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Floristic Study of Mt. Yongbongsan and Mt. Suamsan in Korea

용봉산 및 수암산 일대의 관속식물상

  • Leem, Hyosun (Division of Ecological Assessment, National Institute of Ecology) ;
  • Han, Seahee (National Agrobiodiversity Center, National Academy of Agricultural Science RDA) ;
  • Kim, Yoon-Young (Institute of Agricultural Science,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
  • Kim, Jun-Yong (Department of Biology Education, Kongju National University) ;
  • Park, Jeong-Mi (Plant Resources Division, National Institute of Biological Resources) ;
  • Jang, Changgee (Department of Biology Education, Kongju National University)
  • 임효선 (국립생태원 생태평가연구실) ;
  • 한세희 (국립농업과학원 농업유전자원센터) ;
  • 김윤영 (충남대학교 농업과학연구소) ;
  • 김준용 (공주대학교 생물교육과) ;
  • 박정미 (국립생물자원관 식물자원과) ;
  • 장창기 (공주대학교 생물교육과)
  • Received : 2016.06.26
  • Accepted : 2016.08.04
  • Published : 2016.08.30

Abstract

A floristic study was conducted 23 times from March 2010 to May 2016 on Mt. Yongbongsan and Mt. Suamsan region of Chungcheongnam-do which lies across Sapgyo-eup, Deoksan-myeon Yesan-gun, and Hongbuk-myeon Hongseong-gun. Based on voucher speciemens, list of vascular plants found in this area were contained 532 taxa in total including 105 families, 312 genera, 468 species, 4 subspecies, 47 varieties, and 13 forma. The 8 taxa were Korean endemic plants such as Populus tomentiglandulosa T.B.Lee, Clematis brachyura Maxim, C. trichotoma Nakai, Indigofera koreana Ohwi, Forsythia koreana (Rehder) Nakai, Paulownia coreana Uyeki, Weigela subsessilis (Nakai) L.H.Bailey, Aster koraiensis Nakai. 4 taxa of rare plants designated by the Korea Forest Service such as Taxus cuspidata Siebold & Zucc., Lithospermum arvense L., Allium senescens L., and Iris ensata var. spontanea (Makino) Nakai. Endangered plants designated by the Ministry of Environment was not found in this study. The 11 taxa of floristic regional indicator plants in 3rd to 5th degree were found. 68 taxa naturalized plants were found and the naturalized ratio was 12.8% while 21.2% of urbanized ratio which is regarded quite high.

행정구역상 충청남도 예산군 삽교읍과 덕산면, 홍성군 홍북면에 걸쳐있는 용봉산 및 수암산 일대의 식물상을 2010년도 3월부터 2016년 5월까지 총 23회에 걸쳐 조사하였다. 사진과 표본 등의 증거자료를 바탕으로 작성한 소산 관속식물은 105과 312속 468종 4아종 47변종 13품종의 총 532분류군으로 확인되었다. 한반도 특산식물은 은사시나무(식), 외대으아리, 할미밀망, 좀땅비싸리, 개나리(식), 오동나무(식), 병꽃나무, 벌개미취(식) 등 8분류군이 조사되었고, 산림청지정 희귀식물은 주목(식), 개지치, 두메부추(식), 꽃창포(식) 등 4분류군이 관찰되었으며, 환경부지정 멸종위기야생식물은 출현하지 않았다.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종은 III~V등급에 해당하는 11분류군이 확인되었다. 귀화식물은 총 68분류군으로 귀화율은 12.8%, 도시화지수는 21.2%로 높은 수치를 보여주었다.

