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고문헌
- 강신택, 1976, "행정조직상의 계층구조와 전문직," 행정논총, 14(2), 2094-2099.
- 강영걸, 2012, "공공 민간 사회복지사 이직의도 비교 연구," 한국지역지리학회지, 18(1), 86-100.
- 권기욱.조주은, 2007, "유비쿼터스 사회의 직업구조에 대한 시론적 전망," 사이버커뮤니케이션 학보, 23, 5-38.
- 권상철 2000, "한국의 인구이동과 대도시의 역할: 지리적 이동과 사회적 이동을 중심으로," 한국도시지리학회지, 3(1), 57-68.
- 구교준.조광래, 2011, "창의경제 연구 어떻게 할 것인가?: 지역경제 분석의 관점에서," 한국행정학보, 45(2), 269-289.
- 김기환, 1993, "서비스산업의 성장과 취업구조의 변화," 경제와사회, 17, 263-285.
- 김동현.최예술.임업, 2013, "일반화위계선형모형을 이용한 지역 간 노동이동요인에 관한 연구," 지역연구, 28(3), 3-24.
- 김승남, 2014, "재택근무는 주거입지 선택에 있어 고용입지에 대한 종속성을 약화시키는가? -수도권의 정보화직종 종사자를 대상으로 한 실증연구-," 지역연구, 31(1), 35-62.
- 김원동, 1992, "정보화사회의 직업과 노동의 성격변화," 한국사회학회 기타간행물, 40-63.
- 김재익.전명진, 1996, "직업중심지별 직주분리패턴의 비교분석," 지역연구, 12(1), 77-91.
- 김지섭, 1994, "화이트칼라의 내적 분화와 계층론적 함의," 한국사회학, 28, 71-96.
- 김헌재, 1989, "도시성장에 따른 직업구조 변화에 관한 연구," 장안지리, 4(8), 1-52.
- 김형태, 2009, "직주균형이 통근통행에 미치는 영향 (1990-2005): 수도권 지역을 대상으로," 국토계획, 44(7), 171-184.
- 노시학, 2000, "서울시 여성 취업자의 취업형태와 통근통행패턴간의 연관성 분석," 한국도시지리학회지, 3(1), 43-56.
- 노시학.손종아, 1993, "성에 따른 직주분리와 통근통행 패턴의 차이 -서울의 기혼여성과 기혼남성을 중심으로-," 대한지리학회지, 28(3), 227-246.
- 문남철, 2010, "대학 졸업자의 지역간 취업이동과 지역발전," 국토지리학회지, 44(4), 581-593.
- 문남철, 2011, "구직과 구인, 취업참여의 지역간 차이," 한국경제지리학회지, 14(2), 176-191.
- 문남철, 2013, "월경취업 노동이동과 접경지역 노동시장 조절 -유럽연합 Grande Region을 사례로-," 한국경제지리학회지, 16(2), 167-181.
- 박경숙, 2002, "노동시장의 고령화와 업종.직종에서의 연령분리현상," 노동정책연구, 2(2), 69-81.
- 박삼옥.진종헌.구양미(2008), "서울의 인구고령화와 고령자 고용의 지역적 특성," 대한지리학회지, 43(3), 337-357.
- 박추환.김명수, 2006, "지역 노동력 이동의 결정요인 연구," 지역연구, 22(2), 97-113.
- 방하남.김기헌.신인철, 2011, "한국의 직업구조 변화와 직업이동 연구," 한국노동연구원.
- 서문기, 2004, "정보사회와 골드칼라: IT 인적자원의 가능성과 함의," 정보통신정책연구, 11(4), 33-55.
- 서종국, 1998, "도시공간구조변화와 통행행태의 변화관계에 관한 연구 -수도권의 산업 및 직업별 인구분포와 통근행태의 변화를 중심으로-," 국토계획, 33(5), 167-182.
- 손승호, 2015, "서울대도시권 통근통행의 변화와 직-주의 공간적 분리," 한국도시지리학회지, 18(1), 97-110.
- 신광영.이성균, 1999, "IMF 경제위기 하에서의 계급과 실업, 한국사회학회 사회학대회 논문집, 57-72.
- 심규범, 2009, "건설업의 일자리 구조 변화와 정책 방향," 노동리뷰 4월호, 42-59.
- 심윤종.양종회.김정탁, 1987, 사무직 근로자의 직업 및 직장생활에 관한 연구 -화이트 칼라의 성격규명을 위하여-," 사회과학, 27(1), 187-274.
- 안영진, 2001, "전남대학교 졸업생의 취업구조와 지역발전," 한국경제지리학회지, 4(2), 37-56.
