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air related multimodal transport and operator's legal liabilities

항공연계 복합운송의 현황과 손해배상책임 - 대법원 2014.11.27. 선고 2012다14562 판결을 중심으로 -

  • Received : 2016.06.10
  • Accepted : 2016.06.28
  • Published : 2016.06.30

Abstract

Recently, the Supreme Court of Korea delivered a milestone judgment about air related multimodal transport. At there, the mattered cargo, some expensive jewellery, was transported from Qingdao, China to downtown office of consignee at Seoul via Incheon airport in Korea. As an air waybill was issued in this case, there was an air transport agreement between consignor and air courier operator. After arriving at Incheon airport, the shipment was transport by land arranged by the air courier operator, who was a defendant in this case. Upon arriving at the final destination, it was found that the jewellery was lost partly and based on circumstantial evidence, the damage presumed to be occurred during the land transport. As a subrogee, the insurance company who paid for consignee filed an action against the air courier operator for damage compensation. Defendant contended that Montreal convention should be applicable in this case mainly for limited liability. The lower court of this case confirmed that applying the limited liability clause under Montreal Convention is improper under the reason that the damage in this case was or presumed to be occurred during surface transport. It was focused on the Montreal Convention article 18 which says that the period of the carriage by air does not extend to any carriage by land, by sea or by inland waterway performed outside an airport. However, the Supreme Court overturned the lower court's decision. The delivered opinion is that the terms of condition on the air waybill including limited liability clause should be prevailed in this case. It seems that the final judgment was considered the fact that the only contract made in this case was about air transport. This article is for analysis the above decisions from the perspective that it is distinguishable between a pure multimodal transport and an expanded air transport. The main idea of this article is that under the expanded air transport, any carriage by land, sea or inland waterway only for the performance of a contract for carriage by air, for the purpose of loading, delivery or transhipment is still within the scop of air transport.

사안의 화물은 중국 칭다오를 출발하여 한국으로 수입된 귀금속으로, 사실관계에 따르면 인천공항까지 항공운송된 이후에 공항에서 서울 용산에 소재한 수하인의 주소지까지 육상운송되던 도중에 화물의 일부가 도난당하는 사고가 발생하였다. EXW조건으로 운송된 본건 화물에 대해 항공화물특송업을 영위하는 피고 운송인은 수출지 칭다오에서 수입자와 항공화물운송계약을 체결하였고 그에 관한 증빙으로 항공화물운송장이 발행되었다. 화물분실에 관한 손해배상책임에 관하여, 피고 운송인은 피고의 항공운송약관 및 민법과 상법에 우선하여 몬트리올협약이 적용되어야 함을 주장하면서 그에 따라 자신의 손해배상책임은 협약에 규정된 바와 같이 일정 한도로 제한되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본 사안의 원고는 수입업자에게 보험금을 지급하고서 수입업자의 손해배상청구권을 대위행사하는 보험자였는데, 원고는 본 사건의 손해가 육상운송구간에서 발생하였으며 몬트리올 협약 제18조 제4항에 따라 항공운송 이외 구간에서 발생한 손해에 대해서는 협약이 적용될 수 없다고 주장하였다. 동 규정에 따르면 항공운송의 기간에는 공항 외부에서 행한 육상, 해상 또는 내륙수로운송은 포함되지 아니하는 것으로 명시되어 있기 때문이다. 또한 그러한 운송이 항공운송계약을 이행함에 있어서, 화물의 적재, 인도 또는 환적을 목적으로 하여 행하여졌을 때에는 반증이 없는 한 어떠한 손해도 항공운송 중에 발생한 사고의 결과라고 추정된다는 규정도 있다. 이에 따라 원고 보험자는 원칙적으로 항공운송 규범은 비(非)항공운송 구간에서 발생한 손해에 대해서는 적용되어서는 아니 되고, 더욱이 본 건과 같이 육상운송 구간에서 손해가 발생한 것으로 추정되고 그에 관한 반대의 입증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협약상 항공운송 중에 발생한 손해에 관한 추정규정도 적용되지 않으므로 오로지 육상운송에 관한 규범에 따라 피고 운송인이 손해배상책임을 부담하여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우리 상법상 육상운송에 관한 규정은 어떠한 책임제한원칙도 두지 않고 있으므로 만약 상법이 적용되고 몬트리올 협약과 같은 항공운송규범이 적용되지 않는다면 피고 운송인의 손해배상책임은 실손해배상을 기준으로 산정되어야만 하였다. 사안의 제1심과 원심은 원고 보험자의 주장을 받아들여 항공운송 규범의 적용을 불허하면서 역시 그에 따른 책임제한규정도 적용될 수 없다고 판단하였다. 이에 반해 대법원은 사안에서 체결된 운송계약의 내용으로 항공화물운송장의 이면약관의 적용을 긍정하여 피고 운송인이 책임제한을 원용할 수 있다고 판단하였다. 본 논문은 위와 같은 사실관계를 바탕으로 법원의 판단내용을 재검토하는 것을 주요 내용으로 한다. 특히 복합운송인에 의해 복합운송증권이 발행되는 '단순한 복합운송계약'과 항공운송의 이행과정에서 항공화물의 적재, 인도, 환적을 목적으로 이종의 운송수단이 사용되는 '확장된 항공운송계약'의 구별 필요성에 관해서도 살펴보았다. 본 연구는 기존에 해상운송 중심적이던 복합운송에 관한 연구와 비교하여 항공연계 복합운송에 관한 논의를 전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고 하겠다.