Keywords

서 언

용봉산(381 m) 및 수암산(260 m)은 경위도상 북위 36°37´51˝~36°41´19˝, 동경 126°37´59˝~126°40´30˝ 사이에 위치하며, 행정구역상으로는 충청남도 예산군 삽교읍과 덕산면, 홍성군 홍북면에 걸쳐 있다. 용봉산과 수암산은 남북으로 주능선이 연결되어 있어, 마치 하나의 산과 같은 모습을 하고 있다. 반경 10 km 이내에는 북서쪽으로 가야산(678 m)과 옥양봉(621 m), 서쪽으로 덕숭산(495 m), 남쪽으로 백월산(394 m)이 위치하고 있다. 이 중 홍성군 일대에 해당하는 용봉산에는 탐방로를 따라 체육시설 및 휴식공간이 조성되어 있고, 자연휴양림이 위치하여 지역 주민들뿐만 아니라 많은 관광객들이 이용하고 있다. 아울러 자연휴양림 내에는 다양한 관상용 식물이 식재되어 있다.

홍성군과 예산군의 지형은 노년기 지형의 특징을 가지는 고도가 낮고 구릉을 이루는 산지의 양상을 보이고 있으며, 주로 석영입자들이 섞인 양질토양과 그로 인해 만들어진 중립질흑운모 화강암으로 구성되어 있다(Ministry of Environment, 2001; Kim, 2011). 특히 용봉산과 수암산의 정상부 및 주변지형에는 화강암지역에 나타나는 암석미지형이 발달하고 있어 자연경관 지역으로서의 가치가 높다고 알려져 있다(Ministry of Environment, 2001; Kim, 2011). 조사지역인 홍성군의 최근 10년간 연평균 기온은 12.1℃, 월평균 최고기온과 최저기온은 각각 25.9℃와 −2.3℃로 연교차는 28.2℃이다. 본 지역은 해안에서 그리 멀지 않지만 대륙성 기후의 특성을 나타내고 있으며, 연평균 강수량은 1,284.6 ㎜로 여름에 연강수량의 절반이상이 내리는 하계 다우형 강수형태를 보여준다(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2014; Kim, 2011). 식생학적으로는 온대활엽수림대에 포함되고, 식물구계 구분에서는 중일구계, 한국구에 속하며, 한반도 식물구계의 남부아구에 속한다(Lee and Yim, 1978, 2002).

용봉산과 수암산에 대한 식물상 연구로는 최근 Kim (2011)에 의해 308분류군이 기록되어 있으며, 인근지역의 주요 식물상 연구로는 가야산 일대에 대하여 Kim and Park (1984)에 의해 448분류군, 제 2차 전국자연환경조사(Ministry of Environment, 2001)에서 222분류군, Yun et al. (2007)에 의해 268분류군, Oh et al. (2013)에 의해 337분류군이 각각 기록되어 있다. 한편, 본 조사지역인 용봉산과 수암산은 2009년부터 시작된 내포신도시 조성지의 배후 산으로 도시개발에 따른 직간접적인 피해를 받을 수 있는 지리적인 위치에 있으나 충남도청(내포) 신도시 개발계획 최종보고서에는 식물상에 대한 언급이 없으며(충청남도, 2009), 이에 Kim (2011)은 해당지역을 대상으로 기초적인 식물상 조사를 수행하였다. 그러나 관속식물목록에는 오동정으로 추정되는 가는잎개고사리(Athyrium iseanum Rosenst), 까마귀머루(Vitis ficifolia var. sinuata (Regel) H. Hara), 알며느리밥풀(Melampyrum roseum var. ovalifolium Nakai ex Beauverd), 가는쑥부쟁이(Aster pekinensis Hance), 애기원추리(Hemerocallis minor Mill.) 등의 식물들이 다수 포함되어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용봉산과 수암산의 식물상을 면밀하고 정확하게 파악하여 본 지역에 대한 한국특산식물, 산림청 지정 희귀 및 멸종위기식물,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종의 분포현황을 확인하여 신도시 건설 및 유지를 위한 그리고 나아가 식물자원의 보전에 대한 기초 자료를 수집, 제공하고자 한다.

