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Exploring the Experiences of Participating Spiritualty Education Program by Social Workers: focusing on CPE

사회복지사의 영성(Spiritualty)교육프로그램 참여 후 변화 경험 연구: 임상사목교육(CPE)을 중심으로

  • Received : 2016.02.25
  • Accepted : 2016.03.14
  • Published : 2016.06.28

Abstract

Interest in spirituality in the workplace is rising as an alternative to overcome the possibility of burnout of social workers. This research has evaluated the results of spirituality education program to social workers in senior welfare centers. CPE(Clinical Pastoral Education) was provided to 25 social workers in 3 different senior welfare centers for 12 to 14 weeks. 4 Focus group interviews with 24 education participants after the end of education were conducted. For the participants of CPE, there were changes in individual levels(habituation of self-reflectivity, the integration of personal spirituality and social worker's spiritualty, expansion of self-awareness and pursuit of altruism), practice behavior(recognition of client's individualism, getting rid of the obsession of proposing a resolution, active listening), and organization levels(intimate fellowship, increase in horizontal relationship in the agencies). Pursuing changes within the organization towards integrating individual and organization spirituality along with social welfare organizations helping the development of social worker's individual spirituality for the simultaneous growth of social workers and the organizations is necessary.

사회복지사들의 소진 가능성을 극복하기 위한 대안으로 직장 내 영성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이 연구는 노인복지관에서 일하는 사회복지사들에게 영성교육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이후 어떤 변화가 있었는지 알아보았다. 노인복지관 3곳의 사회복지사 25명에게 12주에서 14주간 임상사목교육(Clinical Pastoral Education: CPE)이 실시되었다. 교육 종료 후 교육 참여자 24명과 4회의 FGI(focus group interview)를 실시하였다. CPE 교육에 참여한 사회복지사들에게는 개인적 차원에서(자기성찰의 일상화, 개인의 영성과 사회복지사의 영성의 통합, 자기비움과 이타성 추구), 실천 행위에 있어서(클라이언트의 개별성 인정, 해결책 제공의 강박관념에서 탈피, 공감적 경청 실천), 조직 내적 차원에서(끈끈한 동료의식의 생성, 수평적인 조직관계) 많은 변화가 있었다. 사회복지사 개인과 조직이 동시에 성장할 수 있도록 사회복지조직이 소속 사회복지사들의 개인적 영성의 발달을 돕고, 개인적 영성과 조직의 영성이 통합될 수 있는 방향으로 조직의 변화를 추구하는 것이 필요하다.

Keywords

References

  1. 손신, 신효진, "사회복지실천에 있어서 종교와 영성의 의미와 역할에 대한 고찰," 신학논단, 제59권, pp.201-226, 2010.
  2. 김용환, 김승돈, 정석수, 정현태, 오봉희 역, 영성과 사회복지, 2014, M. Holloway and M. Bernard, Spiritualty and Social Work, 경기:북코리아, 2010,
  3. 김기덕, 최명민, "바우만 (Bauman)의 근대성 이론을 통한 한국사회복지실천의 유동성 분석," 한국사회복지학, 제66권, 제4호, pp.53-75, 2014.
  4. 김세봉, 변상해, "영성증진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직장인의 소진과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효과,"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2권, 제1호, pp.447-459, 2012.
  5. 조운희, "사회복지사의 영성과 조직성과의 관계에 관한 연구," 신학과 목회, 제34권, pp.121-148, 2010.
  6. 홍석자, 서성민, "노인요양시설 사회복지사의 직무환경과 개인적 성찰이 소진에 미치는 영향," 한국사회복지연구, 제42권, 제2호, pp.187-216, 2011.
  7. 김기복, 임상목회교육 - 이론과 실제, 한들출판사, 2003.
  8. 유영권 외, 한국임상목회교육개론, 한국장로교출판사, 2010.
  9. 유재봉, "교육에서의 영성회복: 학교에서의 영성교육을 위한 시론," 교육철학연구, 제35권, 제1호, pp.97-117, 2013.
  10. F. Ahmadi, Coping with cancer in Sweden: A search for meaning.(Ed), Uppsala University, Acta Universitatis Upsaliensis, Studia Sociologica Upsaliensia 63, 2013.
  11. 박승희, 이혁구 외 역, 종교사회복지실천론, 2003, E. Canda and L. Furman, Spritual diversity in social work practice: The heart of helping, 서울: 성균관대출판부, 1999,
  12. 김경미, E. Canda, "Spirituality and Social Work Scholarship in Korea: A Content Analysis," 사회복지연구, 제40권, 제2호, pp.203-225, 2009.
  13. 이시형 역, 죽음의 수용소에서, 2005, V. E. Frankl, Man's search for meaning: an introduction to logotherapy, 서울: 청아출판사, 1985.
  14. D. Ashmos and D. Duchon, "Spirituality at work," Journal of management inquiry, Vol.9, No.2, pp.134-145, 2000. https://doi.org/10.1177/105649260092008
  15. 노상충, 서용원, "일터영성(workplace spiritualty) 5요인 모형의 개념화 및 척도개발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산업 및 조직, 제27권, 제2호, pp.419-447, 2014.
  16. P. Vaill, Spirited leading and learning, San Francisco, Jossey-Bass, 1998.
  17. G. Fitchett, D. Min, and G. T. Gray, "Evaluating the outcome of clinical pastoral education: A test of the clinical ministry assessment profile," Journal of Supervision and Training in Ministry, Vol.15, pp.3-22, 1994.
  18. 노혜련, 김경미, 박화옥, 유영준,이현주, 김수영, CS 강점 및 영성기반 노인통합사례관리 인재양성 교육과정과 효과 평가 연구보고서, 서울가톨릭사회복지회, 2015.
  19. H. J. Rubin and I. S. Rubin, Qualitative interviewing: The art of hearing data, Sage, 2011.
  20. 노만수 역, 늙어갈 용기, 岸見一郞, よく生きると いうこと 死 から 生 を考える, 서울:에써, 2012.
  21. 도승자, "통합적-영성적 사회복지실의 필요성," 영성과 사회복지, 제1권, pp.21-56, 2013.
  22. 도승자, "사회복지사의 리더십과 영성지능계발을 위한 통합이론적 접근," 한국사회복지조사연구, 제43권, pp.1-40, 2015.
  23. 도승자 역, 온전한 삶을 위한 21 영성 지능 기술, W. Cindy, 2012. SQ 21 The twenty-One skills of spiritual intelligence, 서울:신정출판사, 2014.
  24. 정태연, 노현정 역, 존재의 심리학, 2014, A. H. Maslow, Toward a psyhology fo Being, 서울:문예출판사, 1968.
  25. 유영준, "사회복지사의 반성적 사고수준과 사회복지실천기술의 활용정도," 사회복지연구, 제40권, 제2호, pp.337-362, 2009.
  26. M. Jasper, Beginning reflective practice, Cheltenham:Nelson Thornes, 2003.
  27. R. Chamiec-Case and M. Sherr, "Exploring how social work administrators integrate spirituality in the workplace," Social work and Christianity, Vol.33, No.3, pp.268-287, 20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