Keywords

References

  1. 김두환, 국제.국내항공법과 개정상법(항공운송편) (2011), 한국학술정보
  2. 김명식, 특수법인론 (2005), 한국학술정보
  3. 오원석.박광서 무역상무(제3판, 2016) 삼영사
  4. 김군.최도원.이인규, "중국발 Sea & Air 복합운송 경로 선호도 평가에 관한 연구", 한국항공경영학회지, 제9권 4호 (2011)
  5. 김용구.이창재, "국제화물운송에서의 보험자대위권의 제한", 서울법학 제23권 제1호 (2015)
  6. 김인현, "해상운송법에서 계약자유의 원칙과 그 제한", 기업법연구 제18권 제2호 (2004)
  7. 김종복, "New Warsaw Convention : Montreal Convention 1999소개", 항공우주법학회 제17권(2003)
  8. 김지환, "육상운송법의 국제화를 위한 입법론적 검토", 국제거래법연구, 제18집 제2호(2009)
  9. 남현숙.최준선, "송하인의 운송물 처분청구권과 항공화물운송장", 항공우주정책법학회지 제30권 제2호(2015)
  10. 서완석, "국제항공운송법의 연혁과 전망", 기업법연구 제19권 제2호(2005)
  11. 송호신, "복합운송에 대한 2010년 상법개정안의 분석과 비판", 한양법학, 제22 권 제2호(2011)
  12. 양승규, "보험조건 설명의무위반으로 인한 보상과 보험자대위 : 대법원 2014.11.27. 선고 2012다14562 판결-파기환송", 손해보험 통권 제558호 (2015)
  13. 이강빈, "몬트리올 조약상 국제항공화물배상책임제도에 관한 고찰", 항공우주법학회지 제18호(2003)
  14. 이창재, "개정 상법상 항공화물운송인의 책임", 성균관법학 제24권 제1호 (2012)
  15. 정재곤, "복합운송규정의 개정과 과제", 중앙법학 제13집 제2호 (2011)
  16. 최준선.김영주, "복합운송인의 책임체계에 관한 연구", 성균관법학 제22권 제1호(2010)
  17. 최준선.김영주, "복합운송법의 제정 방향", 상사법연구 제29권 제1호(2010)
  18. Editors, Law Review (1957) Exculpatory Clauses the Historical Impact of Common-Carrier Law and the Modern Relevance of Insurance, University of Chicago Law Review: Vol. 24: Iss. 2, Article 6
  19. Jose Angelo.Estrella Faria, Uniform Law for International Transport at UNCITRAL: New Times, New Players, and New Rules, Texas International Law Journal, Vol.44:277
  20. Michael F. Sturley, Basic Cargo Damage Law: Historical Background, in 2A BENEDICT ON ADMIRALTY 2-1, 2-1 to 2-3 (7th rev. ed. 1995)
  21. Michael Milde, "New Unification of Private International Air Law-a rebirth of the Warsaw System", The Korean Journal of Air and Space Law, Vol.11(199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