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Research on the Ethical Characteristics of 'Mutual Beneficence' Shown in the Principle of 'Guarding against Self-deception' in Daesoon Thought: in Comparison to Kantian and Utilitarian Ethical Views

대순사상의 무자기(無自欺)에 나타난 상생윤리 - 칸트와 밀의 윤리관과의 대비를 중심으로 -

  • Kim, Tae-soo (Department of Academic Affairs in Daesoonjinrihoe)
  • Received : 2016.10.10
  • Accepted : 2016.11.22
  • Published : 2016.12.31

Abstract

This research is an attempt to detail the multi-layered ethical characteristics of 'mutual beneficence', shown in the principle of 'guarding against self-deception' in Daesoon Thought while focusing on its major differences as well as the similarities with Kantian and Utilitarian ethical views. In these Western ethical perspectives, the concept of self-deception has received a considerable amount of attention, centering on the context of natural rights and contract theory. Meanwhile, in Daesoon Thought, 'guarding against self-deception' is presented as one of the principal objectives as well as the method or deontological ground for practice. It further encompasses the features of virtue ethics oriented toward the perfection of Dao. Here, the deontological aspect is interlinked with the concept of cultivation and the pursuit of ethics and morals. Hence this makes it a necessary condition for achieving the perfection of Dao, and likewise renders the practice of 'guarding against self-deception' more active through facilitating mutual relations based on the expansion model wherein human nature is characterized as possessing innate goodness. With regard to the tenet of 'resolution of grievances for mutual beneficence,' this concept is presented as a positive ground for practicing virtues toward others without forming grudges. Furthermore, as long as it reveals the great principle of humanity built on conscience, it will come to harmonize practitioners with others and spirits in an expression of beneficence. Moreover, originating in the Dao of Deities, guarding against self-deception is expressed as a form of life ethics and can be suggested as a new alternative for the model of virtue ethics proposed by Nussbaum. All in all, there is a natural causal relationship by which 'guarding against self-deception' in accord one's own conscience and the principle of humanity as a pursuit of perfect virtues in Dao result in the fulfillment of mutual beneficence. This readily akin to how gravity causes water to flow from high ground to low ground. Consequently, these relational features of mutual beneficence can serve an effective alternative to the Western ethical views which also address the need to overcome the egoistic mind which is liable to self-interest and alienation.

이 연구는 서구 윤리사상과의 대비를 통해 대순사상의 무자기 개념에 나타난 상생적 윤리관의 특징을 드러내고자 하는 시도이다. 논의를 위해 서구 규범윤리의 두 축을 이루는 칸트의 의무론적 윤리학 및 밀의 공리주의와 대비하여 무자기 개념이 지니고 있는 상생적 특성을 검토한다. 나아가 대순사상의 맥락에서 오늘날 논의되고 있는 덕 윤리적 특성을 새롭게 제시한다. 자연권사상에 기반하여 개인과 사회 전체의 권익을 보호하는 데 방점을 둔 의무론이나 공리주의 윤리학과 대비할 때, 대순사상의 윤리관은 동양의 수행론적 전통에 입각해 있다. 여기서 무자기는 수도의 목적이면서도 윤리도덕 수행의 근간으로써 도와 인격의 완성을 위해 진실된 마음과 언행을 행해야 하는 기반이다. 이 점에서 최고선을 추구하는 덕 윤리학적 요소가 전제되어 있다. 한편, 무자기에 나타난 의무론적 측면은 도통을 목적으로 인륜을 바로 하고 도덕을 밝혀나가는 수도 개념과 맞물려, 하늘로부터 부여받은 천성 그대로의 본성을 회복해야 하는 당위로 나타난다. 또 수도의 목적인 도통을 이루기 위해서는 인륜도덕을 실천해야 하기에, 무자기의 실천 또한 상생적이어야 한다는 목적론적 설명구조를 보여준다. 이렇듯 상호 긴밀하게 연관된 제 윤리관의 중층적 요소는 상생윤리와 관련하여 그 상생적 측면을 한층 잘 드러내고 있다. 특히 해원상생의 이념과 관련하여 무자기는 '척을 짓지 않고, 남을 잘되게 하는' 인륜 실현의 근간이자 천지자연의 법리로 제시된다. 또 이 개념은 양심에 기반을 두기에 신명과의 상생조화를 의미하는 신인 조화와도 연관된다. 나아가, 신도로부터 출발하여, 상생윤리로 펼쳐지는 무자기는 누스바움이 제시한 덕 윤리 모델에 대한 새로운 대안으로서 제시된다. 이렇듯, 대순사상에서 '스스로의 마음을 속이지 않는다'는 의미로서 무자기는 양심과 인륜도덕에 기반하는 것이기에 인예의지의 발현으로서 자연스럽게 남을 위한 실천으로 이어지는 상생적 개념이다. 기준이 양심과 인륜이기에, 물이 위에서 아래로 흐르듯이, 본성을 실현하는 과정으로서 상생의 실천으로 이어지게 되는 것이다. 이로써, 무자기에 나타난 상생적·관계론적 사유는 서구윤리에 대한 대안으로서 이기심과 소외를 극복할 수 있는 한층 효과적 윤리관으로 제시될 수 있을 것이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