 

재료 및 방법

조사지역인 용봉산과 수암산에 대한 조사는 2010년 3월부터 2016년 5월까지 총 23회에 걸쳐 실시하였다(Fig. 1, Table 1). 결과의 정확성을 위해 모든 식물을 대상으로 검색형질에 유용한 꽃, 열매, 포자 등의 세부형질을 DSLR을 이용하여 촬영하였으며(Nikon D810 + AF 105 ㎜ Micro lens, Nikon D5300 + AF-S 60 ㎜ Micro lens, Nikon D3200 + AF-S 40 ㎜ Micro lens, Japan), GPS 수신기(Nikon GP-1, Nikon GP-1A, Japan)를 장착하여 각 식물에 대한 정확한 좌표를 획득하였다. 또한 증거표본을 제작하여 공주대학교 표본실(KNH)에 보관하였다. 확인동정은 Lee (1980), Lee (1996), Lee (2003), Park (2009) 등의 도감을 비롯하여 최근 발표된 논문 등에 따라 수행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관속식물목록을 작성하였다. Kim (2011)의 표본자료와 화상자료를 재동정하여 목록에 추가하였으며, 목록의 배열은 Engler의 분류체계에 따라 작성하였다. 과(family) 내에서는 속명과 종명의 라틴어순으로 정리하였으며, 학명은 국가표준 식물목록(http://www.nature.go.kr/)을 따랐으나, 누락된 식물명은 Plant List (http://www.theplantlist.org/)를 참조하였다. 한국특산식물(Oh et al., 2005), 희귀식물(Korea National Arboretum, 2008), 멸종위기 야생식물(Ministry of Environment, 2015)을 각각 파악하였고,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종은 환경부와 국립환경과학원에서 제시한 제 4차 전국자연환경조사지침(Ministry of Environment, 2012)에 따랐으며, 주요 자원식물과 귀화식물의 분포는 Lee et al. (2011)과 Korea Forest Service (2014)를 참고하였다.

Fig. 1.Investigated area (Mt. Yongbongsan and Mt. Suamsan) in this study.

Table 1.Investigation dates and routes

 

결과 및 고찰

관속식물의 종조성

본 연구를 통해서 확인된 용봉산 및 수암산 일대의 소산 관속식물은 105과 312속 468종 4아종 47변종 13품종의 총 532분류군(식재종 95분류군 포함)으로 조사되었다. 양치식물은 14분류군(2.6%), 나자식물은 10분류군(1.9%)이었으며, 피자식물의 쌍자엽식물은 426분류군(80.1%), 단자엽식물은 82분류군(15.4%)인 것으로 나타났다(Table 2). 이는 한반도 관속식물 4,881 분류군(Korea National Arboretum and The Plant Taxonomic Society of Korea, 2007)의 10.9%에 해당되었다.

Table 2.Summary on the floristics of the Mt. Yongbongsan and Mt. Suamsan

용봉산 및 수암산의 산림 식생은 주로 소나무가 우점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일부지역은 신갈나무, 갈참나무, 졸참나무, 상수리나무 등의 참나무류가 우점하였다. 또한 일부 구간에는 개잎갈나무, 잣나무, 리기다소나무, 은사시나무 등이 식재되어 있었으며, 팥배나무, 덜꿩나무, 복자기, 때죽나무 등이 곳곳에서 출현하였다. 관목층에는 줄딸기, 길마가지나무, 붉은병꽃나무 등이, 초본층에는 주름조개풀, 자주광대나물, 양지꽃, 물봉선, 개별꽃, 남산제비꽃, 졸방제비꽃, 맑은대쑥 등이 흔하게 관찰되었다.

기존 연구에서의 증거표본과 화상자료를 재동정한 결과 오동정이 많아 직접적인 비교는 수행하지 않았으며, 본 지역에 대한 현지조사를 실시한 결과 기존의 분류군수보다 224분류군이 더 많은 것으로 확인되었다(Kim, 2011). 또한 충남 해안지역의 고봉에 해당되는 가야산(678 m)의 기존 조사결과인 448 분류군과 비교하였을 때(Kim and Park, 1984), 본 지역의 소산식물이 뚜렷하게 많은 종이 조사된 이유는 오랜 기간에 걸쳐 좁은 지역을 면밀하게 조사한 결과로 판단된다.

