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결혼이주여성을 위한 아동학대예방프로그램의 개발과 효과성 검증

Development and Effectiveness of Child Abuse Prevention Program for Marriage Immigrant Women in Korea

  • 박명숙 (상지대학교 사회복지학과) ;
  • 이재경 (창신대학교 사회복지학과)
  • 투고 : 2016.03.22
  • 심사 : 2016.04.27
  • 발행 : 2016.08.28

초록

본 연구는 결혼이주여성의 한국사회 적응과 자녀양육을 돕고 아동학대 예방을 위한 통합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고 효과성 검증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총 5회기의 단기개입 예방프로그램을 개발하였고, 프로그램은 주1회씩 5주간 진행하였다. 다문화가족지원센터 이용자를 중심으로 유사실험설계의 비동일 통제집단 연구설계를 하였고, 실험집단 18명, 통제집단 17명에 대해 사전사후검증을 통해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평가하였다. 평가결과,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사전사후 평균차이 검증에서 양육스트레스, 문화적응, 사회적지지, 제도인식의 평균차이는 없었지만, 집단별 사전조사와 사후조사의 평균차이 검증에서 실험집단의 문화적응스트레스, 사회적지지, 제도인식의 수준의 증가하였고, 평균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본 프로그램이 아동학대 위험성 및 범죄에 대한 권리보호차원에서 예방적 성격을 가질 수 있음을 보여준다. 또한 본 연구는 다문화가족지원센터 등 관련 기관을 중심으로 아동학대예방사업을 시행할 때, 다문화가정의 결혼이주여성과 아동의 권리보장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확인하였다는 점에서 정책적 시사점이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the prevention program of child abuse and to verify the effects of the program for marriage immigrant women in Korea. The prevention program was consist of 5 sessions and it was provided to participants once a week for five weeks. Participants were recruited thru the community centers for multi-cultural families in Korea. This study verified the effects of the prevention program with the comparison groups(pre-post). With the independent-samples t-test and paired-samples t-test, the program verified significant effects on the variables of acculturation stress, social support, and recognition of social policy. This study suggests the parenting education of child abuse for multi-cultural families in Korea.

