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nalysis of Realism in the SF Film, DISTRICT 9 -Focus on Digital Image, Style and Narrative-

SF영화 <디스트릭트 9>의 리얼리즘 분석 연구 -디지털 이미지, 스타일, 내러티브를 중심으로-

  • 이현승 (중앙대학교 영화학과) ;
  • 윤부희 (중앙대학교 첨단영상대학원)
  • Received : 2016.05.30
  • Accepted : 2016.07.15
  • Published : 2016.07.28

Abstract

In order to attain 'reality', technology, style and narrative have developed throughout the history of cinema. The projection of digital image necessitated a new perspective beyond the conventional relationship between film and reality. In the SF film, DISTRICT 9, strong realism elements are evident despite its genre. Advanced technologies enabled the digital images to vividly reproduce the realm of imagination. The encounter of the realistic approaches embedded in the style and narrative with the digital images emphasizes the social context of the cinematic background, as well as extending the potentialities of verisimilitude and perceptual realism. The amount of freedom in editing process derived from this film's documentary-like style opened a possibility for the effective delivery of the vast information-furthermore contributing to the realism of the film by encompassing the diversity that exists in the reality.

영화는 '리얼'함을 추구하기 위해 테크놀러지와 더불어 스타일, 내러티브 등을 발전시켜왔다. 더욱 더 리얼해지기 위한 디지털 이미지의 투영은 '영화-현실'의 필름적 지표관계를 넘어선 다른 관점을 필요로 하게 되었다. 영화 <디스트릭트 9>은 SF영화지만 리얼리즘적 요소가 강한 영화이다. 영화의 디지털 이미지는 테크놀로지의 발전으로 상상의 영역을 생생하게 재현하여 사실성을 확보한다. 영화의 스타일과 내러티브 고유의 리얼리즘 전략은 디지털 이미지와 조우하여 영화적 공간이 가진 사회적 맥락을 강조하고 핍진성과 지각적 리얼리즘의 가능성을 확대시킨다. 영화 <디스트릭트 9>의 다큐멘터리 스타일이 가진 편집의 자유는 방대한 영화의 정보를 효율적인 내러티브로 전달할 수 있는 가능성을 주었고 동시에 현실이 가진 다양성까지 포섭하여 영화의 리얼리즘에 기여한다.

Keywords

References

  1. 로마 멀비, 1초에 24번의 죽음, 현실문화, 2007.
  2. 앙드레 바쟁, 영화란 무엇인가, 시각과 언어, 2001.
  3. 빌 니콜스, 다큐멘터리 입문, 한올 아카데미, 2005.
  4. 정헌, "앙드레 바쟁의 리얼리즘 이론에 대한 재론," 씨네포럼, No.22, p.306, 2015.
  5. 앙드레 바쟁, 영화란 무엇인가, 시각과 언어, 2001.
  6. 허문영, "영화의 리얼리즘에 관한 단상들," 오늘의 문예비평, p.56, 2010.
  7. 최시한, 스토리텔링, 어떻게 할 것인가, 문학과지성사, 2015.
  8. 윤영두, 최은영, "디지털 이미지의 미학적 수용에 대한 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0, No.2, p.148, 2010.
  9. 윤영두, 최은영, "디지털 이미지의 미학적 수용에 대한 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0, No.2, p.149, 2010.
  10. 채희상, "디지털 영화의 리얼리즘 재개념화에 관한 연구," 영상예술연구, 제15권, 제0호, pp.83-84, 2009.
  11. 정헌, "앙드레 바쟁의 리얼리즘 이론에 대한 재론," 씨네포럼, No.22, pp.308-309, 2015.
  12. Stephen Prince, "True Lies: Perceptual Realism, Digital Images, and Film Theory," Film quarterly, Vol.49, No.3, p.32, 1996.
  13. 폴 워드 , 다큐멘터리 리얼리티의 가장자리, 커뮤니케이션북스, 2011.
  14. 빌 니콜스, 다큐멘터리 입문, 한올 아카데미, 2005.
  15. 허문영, "영화의 리얼리즘에 관한 단상들," 오늘의 문예비평, pp.59-60, 2010.
  16. 최병근, "SF장르에서 공간 표현의 새로운 가능성," 영화연구, No.44, p.360, 2010.
  17. 최병근, "SF장르에서 공간 표현의 새로운 가능성," 영화연구, No.44, p.349, 2010.
  18. 이수원, "영화의 리얼리즘에 대한 소고," 프랑스학연구, Vol.34, p.499, 2005.
  19. 크리스티앙 메츠, 영화의 의미작용에 관한 에세이 1, 문학과 지성사, 2011.
  20. 크리스티안 될커, 미디어에서 리얼리티란 무엇인가?, 커뮤니케이션북스, 2001.
  21. 켄 댄시거, 영화 편집-기술, 역사, 이론, 미학, 커뮤니케이션북스, 2010.
  22. 남승석, 조혜랑, "대안적 다큐멘터리 스타일:장르의 컨벤션 활용," 영화연구, No.2, p.259, 2011.
  23. 앙드레 바쟁, 영화란 무엇인가, 시각과 언어, 20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