한국특산식물

한반도 특산식물은 은사시나무, 외대으아리, 할미밀망, 좀땅비싸리, 개나리, 오동나무, 병꽃나무, 벌개미취 등 8분류군의 분포가 확인되었다. 은사시나무, 개나리, 오동나무는 식재된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이를 제외한 외대으아리, 할미밀망, 좀땅비싸리, 병꽃나무 등 4분류군은 본 조사지역에 자생하는 것으로 관찰되었다(Table 3). 외대으아리는 산림식생의 가장자리의 초지에서 드물게 관찰되었으며, 할미밀망은 다소 습한 계곡부에서 비교적 흔하게 관찰되었다. 좀땅비싸리는 땅비싸리에 비해 잎 이면에 털이 없는 특징을 가지고 있으며(Cho et al., 1997), 주로 남부지역에 자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본 지역의 정상부 등산로 주변 또는 암반지역에 산재하여 자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벌개미취의 경우 정상부근 및 계곡 초입부의 습한 지역에 점상으로 소수 개체가 관찰되었으며, 본 지역 내에 식재된 흔적은 발견되지 않았다. 그러나 벌개미취의 분포양상과 주변탐방로에 많은 식물들이 식재된 것을 미루어 볼때, 벌개미취 또한 식재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Table 3.List of the endemic plants in Mt. Yongbongsan and Mt. Suamsan

희귀식물

산림청에서 제시한 희귀식물목록집(Korea National Arboretum, 2008)에 근거하여 총 4분류군이 확인되었다(Table 4). 이중 취약종(VU)에 해당하는 식물은 주목 1종으로서, 식재된 것으로 확인되었다. 약관심종(LC)은 개지치, 두메부추, 꽃창포 등 3분류군이 확인되었으며, 개지치를 제외한 두 분류군은 식재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조사지역의 특성상 산지가 낮고, 깊은 계곡이 형성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특별히 주목할 만한 희귀식물목록은 자생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된다.

Table 4.List of the rare and endangered plants in Mt. Yongbongsan and Mt. Suamsan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종

환경부에서 지정한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종에 해당하는 식물로는 V등급종 1분류군, IV등급종 4분류군, III등급종 6분류군, II등급종 8분류군, I 등급종 13분류군으로 총 32분류군이 조사되었으며, 이들 중 정밀조사종에 해당하는 III~V등급 종은 총 11분류군이 확인되었다(Table 5). V등급 식물에는 약모밀이 해당하였으나, 용봉산 탐방로 주변에 조경을 목적으로 식재된 것으로 나타났다. IV등급 식물에는 산복사나무, 노랑개자리, 등, 두메부추가 해당하였다. 등과 두메부추는 식재로 확인되었으며, 산복사나무는 조사지역내의 계곡부 사면 곳곳에 자생하고 있었다. 노랑개자리는 도로변 나지에서 드물게 관찰되었으나, 근래 들어 전국 곳곳의 도로 절개지 등에서 종종 나타나는 것으로 보아 녹화공법에 따른 이입으로 추정되므로 본 종의 식물구계학적 위치에 대해 재검토할필요성이 있다. III등급 식물에는 향나무, 주목, 병아리꽃나무, 호비수리, 땅비수리, 단풍나무가 해당하였으나, 향나무, 주목, 단풍나무는 식재로 확인되었다. 병아리꽃나무는 용봉사 부근 및 노적봉으로 향하는 등산로 주변에서 비교적 흔하게 관찰되었으며, 땅비수리와 호비수리는 저지대의 초지, 냇가 등에서 드물게 확인할 수 있었다.