키워드

참고문헌

  1. 강동욱, "한국에 있어서 아동학대범죄의 처리절차에 관한 고찰," 소년보호연구, 제26호, pp.213-240, 2014.
  2. 보건복지부, 중앙아동보호전문기관, 2011 전국아동학대현황보고서, 2012.
  3. 한경님, "다문화가정 어머니들의 자녀양육을 위한 부모교육에 대한 요구," 한국영유아보육학, 제73호, pp.171-190, 2012.
  4. T. W. Maretzki, "Intercultural marriage: An introduction," pp.1-11, in Adjustment in intercultural marriage, edited by W. Tseng, J. McDermott, and Jr. T. W. Maretzki, Honolulu: University of Hawaii, Department of Psychiatry, 1977.
  5. S. Moon and K. DeWeaver, "An empirical test of the multicultural/multimodal/multisystems (MULTI-CMS) approach for Korean immigrant families," Journal of Social Work Research and Evaluation, Vol.6, No.1, pp.57-74, 2005.
  6. 김오남, "여성 결혼이민자의 부부갈등 및 학대에 관한 연구: 사회문화적 요인을 중심으로," 한국가족복지학, 제18호, pp.33-76, 2006.
  7. 양옥경, 김연수, 이방현, "서울거주 국제결혼이주 여성의 문화적응과 사회적 지원서비스에 관한 조사연구," 서울도시연구, 제8권, 제2호, pp.229-251, 2007.
  8. 김지현, 오진아, 윤채민, 이자형, "국제결혼 이주여성의 양육경험: 양육스트레스와 양육효능감을 중심으로," 부모.자녀건강학회지, 제12권, 제1호, pp.46-60, 2009.
  9. J. S. Milner, "Social information processing and physical child abuse," Clinical Psychology Review, Vol.13, pp.275-294, 1993. https://doi.org/10.1016/0272-7358(93)90024-G
  10. M. E. Haskett, S. Smith Scott, M. Willoughby, L. Ahern, and K. Nears, "The parent opinion questionnaire and child vignettes for use with abusive parents: Assessment of psychometric properties," Journal of Family Violence, Vol.21, No.2, pp.137-151, 2006. https://doi.org/10.1007/s10896-005-9010-2
  11. N. B. Guterman, "Parental perceptions of neighborhood processes, stress, personal control, and risk for physical child abuse and neglect," Child Abuse & Neglect, Vol.33, pp.897-906, 2009. https://doi.org/10.1016/j.chiabu.2009.09.008
  12. 정현미, "결혼이민여성 가정폭력 피해현황과 지원체계 개선방안," 이화젠더법학, 창간호(3월), pp.71-102, 2010.
  13. 박명숙, 이재경, "결혼이주여성의 아동학대 발생위험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양육스트레스, 문 화적응스트레스, 사회적지지의 구조적 관계," 한국사회복지학, 제66권, 제2호, pp.179-202, 2014.
  14. 조윤오, "다문화가정 여성의 가정폭력 피해경험에 대한 연구," 피해자학연구, 제18권, 제1호, pp.159-183, 2010.
  15. 이재경, 박명숙, "다문화가정의 아동학대 발생위험요인으로써의 남편의 음주, 아내폭력, 양육스트레스에 관한 연구," 한국아동복지학, 제48호, pp.235-259, 2014.
  16. N. A. Cohen, T. V. Tran, and S. Rhee, Multicultural approaches in caring for children, youth, and their families, Boston: Pearson Education Inc, 2007
  17. 오세연, 박원배, "다문화가정의 아동학대의 원인과 대응방안에 관한 연구: 사례분석을 중심으로," 한국범죄심리연구, 제6권, 제3호, pp.137-163, 2010.
  18. C. L. Williams and J. W. Berry, "Primary prevention of acculturative stress among refugees: Application of psychological theory and practice," American Psychologist, Vol.46, pp.632-641, 1991. https://doi.org/10.1037/0003-066X.46.6.632
  19. J. W. Berry, "Acculturation and health: Theory and research," pp.39-57, In Cultural clinical psychology: Theory, research and practice, edited by S. S. Kazarian, and D. R. Evans,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1988.
  20. J. W. Berry and U. Kim, "Acculturation and mental health," pp.207-236, In Health and cross-cultural psychology: Towards applications, edited by P. R. Dasen, J. W. Berry, and N. Sartorius, Newbury Park, CA: Sage, 1988.
  21. 박병금, "결혼이민여성의 가족적응 과정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3권, 제2호, pp.277-295, 2013. https://doi.org/10.5392/JKCA.2013.13.02.277
  22. 송미경, 지승희, 조은영, 임영선, 다문화가정 외국인 모의 경험에 관한 연구, 서울: 한국청소년상담원, 2007.
  23. 서홍란, 김기언, 김양호, "베트남 여성결혼이민자의 양육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가족관계학회지, 제13권, 제3호, pp.121-143, 2008.
  24. 윤명숙, 이해경, "농촌지역 결혼이주여성의 부모됨을 통한 적응 경험," 한국가족복지학, 제32호, pp.103-135, 2011.
  25. 임지향, 이홍표, "다문화가정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가 양육태도에 미치는 영향 및 우울의 조절효과 분석," 미래유아교육학회지, 제17권, 제2호, pp.49-70, 2010.
