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Study on Difference in Perception of Shared Economy and Public Domain Works

공유 경제 및 공유저작물에 대한 인식 차이 연구

  • 민지애 (국민대학교 테크노디자인전문대학원) ;
  • 전승규 (국민대학교 조형대학 영상디자인학과)
  • Received : 2015.09.24
  • Accepted : 2016.05.08
  • Published : 2016.07.28

Abstract

With Recently in art and culture domains, there's rising controversy over shared economy and public domain works. The government is introducing institutional measures such as Gongumadang and KOGL(Korea Open Government License) program to expand the grounds for public domain works. In order to promote and facilitate the use of public domain works, it is imperative to understand how the providers who create and provide the public domain works, as well as the users, perceive shared economy and public domain works. However, preceding studies usually put emphasis on the meaning and significance of the shared economy and show limitation of not discussing providers' perception on shared economy and public domain works. Therefore, this study examines to see if there's a difference of perception between the consumers/users and the providers who owns the copyright of public domain work.

정보통신기술의 발달로 현재 문화, 예술 부문에서 공유경제 및 공유저작물과 관련된 이슈가 증가하고 있다. 정부는 공유마당, 공공누리 등의 제도적 장치를 마련하고, 공유저작물 등을 확대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그런데 공유저작물 등이 활성화되기 위해서는 해당 저작물을 이용하는 수요자 측만이 아니라 저작물을 공급하는 공급자들이 공유경제 및 공유 저작물에 대해서 어떻게 인지하는지도 중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공유경제 및 공유저작물에 대한 수요자와 공급자간 인식 차이를 살펴봄으로서 공유저작물 활성화를 위해서 필요한 사항이 무엇인지를 살펴보았다. 공급자, 수요자간 인식 차이를 설문조사를 통해서 살펴본 결과, 공급자 수요자 모두 공유경제 및 공유저작물의 필요성 및 활성화에 대해서 동의하고 있다. 하지만 경제적 이해관계를 지니고 있는 공급자 측에서는 자신의 이익과 연결될 수 있는 공유저작물, 저작권 등의 문제에 대해 보다 긍정적이면서도 민감한 반응을 보이고 있다. 공유경제, 공유저작물을 보다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공유경제, 공유저작물의 확대가 기존 저작권 공급자들의 이해를 보장하는 형태가 되고, 적정한 보상 등이 사회적으로 부여될 수 있는 시스템을 마련하는 것이 요구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김해중, 박종우, 조동혁, "공유경제 서비스의 성공 요인에 관한 실증 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6권, 제1호, p.214-225, 2016. https://doi.org/10.5392/JKCA.2016.16.01.214
  2. 이유우, 고민정, 한주희, "시니어 인력의 직무만족: 지식공유 활동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5권, 제12호, p.586-592, 2015. https://doi.org/10.5392/JKCA.2015.15.12.586
  3. Lawrence Lessig, REMIX: Making Art and Commerce Thrive in the Hybrid Economy, London: Bloomsbury Publishing PLC, p.1-10, 2008.
  4. Don. Tapscott and Anthony D. Williams, WIKINOMICS: How Mass Collaboration Changes Everything, London: Atlantic Books, p.33, 2008.
  5. Rachel Bostman and Roo Roters, What's Mine is Yours: The Rise of Collaborative Consumption, HarperBusiness Press, p.55, 2011, 이은진 역, 다음 10년을 지배할 머니 코드: 위 제너레이션, 파주: 도서출판 푸른숲, 2012.
  6. Geoff Mulgan, Social Innovation: what it is, why it matters and how it can be accelerated, London: The Basingstoke Press, p.99, 2007.
  7. Philip R. Kotler, Up and Out of Poverty: The Social Marketing Solution, New Jersey: Prentice Hall, p.1-8, 2009.
  8. 문병기, "경제적 합리성의 재해석: 사회적 기업과 공유경제기업의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지방자치학회보, 제22권, 제4호, p.348-349, 2010.
  9. 김현철, 공유경제 제주도입의 정책적 시사점, 제주발전 연구원 정책이슈 브리프, 2014.
  10. 한상연, 강현민, "지방정부 부서간 정보공유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서울대 동대문구의 사례," 지방행정연구, 제21권, 제1호, p.99-102, 2007.
  11. 김동욱, 윤건, "정보공유에 관한 연구: CCL(Creative Commons License) 논의를 중심으로," 한국지역정보화학회지, 제13권, 제4호, p.54-62, 2010.
  12. 박준기, 윤정인, 이정우, "IT 서비스 품질과 관계 품질이 지식공유 활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0권, 제7호, p.355-362, 2010.
  13. 안지혜, "인터넷 파일공유에 관한 담론 과정 분석과 저작권 제도에 관한 연구," 한국정책과학학회보, 제14권, 제3호, p.109-112, 2010.
  14. 한국저작권위원회홈페이지, http://www.copyright.or.kr
  15. 공유마당 홈페이지, http://gongu.copyright.or.kr
  16. Internet Archive 홈페이지, https://archive.org
  17. 공공누리 홈페이지, http://www.kogl.or.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