Table 5.List of the 5th to 3rd degree taxa of Korean floristic regional plants in Mt. Yongbongsan and Mt. Suamsan

유용식물

Lee (1976)가 제시한 유용식물 구분에 따르면 식용 434분류군, 섬유용 4분류군, 약용 86분류군, 관상용 36분류군, 목초용 137분류군, 공업용 4분류군, 잡용 11분류군, 용재용 20분류군으로 각각 집계되었으며, 중복된 항목을 제외한 총 434분류군이 유용식물로서 확인되었다. 또한, 산림청의 용도에 따른 자원식물의 구분에 따르면(Korea Forest Service, 2014), 식용 353분류군, 약용 388분류군, 향료용 27분류군, 산업용 250분류군, 관상용 308분류군, 생태복원용 240분류군, 사료 및 퇴비용 231분류군으로 각각 파악되었으며, 중복된 항목을 제외한 총 504 분류군이 자원식물로서 유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민속식물로 이용 가능한 식물은 총 325 분류군이 분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Chung et al., 2013).

귀화식물 및 생태계교란식물

Lee et al. (2011)에 따른 조사지역의 귀화식물은 총 68분류군으로 확인되었다(Table 6). 귀화율[Naturalization Index: 조사된 귀화식물의 종수(68) / 출현식물의 총 종수(532) × 100]은 12.8%로 산출되어 우리나라 산지의 평균 귀화율10.3% (Koh et al., 1995; Kim, 2011)보다 2.5% 높은 수치이다. 또한 도시화지수[Urbanization Index: 조사된 귀화식물의 종수(68) / 남한의 귀화식물 총 종수(321) × 100]는 21.2%로 산출되어 최근에 보고된 국내 다른 지역(Jang et al., 2015; Nam et al., 2015; Park et al., 2015; Kim et al., 2016)에 비해 월등하게 높은 수치로 나타났다. 해당 결과는 최근 이루어진 내포신도시 개발 사업으로 인한 외래식물의 유입이 가장 큰 원인으로 작용하였을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시공이나 유지 관리 시에 귀화식물의 유입 경로를 되도록 차단하고, 공터를 오랜 시간 방치하는 것을 줄여야 할 것이다.

Table 6.Naturalized plant in this study

Table 6.zEcosystem disturbance plants

최근에 발표된 미기록 귀화식물인 산형나도별꽃은 홍성군 용봉산 인근 지역에서 보고된 식물로(Lee et al., 2014), 2009년 이후부터 본 지역에서 지속적으로 분포가 확인된 종이다. 본 식물은 용봉산 자연휴양림 주차장 입구에서부터 용봉산 초입에 걸쳐 하층식생의 우점종으로 확인되었으며, 정상부를 포함한 대부분 지역에 걸쳐 분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귀화식물을 과별로 살펴보면, 국화과가 25분류군으로 가장 높은 분포를 보였고, 콩과 9분류군, 벼과 7분류군, 십자화과 6분류군, 마디풀과 4분류군, 석죽과, 양귀비과, 메꽃과, 현삼과는 각 2분류군, 자리공과, 명아주과, 삼백초과, 장미과, 아욱과, 제비꽃과, 쥐손이풀과, 바늘꽃과, 꿀풀과는 각 1분류군이 분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Table 7). 원산지별로는 유럽과 북아메리카가 각각 24분류군, 19분류군으로 가장 많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Table 7.The ratio of naturalized plant to whole investigated plants in this study

생태계교란식물로는 애기수영, 돼지풀, 단풍잎돼지풀 등 총 3분류군이 확인되었다(Table 6). 주로 둔리저수지와 도로 주변에 분포하므로 이들을 인위적으로 제거하는 등의 대책을 수립하여 더 이상의 확산을 방지하여야 할 것이다.

