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ferences
- Stephen Fox (2014). Third Wave Do-It-Yourself(DIY): Potential for prosumption, innovation, and enterpreneurship by local populations in regions without industrial manufacturing infrastructure. Technology in Society, 39(November 2014), 18-30. https://doi.org/10.1016/j.techsoc.2014.07.001
- Resnick, M. (1998). Technologies for Lifelong Kindergarten. Educational Technology Research & Development, 46(4), 43-55. https://doi.org/10.1007/BF02299672
- Papadimatos, P. (2005). Physical computing: using everyday objects as communication tools. Ph.D. dissertation, University College London.
- O'Sullivan, D., & Igoe, T. (2004). Physical computing: sensing and controlling the physical world with computers. NY: Course Technology Press.
- Gabriela T. R. (2008). Employing Physical Computing in Education: How Teachers and Students Utilized Physical Computing to Develop Embodied and Tangible Learning Objects. The International JOURNAL of TECHNOLOGY, KNOWLEDGE & SOCIETY, 4(3), 93-102.
- 교육부(2015). 2015 개정 정보 교육과정.
- Resnick, M. (2007). Sowing the Seeds for a More Creative Society. Learning & Leading with Technology, December, 18-22.
- 양창모 (2014). 메타 분석을 이용한 로봇교육과 프로그래밍교육의 효과 비교. 정보교육학회논문지, 18(3), 413-422.
- 아오키히로유키, 심재권, 김자미, 이원규 (2012). 스케치 기반 로봇 시뮬레이션 도구개발.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15(2), 57-66.
- Mareen PRZYBYLLA, Ralf ROMEIKE (2014). Physical Computing and its Scope - Towards a Constructionist Computer Science Curriculum with Physical Computing. Informatics in Education, 13(2), 241-254. https://doi.org/10.15388/infedu.2014.05
- Stephenson, C., & Barr. V. (2011). Defining Computational Thinking for K-12. CSTA Voice, 7(2), 3-4.
- http://www.isof.org/
- http://engineering.nyu.edu/k12stem/crest/
- http://stelar.edc.org/
- 김석희, 유헌창 (2014), 2년간의 추적 연구를 통한 Physical Computing 기반의 STEAM 프로그램의 효과.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17(2), 77-86.
- 김석희, 유헌창 (2013). Hands on 센서 기반고도화된 STEAM 교육 프로그램의 효과.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16(3), 79-89.
- 김찬웅 (2014). 초등학교 정보과학 연관교과에 아두이노를 이용한 피지컬컴퓨팅의 적용 방안연구. 석사학위논문, 경인교육대학교.
- 안준별 (2015). 디자인기반 학습을 활용한 초등학교 피지컬 컴퓨팅 교육 프로그램 개발. 석사학위논문, 경인교육대학교.
- Resnick, M. (2009). Scratch Programming for All, Communications of the ACM, 52(11), 60-67. https://doi.org/10.1145/1592761.1592779
- 손경호 (2013). 아두이노를 활용한 프로그래밍 교육방안 탐구 및 적용. 석사학위논문, 경인교육대학교.
- 심재권, 김자미, 이원규 (2010). 교육용 프로그래밍 도구 활용의 정보과학교육을 통한 초등학생의 정보과학에 대한 인식 분석. 정보교육학회논문지, 14(3), 385-393.
- 김용천, 최지영, 권대용, 이원규 (2013). 초등학생의 프로그래밍 학습을 위한 알고리즘적 사고 문제 모델 기반의 활동지 개발 및 적용. 정보교육학회논문지, 17(3) 233-242. https://doi.org/10.14352/jkaie.2013.17.3.233
- 김용천, 이원규 (2014). 스크래치를 활용한 프로그래밍 수업에서 알고리즘 설계 학습을 위한 활동지 개발 및 적용. 한국컴퓨터교육학회 학술대회논문집, 18(2), 33-36.
- Cangelosi, J. S. (1990). Designing tests for evaluating student achievement. NY: Longman.
- Ebel, R. L. (1965). Measuring Educational Achievement. Englewood Cliffs, N.J: Prentice-Hall.
- 송정범, 백성혜, 이태욱(2009). 성별의 차이를 고려한 로봇 프로그래밍 학습이 여중학생의 몰입수준과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효과.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12(1), 45-55.
- 유병건, 김자미, 이원규 (2012). 성별에 따른 프로그래밍 성취도와 문제해결과정의 관계 분석.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15(6), 1-10.
- 배영권 (2007). 성별의 차이를 고려한 로봇프로그래밍 교수전략에 관한 연구.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10(4), 27-37.
- 성영훈 (2015). STEAM기반 스토링텔링 로봇활용교육이 초등학교 여학생들의 학습태도에 미치는 영향. 정보교육학회논문지, 19(1), 87-98. https://doi.org/10.14352/jkaie.2015.19.1.87
- 신승기, 최익선, 배영권 (2015). Made with Code를 활용한 여학생의 소프트웨어 교육방안 탐색. 한국기술학회논문지, 10(1), 121-13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