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Introduction and the Use of Number Line on the Learning of Number Concept

수 개념 학습에서 수직선의 도입과 활용

  • Received : 2016.07.17
  • Accepted : 2016.08.23
  • Published : 2016.08.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appropriate time of introduction and the usage of the number line, in order to suggest the right point of learning the number concept to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For the efficient achievement of this purpose, we investigated the mathematical models for constructing the number concept such as number line, empty number line and double number line, counting and development of number concept. Then, we conducted case study on the time of introduction and the usage of the number line. Finally, we analyzed the result. First, there is need for adjustment to conduct the introduction of the number line from the second year of elementary school, so to help the students understand the continuing number concept through the understanding on the metaphorical concept of the number line. Second, there is the need of positive introduction and the use on the mathematical models; empty number line which helps to draw various thinking strategy visually through the process of operations such as addition and subtraction; the division into equal part and division by equal part in which multiplicative comparative situation or division takes place; the double number line which helps to understand the rate or proportional distribution. Finally, when adopting the number line, the empty number line, or the double number line, we suggested the necessity of learning about elaborate guidance and the usage in order to fully understand the metaphorical concept of the number line.

본 연구는 수직선의 적절한 도입 시기와 활용 방법을 탐구하여 초등학생들의 수개념 학습 지도를 위한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수 개념 형성을 위한 수학적 모델인 수직선, 빈 수직선, 이중 수직선과 수 세기와 수 개념의 발달유형에 대하여 고찰하였고, 실제 초등학생들의 수직선 도입 시기와 활용 방법에 대한 사례 연구 결과를 분석하였다. 첫째, 수직선 도입을 2학년부터 실시하여 수직선의 은유적 개념에 대한 이해를 통해 이어지는 수 개념 학습에 도움이 될 수 있도록 조정할 필요가 있다. 둘째, 덧셈과 뺄셈과 같은 연산과정에서 다양한 사고 전략을 시각적으로 그려낼 수 있는 수학적 모델인 빈 수직선과 곱셈적 비교 상황이나 나눗셈이 이루어지는 상황인 등분제와 포함제, 비율이나 비례배분의 이해를 위한 시각적 모델인 이중 수직선을 적극적으로 도입하고 활용할 필요가 있다. 셋째, 수직선이나 빈 수직선, 이중 수직선을 도입할 때, 수직선의 은유적 개념을 충분히 이해할 수 있도록 구체적인 안내와 활용 방법에 대한 학습의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교육부 (2014). 수학 1-1. 서울: (주)천재교육.
  2. 교육부 (2014). 수학 2-1. 서울: (주)천재교육.
  3. 교육부 (2014a). 수학 1-2. 서울: (주)천재교육.
  4. 교육부 (2014). 수학 2-2. 서울: (주)천재교육.
  5. 교육부 (2014). 수학 3-1. 서울: (주)천재교육.
  6. 교육부 (2014). 수학 3-2. 서울: (주)천재교육.
  7. 교육부 (2015). 수학 6-1. 서울: (주)천재교육.
  8. 교육부 (2015). 수학 6-2. 서울: (주)천재교육.
  9. 교육부 (2014b). 교사용지도서 수학 4-2. 서울: (주)천재교육.
  10. 교육부 (2015a). 교사용지도서 수학 6-1. 서울: (주)천재교육.
  11. 권석일, 박교식 (2011). 초등학교 수학 교과서에서의 용어 사용과 정의 방식에 관한 비판적 분석.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15(2), 301-316.
  12. 권석일, 임재훈 (2007). 그림그리기 전략을 통한 초.중등수학의 연립방정식 지도 연결성 강화. 수학교육학연구, 17(2), 91-109.
  13. 김현영 (2010). 수직선의 대칭적 성질을 활용한 정수의 곱셈과 나눗셈 지도방법 연구. 영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4. 박만구 (2000). 수 세기와 수 개념의 발달 유형에 관한 이론. 초등수학교육, 4(1), 43-49.
  15. 서보억, 신현용, 나준영 (2013). 수직선 표기법에 대한 분석 연구. 수학교육학연구, 23(2), 135-152.
  16. 이상미 (2010). 초등학교 4, 5, 6학년 학생들의 수직선 이해 실태 조사.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7. 임재훈, 이형숙 (2015). 비례 추론을 돕는 시각적 모델에 대하여: 초등 수학 교과서의 비례식과 비례배분 실생활 문제를 대상으로. 수학교육학연구, 25(2), 189-206.
  18. 장지영, 김성준 (2013). 측정 영역에서의 수직선 활용에 관한 고찰. 이화여자대학교 교과교육연구소 <교과교육학연구>, 17(2), 297-321.
  19. 정영옥 (2013). 초등수학에서 자연수 곱셈 지도. 학교수학, 15(4), 889-920.