식재 및 재배식물

본 지역에서 관찰된 식재종 및 재배종으로 판단되는 식물은 총 95분류군으로, 조사된 전체 분류군의 약 17.8%로 나타났다. 해당 분류군은 식물목록에 별도로 표기하였다(Appendix). 조사지역에서 흔하게 관찰되는 식재종으로는 개잎갈나무, 잣나무, 개나리 등이 있었다. 또한 용봉산 자연휴양림의 탐방로 주변을 따라 두메부추, 초롱꽃, 매발톱, 지면패랭이, 개양귀비, 금잔화, 꽃범의꼬리, 남천, 능소화, 만수국, 맨드라미, 삼색제비꽃, 데이지, 석산, 수선화 등이 조경용으로 식재되어 있다. 지자체에 의해 운영되는 자연휴양림이므로 용봉산 및 수암산에 자생하는 식물 중 관상용 가치가 높은 종들을 활용하여 탐방로의 꽃길을 조성하는 방안을 검토하여 활용한다면 본 지역의 특색을 살릴 수 있는 좋은 본보기가 될 수 있을 것이다. 대상 식물로서 활용될 수 있는 식물로는 병아리꽃나무, 붉은병꽃나무, 병꽃나무, 조팝나무, 길마가지나무, 숫명다래나무, 들현호색, 미나리냉이, 땅비싸리, 물봉선, 노랑물봉선, 졸방제비꽃, 남산제비꽃, 노루발, 큰까치수염, 꿀풀, 석잠풀, 꽃며느리밥풀, 둥굴레,무릇, 붓꽃 등이 적합할 것으로 판단된다.

