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Correlations between Mindfulness and Life Satisfaction -Focused on Mediating Effects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s-

마인풀니스와 삶의 만족 간의 관계 -대인관계능력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반정윤 (단국대학교 교육학과 상담심리)
  • Received : 2016.06.27
  • Accepted : 2016.08.10
  • Published : 2016.08.28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correlations among mindfulness,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nd life satisfaction and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the interpersonal relationships. Questionnaire survey measuring the mindfulness, the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nd the life satisfaction was performed for 549 adult males and females. The research results by structural equation model to investigate the correlations among mindfulness,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nd life satisfaction are as follows. First, mindfulness,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nd life satisfaction steadily increase in accordance with the three stages of life: youth, early adults, middle and old age. Second, mindfulness has a significantly positive effect on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nd life satisfaction,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lso has a significantly positive effect on life satisfaction. Third, interpersonal relationships has a significantly mediating effect between the relationships between mindfulness and life satisfaction. These results imply that various and active works are required to improve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s well as mindfulness to enhance life satisfaction.

본 연구의 목적은 마인풀니스, 대인관계능력, 삶의 만족 간의 관계를 검증하고, 대인관계능력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성인남녀 549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구조방정식모형을 통해 마인풀니스, 대인관계능력, 삶의 만족 변인들 간의 인과관계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은 주요 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마인풀니스, 대인관계능력, 삶의 만족 수준은 청년기, 성인전기, 성인 중 후기 세 단계 생애주기에 따라서 꾸준히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마인풀니스는 대인관계능력과 삶의 만족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며, 대인관계능력 또한, 삶의 만족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마인풀니스가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대인관계능력의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삶의 만족을 높이기 위해서 마인풀니스 수준을 높이기 위한 개입뿐만 아니라 대인관계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다양하고 적극적인 개입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Keywords

References

  1. 김명소, 김혜원, 차경호, 임지영, 한영석, "한국 성인의 행복한 삶의 구성요인 탐색 및 척도개발,"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제8권, 제2호, pp.415-442, 2003.
  2. 박현숙, 권복순, "대학생의 삶의 만족과 관련 요인," 정신간호학회지, 제15권, 제1호, pp.48-56, 2006.
  3. 최유선, 청소년이 지각한 대인관계양상, 학업성취, 삶의 만족의 관계, 충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4.
  4. 유경, 이주일, "여성의 행복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세대 간 분석,"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제24권, 제2호, pp.89-104, 2010.
  5. L. L. Carstenson, M. Pasupathi, U. Mayr, and J. Nesselroade, "Emotional experience in everyday life across the life span,"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Vol.79, No.4, pp.644-655, 2000. https://doi.org/10.1037/0022-3514.79.4.644
  6. C. J. Jones and W. Meredith, "Developmental paths of Psychological health from early adolescence to later adulthood," Psychology and Aging, Vol.15, pp.351-360, 2000. https://doi.org/10.1037/0882-7974.15.2.351
  7. F. R. Lang and L. L. Carstenson, "Time counts: Future time perspectives, goals, and social relationships," Psychology and Aging, Vol.17, pp.125-139, 2002. https://doi.org/10.1037/0882-7974.17.1.125
  8. 정현진, 여성노인의 연령그룹별 삶의 만족도 차이와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2.
  9. P. K. Hilleras, A. F. Jorm, A. Herliltz, and B. Winbald, "Life satisfaction among the very old," International Journal of Aging and Human Development, Vol.51 No.1, pp.71-90, 2001.
  10. D. J. Levinson, The season's of a woman's life, New York: Ballantine Books, 1996.
  11. 김창수, 노년기 죽음불안에 대한 목회적 돌봄, 한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2.
  12. 황정해, 자녀의 발달단계에 따른 남성의 부성경험 연구, 동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4.
  13. 최영숙, 마인풀니스와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사회적 관심의 매개효과, 단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2.
  14. 정문경, 김병석, "마인풀니스, 정서조절, 지각된 배우자지지, 결혼만족도의 구조적 관계," 상담학연구, 제15권, 제1호, pp.499-518, 2014.
  15. 김여흠, 이윤주, "대학생의 행복감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불안, 공감, 사회적 기술, 분노표현양식, 대인관계만족에 대한 구조 방정식 모델 검증," 상담학연구, 제14권, 제3호, pp.1587-1604, 2013.
  16. F. Heider, "The Psychology of Interpersonal Relationsm," New York: John Wiley & Sons, Inc., 1964.
  17. 김영화, 초등학생의 부모애착과 대인관계 및 자기효능감과의 관계, 상명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1.
  18. 손애리, 고은경, 황순택, "중학생 자기애 성향의 하위유형에 따른 기질과 공감능력의 차이," 한국심리학회지: 학교, 제7권, 제3호, pp.391-404, 2010.
  19. 권석만, 긍정심리학: 행복의 과학적 탐구, 서울:학지사, 2008.
  20. 이윤신, 박성희, 김종경, "간호 대학생의 셀프리더십, 자기효능감, 대인관계, 대학생활 만족," 한국콘텐츠학회지, 제14권, 제6호, pp.229-240, 2014.
  21. 리해근, 하규수, "일상생활요인이 노인의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2권, 제6호, pp.280-292, 2012.
  22. 한정균, "마음챙김 수준과 삶의 질 관계에서 행복요인의 매개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제20권, 제3호, pp.735-751, 2008.
  23. K. W. Brown and R. M. Ryan, "The benefits of being present: Mindfulness and its role in psychological well-being,"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Vol.84, pp.822-848, 2003. https://doi.org/10.1037/0022-3514.84.4.822
  24. K. W. Brown, R. M. Ryan, and J. D. Creswell, "Mindfulness: Theoretical foundations and evidence for its salutary effects," Psychological Inquiry, Vol.18, pp.211-237, 2007. https://doi.org/10.1080/10478400701598298
  25. 김미혜, 문정화, 성기옥, "성인의 생애주기별 주관적 행복감과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Alderfer의 ERG 이론 적용," 한국노년학, 제34권, 제4호, pp.857-875, 2014.
  26. 소은희, 신희천, "감사가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대인관계 기본 심리적 욕구 만족의 매개효과," 상담학연구, 제12권, 제1호, pp.159-175, 2011.
  27. 기현정, 대학생의 생활스트레스가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마음챙김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1.
  28. 이성은, 특성분노와 분노반추가 대인관계에 미치는 영향 : 마음챙김의 매개효과, 대구가톨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