16:4), 2015
  10. 엄명용 and 김태웅, "디지털 콘텐츠 몰입경험: 온라인게임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0:8), 2010.
  11. 유승훈, 임응순 and 정군오, 방송과 커뮤니케이션 (9:1), 2008.
  12. 윤영득, "복잡계 디지털경제의 문화 콘텐츠 산업구조," 문화산업연구 (11:1), 2011.
  13. 이호건 and 윤영환 "Culture technology를 활용한 디지털문화 콘텐츠 산업의 국제경쟁력 강화 방안," e-비즈니스연구 (5:2), 2004.
  14. 장용호, 조은기 and 박소라, "디지털 문화 콘텐츠의 생산, 유통, 소비과정에 관한 모형, IT의 사회문화적 영향 연구: 21세기 한국 메가트렌드 시리즈," 정보통신정책연구원, 2004.
  15. 정재진 and 김창수, "디지털콘텐츠 기술 가치평가 프레임워크 개발 및 적용,"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10:3), 2010.
  16. 조신 and 김희선, "IPTV에서의 유료 VOD 구매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지식경영연구 (16:3), 2015
  17. 최정혜, 정예림, 조우용 and 김민경, "모바일 VOD콘텐츠 구매 요인에 관한 실증 연구," 지식경영연구 (16:3), 2015
  18. 한국소프트웨어진흥원, "2000년도 정보제공산업 기반조성 지원사업 결과 보고서 - 디지털 콘텐츠사업 조사 연구 사업 연구 보고서," 2001.
  19. 한국은행, "산업연관분석해설," 2007.
  20. 한국은행, "2009년 산업연관표," 2011.
  21. 한국콘텐츠진흥원, "콘텐츠 산업통계 조사," 2010.
  22. Miller R.E. and Blair P.D., "Input-output analysis: foundations and extensions," Prentice-Hall, 1985.
  23. OECD, "Digital Broadband Content: Digital Content Strategies and Policies," 2006.
  24. Yoo S.H. and Yang C.Y., "Role of Water Utility in the Korean National Economy," International Journal of Water Resources Development (15:4), 199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