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Impacts of Self-Efficacy on Subjective Well-Being and Recommendation Intention: Focusing on Moderating Role of Experience Type

자기효능감이 주관적 안녕감과 추천의도에 미치는 영향: 체험형태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한장헌 (경희대학교 대학원 관광학과)
  • Received : 2016.03.14
  • Accepted : 2016.05.24
  • Published : 2016.07.28

Abstract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leisure experience type and self-efficacy, on subjective well-being in ski resort. The study is to examine the moderating role of leasure experience type (ski related experience and non ski related experience) between self-efficacy and subjective well-being. Further, the relationship between subjective well-being and recommendation intention was investigated. As a result, self-efficacy significantly influenced on subjective well-being (satisfaction of leisure, positive affect). Respondents who are high self-efficacy group have higher subjective well-being (satisfaction of leisure, positive affect) than one who are low self-efficacy group in the ski related leasure experience scenarios. In the non ski related leasure experience scenarios, however, respondents who are low self-efficacy group have higher subjective well-being (satisfaction of leisure, positive affect). Besides, subjective well-being (satisfaction of leisure, positive affect) plays a mediating role between self-efficacy and recommendation intention.

본 연구는 스키리조트를 바탕으로 체험형태를 스키형과 비스키형으로 구분하고, 자기 자신에 대한 신념과 기대감의 반영인 자기효능감을 독립변인으로 적용하고 체험형태와의 조절효과 규명과 두 변인들 사이의 상호작용효과를 고찰하고자 하였다. 또한 체험을 통해 형성된 주관적 안녕감이 서비스에 대한 고객만족의 표현인 추천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자기효능감은 주관적 안녕감(여가의 만족, 긍정적 정서)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스키형 체험의 경우 자기효능감이 높은 사람들은 상대적으로 자기효능감이 낮은 사람들보다 주관적 안녕감(여가의 만족, 긍정적 정서)을 높게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비스키형 체험의 경우 자기효능감이 낮은 사람들이 상대적으로 자기효능감이 높은 사람들보다 주관적 안녕감(여가의 만족, 긍정적 정서)을 높게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주관적 안녕감(여가의 만족, 긍정적 정서)은 자기효능감과 추천의도 사이에 매개역할로 작용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신승훈, 망하게 생긴 스키장, 왜?: 추운 겨울에도 할 게 많아서, 일요시사, 2016.
  2. 이상학, 횡성 웰리힐리파크 대규모 워터파크 내 달 착공, 연합뉴스, 2015.
  3. 윤설민, 이태희, "테마파크에서의 체험이 감정과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관계: 체험마케팅 관점을 중심으로," 관광.레저연구, 제24권, 제2호, pp.289-308, 2012.
  4. 이희천, 김홍길, "아쿠아리움 체험에 따른 만족이 재방문 및 추천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제주 아쿠아리움을 중심으로," 관광.레저연구, 제26권, 제6호, pp.89-110, 2014.
  5. 나상현, 박재환, "스키리조트 워터파크에서의 개별적 체험간 관계가 리조트 재방문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사회체육학회지, 제44권, pp.349-359, 2011.
  6. 한장헌, 이상현, "스키리조트 여가체험유형과 성격특성이 심리적 안녕감과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관광.레저연구, 제27권, 제10호, pp.251-271, 2015.
  7. 정대용, 채연희, 박원모, "고용가능성이 창업의도에 미치는 영향과 셀프리더십과 자기효능감의 이중매개효과," 대한경영학회지, 제29권, 제3호, pp.467-488, 2016.
  8. P. C. Verhoef, K. N. Lemon, A. Parasuraman, A. Roggeveen, M. Tsiro, and L. A. Schlesinger, "Linking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employee creativity in the hospitality industry: The influences of creative role identity, creative self-efficacy, and job complexity," Tourism Management, Vol.40, pp.79-89, 2014. https://doi.org/10.1016/j.tourman.2013.05.008
  9. 정진희, 원미순, 이수진, "사회복지학 전공 대학생의 사회복지 자기효능감과 진로결정수준 및 진로준비행동과의 관계,"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3권, 제7호, pp.228-237, 2013. https://doi.org/10.5392/JKCA.2013.13.07.228
  10. 임규혁, 최용석, 이혜영, 한주희, "자기효능감이 온라인 게임몰입에 미치는 영향: 자기통제능력의 조절변수를 중심으로," 한국컴퓨터게임학회논문지, 제21권, 제3호, pp.131-141, 2010.