  26. 박재규, "사회적 지지가 국제결혼 여성이민자의 가족생활 스트레스에 미치는 효과 분석," 지역사회학, 제12권, 제1호, pp.81-110, 2010.
  27. C. E. Morisset, Language and Emotional Milestones on the Road to Readiness, Arling, VA :Zero to Three National Center for Clinical Infant Programs, 1993.
  28. P. Smokowski, A. Reynolds, and N. Bezrucko, "Resilience and protective factors in adolescence: An autobiographical perspective from disadvantaged youth," Journal of School Psychology, Vol.37, No.4, pp.425-448, 1999. https://doi.org/10.1016/S0022-4405(99)00028-X
  29. P. A. Thoits, "Stress, Coping, and Social Support Process: Where are We? What? When Next?," Journal of Health and Social Behavior, Extra Issues, pp.53-79, 1995.
  30. 김순옥, 임현숙, 정구철, "결혼이주여성의 배우자지지, 가족지지가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3권, 제11호, pp.221-235, 2013 https://doi.org/10.5392/JKCA.2013.13.11.221
  31. 박명숙, "한국 이민가정의 사회적지지망과 아동학대 발생위험성에 관한 연구," 한국지역사회복지학, 제25권, 제1호, pp.127-151, 2008.
  32. 안준희, 조정희, "결혼이주여성의 문화적응 스트레스의 영향요인 분석: 충청남도지역을 중심으로," 한국가족복지학, 제32호, pp.137-176, 2011.
  33. 정채옥, "보육교사의 아동학대에 관한 인식연구," 한국영유아보육학, 제30호, pp.298-325, 2001.
  34. 김주아, "예비교사의 아동학대 및 신고의무제에 대한 인식 연구," 문화교류연구, 제3권, 제3호, pp.99-125, 2014.
  35. 김영주, "결혼이주여성의 자녀 출산․양육 정책에 대한 비판적 고찰," 한국인구학, 제33권, 제1호, pp.51-73, 2010.
  36. 박찬옥, 이은경, "출신 국가별 다문화가정 어머니의 자녀 교육관 및 부모역할 인식," 다문화콘텐츠연구, 제12호, pp.65-94, 2012.
  37. 윤재희, 유향선, "결혼이주여성의 어머니하기," 다문화콘텐츠연구, 제11호, pp.41-80, 2011.
  38. 이연승, "유아기 부모를 위한 아동학대 예방 교육에 관한 일 연구," 경성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인문과학논총, 제5호, pp.349-369, 2002.
  39. 김오남, "부모의 아동 성학대 예방에 대한 실태와 요구도 및 교육프로그램 구성," 한국가정관리학회지, 제22권, 제4호, pp.73-84, 2004.
  40. 오수진, "집단통합예술치료 프로그램의 아동학대 부모교육으로서 활용 효과에 관한 연구," 예술심리치료연구, 제8권, 제2호, pp.125-151, 2012.
  41. 박현선, 배진희, 안동현, 한지숙, "아동학대 가해부모를 위한 치료프로그램 개발," 아동권리연구, 제8권, 제4호, pp.649-670, 2004.
  42. 이경희, "인천광역시 아동학대 실태와 관련변인에 관한 연구," 동광, 제95호, pp.134-174, 1998.
  43. 하은경, 박천만, "아동학대실태 및 관련요인-대구광역시 일개 초등학교를 중심으로-," 대한보건협회학술지, 제28권, 제4호, pp.351-362, 2002.
  44. 이경님, "아동이 지각한 부부갈등, 어머니의 양육행동과 아동행동문제가 아동학대에 미치는 영향," 한국생활과학회지, 제13권, 제1호, pp.63-73, 2004.
  45. 고성혜, "어머니가 지각한 양육스트레스에 관한 연구," 한국청소년연구, 제18호, pp.21-37, 1994.
  46. R. R. Abidin, Parenting Stress Index. Charlottesville, VA : Pediatric Psychology Press, 1990.
  47. A. P. Goldstein, H. Keller, and D. Erne, Changing the Abusive Parent, Champaign, IL: Research Press, 1985.
  48. 최나야, 우현경, 정현심, 박혜준, 이순형, "영유아기 자녀를 둔 다문화가정 어머니의 양육 스트레스," 한국가정관리학회지, 제27권, 제2호, pp.255-268, 2009.
  49. 김현경, "유아기 자녀를 둔 다문화가정 어머니의 문화 격차인식, 문화적응이 양육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열린유아교육연구, 제14권, 제5호, pp.229-254, 2009.
  50. 김기현, 강희경, "양육스트레스 척도의 개발," 대한가정학회지, 제35권, 제5호, pp.141-150, 1997.
  51. S. D. Sandhu and R. B. Asrabadi, "Development of an acculturative stress scale for international student : Preliminary findings," Psychological Report, Vol.75, No.1, pp.435-448, 1994. https://doi.org/10.2466/pr0.1994.75.1.435
  52. 이승종, 문화이입과정 스트레스와 유학생의 신념체계 및 사회적지지와의 관계,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6.
  53. 박명숙, 강희경, "미국 이민 여성의 심리적 복지와 관련 변인," 경성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사회과학연구, 제25권, 제1호, pp.79-93, 2009.
  54. H. I. McCubbin, J. Patterson, and T. Glynn, "Social Support Index(SSI)," pp.357-389, in Family Assessment : Resiliency, Coping and Adaptation. Inventories for Research and Practice, edited by H. I. McCubbin, A. I. Thompson, and M. A. McCubbin, Madison: University of Wisconsin Press, 1996.
  55. 김오남, "결혼이민자가족의 아내학대와 영향요인 연구," 한국사회복지학, 제58권, 제4호, pp.5-36, 20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