- 안영진, 2013, "대학 졸업생의 취업구조 및 취업이동 특성과 지역발전: 전남대학을 사례로," 국토지리학회지, 47(3), 337-350.
- 양정미.정기환.최종률, 2011, "관광계열 학생들의 현장 실습 만족이 취업결정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사진지리학회지, 21(4), 187-203.
- 유경희, 1985, "데이터베이스 산업 분야의 신직종, 한국통신학회 심포지움, 111-118.
- 유규창.서용구.신도철.안주엽.문주희.한상근, 2005, 호스피털리티 산업의 직업구조 특성과 인적자원 개발 전략," 한국직업능력개발원.
- 이기석, 1990, "후기산업사회의 고용전환과 도시구조," 지역연구, 6(2), 107-121.
- 이원호, 2002, "우리나라 광역대도시 지역노동시장의 임금결정과정과 소득격차," 한국경제지리학회지, 5(2), 187-207.
- 이원호, 2016, "장소기반 정책과 도시빈곤," 대한지리학회지, 51(1), 41-56.
- 이정현.이희연, 2015, "광역경제권별 구인, 구직의 지역 간 미스매치 특성 비교," 지역연구, 31(2), 79-100. https://doi.org/10.22669/KRSA.2015.31.2.079
- 이중희, 2005, "중국에서의 중간계층의 성장과 구조변화," 국제지역연구, 9(3), 221-250.
- 이태희.김려은, 2011, "지리적 격리형 강원랜드 카지노 종사원의 직무만족도에 관한 연구: 서울소재 카지노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사진지리학회지, 21(3), 75-85.
- 이현욱, 2013, "청년층 여성의 취업이동과 불안정 고용에 대한 연구," 한국도시지리학회지, 16(2), 105-118.
- 이현재, 2014, "우리나라의 권역별 기대소득 격차와 노동인구 이동에 관한 실증분석: 5+2 광역경제권을 중심으로," 지역연구, 30(1), 63-80.
- 이희연, 1993, "우리나라 정보관련직종의 공간적 분포와 지역적 격차에 관한 연구," 지역연구, 9(1), 3-24.
- 이헌영.임업.최예술.김민영, 2014 "수도권 임금 근로자의 성별 임금격차: 직종 숙련특성에 따른 직종 간 임금격차와 직종 내 성별 임금격차, 지역연구, 30(4), 3-20.
- 임창규.유인진, 2011, "세대 간 직업계층의 계승과 직업지속성 간의 관계, 고용직업능력개발연구, 14(2), 127-151.
- 장창원.이상준, 1999, "지식.정보산업화에 따른 직종변화," 한국직업능력개발원.
- 장홍근, 2007, "직업구조와 직업선호의 변화," 본질과 현상, 7, 71-84.
- 정근식, 1984, "화이트칼라의 성격규정을 위한 연구," 한국사회학연구, 7, 83-102.
- 정연주, 2001, "외국인 노동자 취업의 공간적 전개 과정 -경인지역을 사례로-," 한국도시지리학회지, 4(1), 27-42.
- 정이환, 1992, "후기 산업 사회와 직업 구성의 변화," 사회와 역사, 38, 89-114.
- 조가원, 2014, "고급 과학기술인력 직업구조의 전환 - 이공계 박사인력의 세대별 분석," 과학기술정책, 24(3/4), 16-28.
- 조동기.조희경, 2002, "지식정보화에 따른 직업구조의 변화와 특성," 정보통신정책연구원.
- 조현미, 2007, "재일한인 중소규모 자영업자의 직업과 민족 간의 유대관계," 대한지리학회지, 42(4), 601-615.
- 진미석.노일경.손유미, 2003, "직업지도에서 나타난 여성직업구조의 특성," 진로교육연구, 16(1), 17-36.
- 차종천, 1998, "직업위세와 계층구조," 한국사회학, 32, 737-756.
- 최은영.홍장표, 2014, "세대 간 직업계층의 이동성," 지역사회연구, 22(1), 51-70.
- 하성규.김재익, 1992, "주거지와 직장의 불일치 현상에 관한 연구-도시권을 중심으로," 국토계획, 27(1), 51-71.
- 한상근 2005, "직업연구의 현황과 과제," 진로교육연구, 18(1), 168-186.
- 한주성, 1998, "재중.재미.재일동포의 거주지 분포와 직업구성의 공간적 특성," 한국지역지리학회지, 4(2), 219-234.
- 한주연, 1989, "서울시의 직업별 거주지 분리현상에 관한 연구," 지리교육논집, 21, 32-70.