  11. 정혜욱, "예비 유아교사의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이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진로태도성숙의 매개효과," 한국교원교육연구, 제31권, 제1호, pp.95-115, 2014.
  12. H. D. Sara and A. Surendra, "Marketing for Happiness," Advances in Management, Vol.3, No.10, pp.7-14, 2010.
  13. A. Bandura, Self-efficacy: The exercise of control, New York: Freeman and Company, 1997.
  14. D. Grewal, M. Levy, and V. Kumar, "Customer experience management in Retailing: An organizing framework," Journal of Retailing, Vol.5, No.1, pp.1-14, 2009.
  15. P. C. Verhoef, K. N. Lemon, A. Parasuraman, A. Roggeveen, M. Tsiro, and L. A. Schlesinger, "Customer experience creation: Determinants, Dynamics and Management Strategies," Journal of Retailing, Vol.85, No.1, pp.31-41, 2009. https://doi.org/10.1016/j.jretai.2008.11.001
  16. 이연화, "축제 체험마케팅이 축제 브랜드 자산에 미치는 영향," 관광경영연구, 제16권, 제4호, pp.231-251, 2012.
  17. 권문호, 윤지현, "농촌체험 관광상품 마케팅 전략 연구: 산청군을 중심으로," 관광.레저연구, 제25권, 제2호, pp.437-451, 2013.
  18. 오현정, 이벤트별 체험이 브랜드 자산에 미치는 영향,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박사논문, 2011.
  19. B. J. Pine and J. H. Gilmore, "Welcome to the experience economy," Havard Business Review, Vol.76, No.4, pp.96-105, 1998.
  20. A. Bandura, Social foundation of thought and action: A social cognitive theory, Englewood Cliffs, N. J.: Prentice-Hall, Inc, 1986.
  21. 전선혜, 자기효능감 및 불안과 스포츠 수행과의 구조적 관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논문, 1992.
  22. E. Diener, "Subjective Well-Being," Psychological Bulletin, Vol.95, No.3, pp.542-575, 1984. https://doi.org/10.1037/0033-2909.95.3.542
  23. 김경순, 김정남, 박원모, "대학생의 심리적 안녕감 구성개념 분석," 인문과학논총, 제11권, 제1호, pp.1-22, 2012.
  24. E. Diener, "Assessing subjective well-being: Progress and opportunities," Social Indicators Research, Vol.31, pp.103-157, 1994. https://doi.org/10.1007/BF01207052
  25. W. Boulding, A. Kalra, R. Staelin, and V. A. Zeithaml, "Dynamic Process Model of Service Quality: From Expectations to Behavioral Intentions,"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Vol.30, No.1, pp.7-27, 1993. https://doi.org/10.2307/3172510
  26. E. Diener, C. N. Scollon, and R. E. Lucas, "The evolving concept of subjective well-being: the multifaceted nature of happiness," Advances in Cell Aging and Gerontology, Vol.15, pp.187-219, 2003 https://doi.org/10.1016/S1566-3124(03)15007-9
  27. 이임정, 자기효능감과 주관적 행복에 관한 연구, 한국경영교육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2009.
  28. 남은영, 이재열, "행복감, 사회자본, 여가: 관계형 여가와 자원봉사활동의 함의를 중심으로," 한국사회학, 제46권, 제5호, pp.1-33, 2012.
  29. 이충순, 정현영, "호텔고객의 예술적체험이 고객만족도와 고객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6권, 제2호, pp.410-419, 2016. https://doi.org/10.5392/JKCA.2016.16.02.410
  30. 이신전, 펑펑, "테마파크에서의 체험요소가 방문객 몰입과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5권, 제6호, pp.499-508, 2015. https://doi.org/10.5392/JKCA.2015.15.06.499
  31. 박경환, "평생학습자의 다중역할 몰입이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Andragogy Today: Interdisciplinary journal of adult & continuing education, 제14권, 제4호, pp.151-184, 2011.
  32. 안세희, 기능적 일치성과 자아일치성이 고객가치와 소비감정, 행동의도 형성에 미치는 영향: 커피전문점 이용자를 대상으로, 동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3.
  33. R. M. Baron and D. A. Kenny, "The moderator-mediator variable distinction in social psychological research: Conceptual, strategic, and statistical consideration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Vol.51, No.6, pp.1173-1182, 1986. https://doi.org/10.1037/0022-3514.51.6.1173
  34. 조상리, 강명주, "판매원의 성격과 감사성향이 심리적 안녕감과 친소비자행동에 미치는 영향," 경영과 정보연구, 제33권, 제4호, pp.119-135, 20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