References

  1. Cho, S.K., B.H. Choi and J.H. Kim. 1997. Morphological variations and taxonomy of Indigofera kirilowii and I. koreana (Leguminosae). Korean J. Pl. Taxon. 27:73-87.
  2. Chungcheongnam-do. 2009. Report of Chungnam Provincial Office Naepo New City Developmental Plan, Hongseong, Korea (in Korean).
  3. Chung, J.M., K.W. Park, H.R. Jeong, S. So, H.J. Kim, K. Choi, C.H. Lee, C.H. Shin and S.S. Kim. 2013. Ethnobotany in Korea, The Traditional Knowledge and Use of Indigenous Plants. Korea National Arboretum, Pocheon, Korea (in Korean).
  4. Jang, C.S., S.G. Yang, H.D. Jang, R.Y. Lee, M.S. Park, K.H. Kim and B.U. Oh. 2015. Floristic study of Woraksan National Park in Korea. Korean J. Plant Res. 28:35-63. https://doi.org/10.7732/kjpr.2015.28.1.035
  5. Kim, J.Y. 2011. A study on the Flora of Mt. Yongbong and Mt. Suam. Department of Biology Education, M.S. Thesis, Kongju Univ., Korea (in Korean).
  6. Kim, Y.S. and S.W. Park. 1984. Mt. Gaya (Chungnam) of the flora survey. Edugrad Korea. pp. 95-103.
  7. Kim, Y.Y., N.R. Na, H.I. Song and C.G. Jang. 2016. Floristic study of Mt. Segeolsan in Korea. Korean J. Plant Res. 29:110-127. https://doi.org/10.7732/kjpr.2016.29.1.110
  8. Koh, K.S., I.G. Kang, M.H. Suh, J.H. Kim, K.D. Kim, J.H. Kil, H.I. Rhu, D.S. Kong, E.B. Lee and E.S. Chun. 1995. Survey for Ecological Impact by Naturalized Organisms(I)-Naturalized Plants-.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in Korean).
  9. Korea Forest Service. 2014. The Assessment for Vascular Plant Resources and the Reclassification of Their Usefuless from Korea. Korea Forest Service, Daejeon, Korea (in Korean).
  10.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2014.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Homepage, (http://www.kma.go.kr).
  11. Korea National Arboretum. 2008. Rare Plants Data Book in Korea. Korea National Arboretum, Pocheon, Korea (in Korean).
  12. Lee, H.J., S.Y. Jung, S.H. Park, S.M. Yun and J.C. Yang. 2014. Two unrecorded alien plants in South Korea: Holosteum umbellatum L. and Asperugo procumbens L. Korean J. Pl. Taxon. 44:276-280 (in Korean). https://doi.org/10.11110/kjpt.2014.44.4.276
  13. Lee, T.B. 1976. Vascular plants and their uses in Korea. Bulletin of the Arboretum Seoul National University. 1:1-131.
  14. Lee, T.B. 2003. Coloured Flora of Korea, Vol. I, II. Hayangmunsa, Seoul, Korea (in Korean).
  15. Lee, W.T. 1980. Illustrated Flora of Korea. Hyangmunsa, Seoul, Korea (in Korean).
  16. Lee, W.T. 1996. Coloured Standard Illustrations of Korean Plants. Academy Publishing Co., Seoul, Korea (in Korean).
  17. Lee, W.T. and Y.J. Yim. 1978. Studies on the distribution of vascular plants in the Korean peninsula. Korean J. Pl. Taxon. 8:1-33 (in Korean).
  18. Lee, W.T. 2002. Plant Geography. Kangwon National University Press, Chuncheon, Korea (in Korean).
  19. Lee, Y.M., S.H. Park, S.Y. Jung, S.H. Oh and J.C. Yang. 2011. Study on the current status of naturalized plants in South Korea. Korean J. Pl. Taxon. 41:87-101 (in Korean).
  20. Ministry of Environment. 2001. The 2nd National Natural Environment Survey Report.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Incheon, Korea (in Korean).
  21. Ministry of Environment. 2012. The 4th National Natural Environment Survey Guidelines.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Incheon, Korea (in Korean).
  22. Ministry of Environment. 2015. Wildlife Protection and Management Act. Retrieved 16 Feb. 2015 from http://www.me.go.kr/.
  23. Nam, B.M., J.Y. Kim, S. Jeong, J.H. Lee, M.J. Nam, B.U. Oh and G.Y. Chung. 2015. A flora of vascular plants in Mt. Cheongnyangsan (Bonghwa-gun, Andong-si). Korean J. Plant Res. 28:616-634. https://doi.org/10.7732/kjpr.2015.28.5.616
  24. Oh, B.U., D.G. Jo, K.S. Kim and C.G Jang. 2005. Endemic Vascular Plants in the Korean Peninsula (1st step result). Korea National Arboretum, Pocheon, Korea (in Korean).
  25. Oh, H.K., Y.H. Han and K.U. Park. 2013. Study on vascular plants of Mt. Gayasan ridge, Chungnam. J. of KIFR. 17:57-70.
  26. Park, K.T., K.S. Choi, O. Son, E.M. Lee, H.S. Kim, D.U. Boo and S.J. Park. 2015. The vascular plants in Mt. Bohyeon, Gyeongbuk, Korea. Korean J. Plant Res. 28:193-216. https://doi.org/10.7732/kjpr.2015.28.2.193
  27. Park, S.H. 2009. New Illustrations and Photographs of Naturalized Plants of Korea. Ilchokak, Seoul, Korea (in Korean).
  28. Yun, C.W., C.H. Lee and H.J. Kim. 2007. The community structure of forest vegetation in Mt. Gaya, Chungcheongnam-do province. Kor. J. Env. Eco. 21:379-389.

Cited by

  1. Vascular Plants Distributed in the Hanbuk-Jeongmaek - Focused on Mt. Gwangdeok, Mt. Cheonggye and Mt. Jukyeop - vol.19, pp.6, 2016, https://doi.org/10.13087/kosert.2016.19.6.41
  2. 금성산(충남·금산)의 관속식물상 vol.30, pp.5, 2016, https://doi.org/10.7732/kjpr.2017.30.5.489
  3. 지기산(홍성군) 일대의 관속식물상 vol.27, pp.6, 2016, https://doi.org/10.14249/eia.2018.27.6.5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