- 홍두승.김병조.조동기, 1999, 한국의 직업구조, 서울대학교 사회발전연구총서, 13. 서울대학교출판부.
- Blau, P. M. and O. D. Duncan., 1967, The American Occupational Structure, Wiley, New York.
- Bibb, Robert and William H. Form., 1977, The effects of industrial, occupational, and sex stratification on wages in bluecollar markets, Social Forces, 55, 974-996. https://doi.org/10.2307/2577567
- Chan, T. W. and J. H. Goldthorpe., 2004, Is There a Status Order in Contemporary British Society? Evidence from the Occupational Structure of Friendship, European Sociological Review, 20(5), 383-401. https://doi.org/10.1093/esr/jch033
- Crompton, R., 1993, Class and Stratification, Polity Press, Cambridge.
- Eric, G. and D, Pager., 2001, The Structure of Disadvantage: Individual and Occupational Determinants of the Black-White Wage Gap, American Sociological Review, 66(4), 542-567. https://doi.org/10.2307/3088922
- Feser, E., 2002, What regions do rather than make: A proposed set of knowledge-based occupation clusters, Urban Studies, November.
- Feathermann, D, L., 1981, Stratification and Social Mobility: Two Cumulative Social Science, The State of Sociology, 79-100, edited by J. F. short, Sage, Beberly Hills.
- Freedman, M., 2007, Encore: Finding Work that Matters in the Second Half of Life, 김경숙 옮김(2009) 앙코르: '오래 일하며 사는' 희망의 인생설계, 프런티어.
- Freeman, P. and W. Aspray., 1999, The Supply of Information Technology Workers in the United States, Computing Research Association.
- Ganzeboom, H. B., Treiman, D. J. and W. C. Ultee., 1991, Comparative Intergenerational Stratification Research: Three Generations and Beyond, Annual Review of Sociology, 17, 277-302. https://doi.org/10.1146/annurev.so.17.080191.001425
- Hirsch, B. T., Macpherson, D. A. and M. A. Hardy., 2000, Occupational Age Structure and Access for Older Workers, Industrial and Labor Relations Review, 53(3), 401-418. https://doi.org/10.1177/001979390005300303
- Hodson, R., and T. A. Sullivan., 1996, The Social Organization of Work, Belmont, Wadsworth, CA.
- Hong Joon, Yoo., Tae In Chung. and Worlhwa Kim., 2014, A Comparative Study of Industry, Occupational Structure and Occupational Prestige Rankings in Korea, China and Japan(한, 중, 일 3개국의 산업, 직업구조 및 직업위세 순위의 비교 연구), 국제지역연구, 18(1), 83-103.
- Kalleberg, A. L., 1988, Comparative Perspectives on Work Structures and Inequality, Annual Review of Sociology, 14, 203-225. https://doi.org/10.1146/annurev.so.14.080188.001223
- King, M., 1992, Occupational Segregation by Race and Sex, 1940-88. Monthly Labor Review, 115, 30-37.
- Markusen, A., 2004, Targeting Occupations in Regional and Community Economic Development, Journal of the American Planning Association, 70(3), 253-268. https://doi.org/10.1080/01944360408976377
- Massey, D., 1984, Spatial Divisions of Labour, Social Structures and the Geography of Production, London: Macmillian.
- Moretti, E., 2012, The New Geography of Jobs, 송철복 옮김 (2014), 직업의 지리학, 김영사.
- Murphy, K. M. and W. Finis., 1994, Industrial Change and the Rising Importance of Skill, Uneven Tides: Rising Inequality in America, edited by S. Danziger and P. Gottschalk, New York: Russell Sage Foundation, 101-132.
- Parkin, F., 1971, Class Inequality and Political Order, Paradin, London.
- Reeve, V., 1977, The Occupational Composition of American Classes: Results from Cluster Analysis, American Journal of Sociology, 82(4), 783-807. https://doi.org/10.1086/226390
- Sewell, William H. and Robert M. Hauser., 1975, Education, Occupation, and Earnings: Achievement in the Early Career, Academic Press, New York.
- Tenenhaus, M. and F. W. Young., 1985, An Analysis and Synthesis of Multiple Correspondence Analysis, Optimal Scaling, Dual Scaling, Homogeneity Analysis, and Other Methods for Quantityzing Categrocal Multivariate Data, Phychometrika, 50(1), 91-119. https://doi.org/10.1007/BF02294151
- Thompson, W. and P. Thompson, 1985, From industries to occupations: Rethinking local economic development, Economic Development Commentary, 9(3), 12-18.
- Zawacki, R. A., 1999, Gold-collar Standard, Information Week, 27 September, 320-3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