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Feelings of Emptiness on Facebook Use

페이스북 이용자의 공허감 연구 : 성격, 이용동기, 중독간 관계를 중심으로

  • 김형지 (고려대학교 일반대학원 언론학과) ;
  • 김영임 (한국방송통신대학교 미디어영상학과) ;
  • 허은 (청강문화산업대학교 게임콘텐츠스쿨)
  • Received : 2016.06.16
  • Accepted : 2016.07.19
  • Published : 2016.08.28

Abstract

This study examined the factors for feelings of emptiness on Facebook use, and how these feelings are related to the user's personal attributes and the addiction to Facebook usage. For analysis, the factors for feelings of emptiness on Facebook use among college students were measured and a questionnaire was developed. After analysis, 3 factors were identified: 'isolation and loneliness', 'self-regulation disorder', and 'unreality'. Then, variables influencing the feelings of emptiness were identified. Among big 5 personalities, neuroticism, agreeableness, and openness to experience were related to the factors for feelings of emptiness. The study also found that motivations such as 'self-disclosure' and 'social pressure from others' tended to enhance the feelings of emptiness. Finally, the study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feelings of emptiness on Facebook use and the addiction to it. Factors of 'isolation and loneliness' and 'unreality' revealed more addiction tendency on Facebook.

본 연구는 페이스북 이용으로 이용자가 경험한 공허감의 요인을 탐색하고, 이 공허감이 페이스북 이용자의 개인적 속성과 이용 중독 행위와 어떠한 관련이 있는지 살펴보았다. 분석을 위해 대학생집단을 대상으로 페이스북 이용자의 공허감 요인을 측정하였고, 관련 문항을 개발하였다. 분석결과 공허감 요인은 세 가지로 추출되었고, 각각 '고립과 외로움', '자기조절장애', '비현실성'으로 명명하였다. 다음, 페이스북 이용자의 공허감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을 분석하였다. 예민할수록 공허감(고립과 외로움, 자기조절장애)을 크게 느끼는 반면 친화성과 개방성향이 강할수록 공허감(자기조절장애)을 덜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페이스북 이용동기 중에서 자기노출 동기와 사회압력 동기가 공허감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끝으로 페이스북 이용자의 공허감과 이용중독간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공허감 요인 중에서 고립과 외로움 요인, 비현실성 요인이 페이스북에 중독되는 경향성과 관련 있었다.