  20. 정유경, 정영옥 (2015). 초등학생들의 비례 추론 전략 분석 -6학년을 중심으로-.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19(4), 457-484.
  21. 정은실 (2003). 비 개념에 대한 교육적 분석. 수학교육학연구, 13(3), 247-265.
  22. 홍진곤, 김양권 (2015). 초등학교 수학 교과서의 수직선 활용과 문제점.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 E <수학교육 논문집>, 29(3), 353-372
  23. Anghileri, J., & Beishuizen, M. (1998). Counting, chunking and the division algorithm. Mathematics in School, 27(1), 2-4.
  24. Doritou, M. (2006). Understanding the number line: Conception and practice. Unpublished PhD., Mathematics Education Research Centre, University of Warwick.
  25. Gravemeijer, K. (1994). Developing realistic mathematics education. Utrect: CD-${\beta}$ Press.
  26. Gray, E. & Doritou, M. (2008). The number line: Ambiguity and interpretation. In O. Figueras, J. Cortina, S. Alatorre, T. Rojano & A. Sepulveda (Eds.), Proceedings of the 32nd Conference of the International Group for the Psychology of Mathematics Education, Vol. 3 (pp. 97-104). Morelia, Mexico.
  27. Herbst, P. (1997). The number-line metaphor in the discourse of a textbook series. For the Learning of Mathematics, 17(3), 36-45.
  28. Kuchemann, D., Hodgen, J., & Brown, M. (2014). The use of alternative double number lines as models of ratio tasks and as models for ratio relations and scaling. In S. Pope (Ed.), Proceedings of the 8th British congress of mathematics education (BCME8) (pp. 231-238). BSRLM: University of Nottingham.
  29. Lesh, R., Post, T., & Behr, M. (1987). Representations and translations among representations in mathematics learning and problem solving. In C. Janvier (Ed.), Problems on representation in the teaching and learning of mathematics (pp. 33-40). Lawrence Erlbaum Associates, Hillsdale, NJ.
  30. Moeller, K., Pixner, S., Kaufmann, L., & Nuerk, H. C. (2009). Children's early mental number line: Logarithmic or decom- posed linear? Journal of Experimental Child Psychology, 103, 503-515. https://doi.org/10.1016/j.jecp.2009.02.006
  31. Olive, J. (2001). Children's number sequences: An explanation of Steffe's constructs and an extrapolation to rational numbers of arithmetic. The Mathematics Educator, 11(1), 4-9.
  32. Orrill, C. H., & Brown, R. E. (2012). Making sense of double number lines in professional development: Exploring teachers' understandings of proportional relationships. Journal of Mathematics Teacher Education, 15(5), 381-403. https://doi.org/10.1007/s10857-012-9218-z
  33. Siegler, R., & Opfer, J. (2003). The development of numerical estimation: Evidence for multiple representations of numerical quantity. Psychological Science, 14(3), 237-243. https://doi.org/10.1111/1467-9280.02438
  34. Siegler, R. S., & Booth, J. L. (2005). Development of numerical estimation in young children. Child Development, 75, 428-444.
  35. Steffe, L. P. & Cobb, P. (1988). Construction of arithmetical meanings and strategies. New York: Springer-Verlag.
  36. Steffe, L. P., von Glasersfeld, E., Richards, J. & Cobb, P. (1983). Children's counting types: Philosophy, theory, and application. New York: Praeger.
  37. Van den Heuvel-Panhuizen, M. (Ed.) (2001). Children learn mathematics: A learning-teaching trajectory with intermediate attainment targets for calculation with whole numbers in primary school. Utrecht: Freudenthal Institute Utrecht University & National Institute for Curriculum Development.
  38. Van den Heuvel-Panhuizen, M. (2008). Learning From "Didactikids": An Impetus for Revisiting the Empty Number Line. Mathematics Education Research Journal, 20(3), 6-31. https://doi.org/10.1007/BF032175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