Keywords

References

  1. 한병철, 피로사회, 문학과 지성사, 2012.
  2. H. J. Shaffer, D. A. LaPlante, R. A. LaBrie, R. C. Kidman, A. N. Donato, and M. V. Stanton, "Toward a syndrome model of addiction: Multiple expressions, common etiology," Harvard review of psychiatry, Vol.12, No,6, pp.367-374, 2004. https://doi.org/10.1080/10673220490905705
  3. S. E. Caplan, "Preference for online social interaction a theory of problematic Internet use and psychosocial well-being," Computers in Human Behavior, Vol.30, No.6, pp.625-648, 2003.
  4. I. Goldberg, "Internet addiction disorder," Retrieved November, No.24, 1996.
  5. K. S. Young, "Internet addiction: The emergence of a new clinical disorder," CyberPsychology & Behavior, Vol.1, No.3, pp.237-244, 1998. https://doi.org/10.1089/cpb.1998.1.237
  6. 김교헌, "심리학적 관점에서 본 중독,"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제7권, 제2호, pp.159-179, 2002.
  7. 고은영, 최윤영, 최민영, 박성화, 서영석, "외로움, 대인 민감 및 페이스북 중독 간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제26권, 제3호, pp.713-738, 2014.
  8. 이상호, "소셜미디어 사용자의 중독에 관한 정책적 함의 연구: 한국형 SNS 중독지수 (KSAI) 제안을 중심으로," 디지털융복합연구, 제11권, 제1호, pp.255-265, 2013.
  9. 김형지, 김정환, 정세훈, "스마트폰 중독의 예측요인과 이용 행동에 관한 연구," 사이버커뮤니케이션 학보, 제29권, 제4호, pp.55-93, 2012.
  10. 우형진, "미디어 이용자의 자아 안정성, 성향적 미디어 이용 동기, 플로우, 그리고 중독에 관한 연구," 한국방송학보, 제21권, 제4호, pp.101-140, 2007.
  11. 이상호, 고아라, "소셜미디어 중독의 영향 요인 연구," 한국언론학보, 제57권, 제6호, pp.176-210, 2013.
  12. F. Y. Hong, D. H. Huang, H. Y. Lin, and S. L. Chiu, "Analysis of the psychological traits, Facebook usage, and Facebook addiction model of Taiwanese university students," Telematics and Informatics, Vol.31, No.4, pp.597-606, 2014. https://doi.org/10.1016/j.tele.2014.01.001
  13. P. T. Costa and R. R. McCrae, "The revised neo personality inventory (neo-pi-r)," The SAGE handbook of personality theory and assessment, Vol.2, pp.179-198, 2008.
  14. 김병선, "미디어 기술의 정신병리적 특성에 관한 연구," 언론과 사회, 제22권, 제2호, pp.150-191, 2014.
  15. 안미선, 소셜미디어(SNS) 이용거부 요인에 관한 연구: 트위터와 페이스북 사례를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언론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2.
  16. 김형지, 최홍규, 김성태, 안미선, 이유민, "소셜미디어 이용거부자의 혁신저항에 관한 연구," 한국언론학보, 제56권, 제4호, pp.439-464, 2012.
  17. 김영임, "소셜미디어 이용자의 이용행태와 사회 적 지지감 인식,"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5권, 제4호, pp.407-419, 2015.
  18. 안범희, 대인관계론, 태영출판사, 2010.
  19. 김형지, 김민성, 오대규, 김성태, "스마트폰 커뮤니케이션 애플리케이션 이용, 대인관계, 그리고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사이버커뮤니케이션 학보, 제31권, 제1호, pp.163-198, 2014.
  20. 박웅기, "청소년의 SNS 중독에 관한 탐색적 연구," 언론과학연구, 제13권, 제4호, pp.305-342, 2013.
  21. 김위근, 최민재, "소셜네트워크서비스의 이용동기가 실제 이용과 메시지 특성 인식에 미치는 영 향: '페이스북', '트위터', '싸이월드', '미투데이'의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언론정보학보, 통권 60호, pp.150-171, 2011.
  22. 이상욱, 이지은, 한성준, 정동훈, "소셜미디어 이용자의 자기노출, 공유 메시지, 커뮤니케이션 방향, 그리고 관계 유형 차원의 이해와 행태," 사이버커뮤니케이션 학보, 제30권, 제4호, pp.87-129, 2013.
  23. D. J. Kuss and M. D. Griffiths, "Online social networking and addiction - A review of the psychological Literature," International Journal of Environmental Research and Public Health, No.8, pp.3528-3529, 2011.
  24. 신재욱, 신민철, "자아존중감과 사회적 지지가 대인관계 의사소통 및 모바일 커뮤니케이션 서비스 중독 경향성에 미치는 긍정적 영향의 연구," 사회과학연구, 제29집, 제3호, pp.329-360.
  25. 양혜승, 김진희, 서미혜, "페이스북은 우리의 관계를 윤택하게 하는가?:페이스북 이용행위, 사회적지지 인식의 관계 고찰," 한국언론학보, 제56권, 제5호, pp.270-297, 2012.
  26. R. A. Davis, "A cognitive-behavioral model of pathological Internet use," Computers in human behavior, Vol.17, No.2, pp.187-195, 2001. https://doi.org/10.1016/S0747-5632(00)00041-8
  27. W. R. D. Fairbairn, "Schizoid factors in the personality" Psychoanalytic studies of the personality, pp.3-27, 1940.
  28. H. Kohut, The Analysis of the Self, New York: Int., 1971.
  29. E. D. Klonsky, "What is emptiness? Clarifying the 7th criterion for borderline personality disorder," Journal of personality disorders, Vol.22, No.4, pp.418-426, 2008. https://doi.org/10.1521/pedi.2008.22.4.418
  30. O. F. Kernberg, Severe personality disorders :Psychotherapeutic strategies, Yale University Press, 1993.
  31. W. D. Ellison, L. Rosenstein, I. Chelminski, K. Dalrymple, and M. Zimmerman, "The Clinical Significance of Single Features of Borderline Personality Disorder: Anger, Affective Instability, Impulsivity, and Chronic Emptiness in Psychiatric Outpatients," Journal of personality disorders, pp.1-10, 2015.
  32. T. J. Trull and T. A. Widiger, "The relationship between borderline personality disorder criteria and dysthymia symptoms," Journal of psychopathology and behavioral assessment, Vol.13, No.2, pp.91-105, 1991. https://doi.org/10.1007/BF00961425
  33. 최리라, 경계선 성격장애에서 공허감 척도개발, 덕성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4.
  34. http://www.yonhapnews.co.kr/bulletin/2015/11/04/0200000000AKR20151104062600009.HTML?input=1195m
  35. 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artid=201507281954341&code=970201
  36. 황성욱, 박재진, "페이스북, 무엇이 문제인가?: 심리적 문제점 요인분석," 광고연구, 겨울 91호, pp.68-95, 2011.
  37. https://www.jwt.com/en/worldwide/news/jwtexploresfearofmissingoutreportsxswpresentationspotlighthowbrandscanleveragefomo/
  38. 진보래, 이연경, 박남기, "모바일 메신저 이용의 스트레스 요인," 한국방송학보, 제28권, 제6호, pp.168-210, 2014.
  39. 이정권, 최영, "소셜미디어 이용 동기 연구," 한국언론학보, 제59권, 제1호, pp.115-148, 2015.
  40. M. Z. Yao and Z. J. Zhong, "Loneliness, social contacts and Internet addiction: A cross-lagged panel study," Computers in Human Behavior, No.30, pp.164-170, 2014.
  41. 이새봄, 문재영, 곽준식 "테크노스트레스에 따른 소비자 선택 변화,"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4권, 제12호, pp.402-410, 2014.
  42. 주영주, 정애경, 강정진, 이민영, "기본심리욕구와 페이스북 중독 및 지속사용의도의 구조,"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 논문지, 제16권, 제1호, pp.183-191, 2016.
  43. 황유선, "페이스북 일상담화의 감정 탐색,"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6권, 제2호, pp.1-13, 2016. https://doi.org/10.5392/JKCA.2016.16.02.001
  44. S. Turkle, Alone Together: Why We Expect More from Technology and Less from Each Other, Yew York: Basic Book, 20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