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Research of the Satisfaction and Current State with Repair Service of Assistive Technology Devices for the Disabled

장애인보조기구 수리서비스 현황 및 만족도에 관한 연구

  • 김덕주 (청주대학교 작업치료학과) ;
  • 양영애 (인제대학교 작업치료학과)
  • Received : 2016.02.23
  • Accepted : 2016.04.01
  • Published : 2016.06.28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satisfaction with repair service of assistive technology devices for the disabled and the current state of the service, find the problems of the repair service, and to seek an effective development plan. This study had been conducted from July to October, 2015, with 750 disabled, and 280 completed questionnaires were returned and analyzed. Among assistive technology devices, the devices that required repair most were mobility devices. Repair was made mostly in purchase agencies and the repair institute. In the satisfaction survey, the causes for somewhat dissatisfaction were long repair time and complicated repair application and procedure. With regard to the central government's roles to active repair service for assistive technology devices, it was found that it was very necessary to expand the promotion of repair support business, come up with the criteria about repair support items and support amount, and establish the legal system to repair assistive technology devices. Therefore, in order to provide more effective and systematic repair service for assistive technology devices, it will be necessary to establish repairing process of assistive technology devices and standardization of costs that repair assistive technology devices.

본 연구는 국내 장애인보조기구 수리서비스에 대한 현황 및 만족도를 파악하여 수리서비스에 대한 문제점을 알아보고 이를 바탕으로 하여, 효과적인 발전방안을 알아보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설문조사는 2015년 7월부터 2015년 10월까지 전국에 있는 장애인 750명을 대상으로 시행하였고, 최종 회수된 280부를 분석하였다. 수리의뢰가 많았던 품목은 대부분 이동보조기구였으며 수리 의뢰는 대부분 구입업체와 장애인 보조기구 전문 수리기관에서 시행되었다. 만족도 조사에서 일부 불만족의 사유로는 수리기간이 길고 수리 접수 및 절차의 복잡성으로 나타났다. 장애인보조기구 수리서비스 활성화를 위한 중앙정부의 역할로는 수리지원사업에 대한 홍보 확대, 수리지원 대상품목 및 지원금액 기준마련, 장애인보조기구 수리를 위한 법적 체계 마련이 매우 필요하다는 의견이 많았다. 보다 효과적이고 체계적인 장애인보조기구 수리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수리서비스 절차의 체계 확립, 시장가격을 반영한 부품별 수리단가 제시 등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Keywords

References

  1. http://www.mofa.go.kr
  2. 보건복지부, 보건복지통계연보, 2013.
  3. 권혁철, 채수영, "신체장애인의 휠체어 사용에 대한 심리사회적 영향 연구," 장애와 고용, 제20권, 제1호, pp.35-50, 2010.
  4. 양영애, 장애인보장구 품목확대 및 분류체계 개선 등의 연구, 국민건강보험공단, 2014.
  5. 이근민, 임성빈, 이진현, "대구광역시 보조기구센터의 보조공학 지원사업별 서비스 만족도에 관한 연구," 재활복지, 제17권, 제1호, pp.359-375, 2013.
  6. 오길승, 김형우, 오도영, 남세현, 이성희, 보조공학서비스 욕구 및 수요파악을 위한 실태조사: 구직 및 근로장애인을 중심으로, 한국장애인고용촉진공단 고용개발원, 2005.
  7. 임명환, 길연희, 전광일, "장애인 접근성 향상을 위한 보조기기 및 대체자료 분석과 구현 방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5권, 제7호, pp.664-673, 2015. https://doi.org/10.5392/JKCA.2015.15.07.664
  8. 국민건강보험공단, 장애인보장구 급여기준 등 세부사항, 2015.
  9. 오도영, "보조공학서비스 전달체계에 대한 국가간 비교연구: 미국, 일본, 스웨덴의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행정연구," 제18권, 제1호, pp.161-189, 2009.
  10. 최미나, 대구광역시에 거주하는 장애인의 보조공학서비스 욕구 및 수요 실태조사, 대구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0.
  11. 안나연, 공진용, "보조공학기구 및 보조공학서비스 요구 실태조사: 충남지역을 중심으로,"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제50권, 제4호, pp.121-142, 2011.
  12. 윤미희, 장애인보조기구 수리서비스기관 현황조사 및 전달체계 방안에 대한 연구, 대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4.
  13. 보건복지부, 한국장애인개발원, 장애인보조기구 사례관리 시범사업 운영보고서, 2012.
  14. 공진용, 권성진, 박지연, "국내 장애인보조기구 수리지원 서비스 실태조사-이동보조기구 중심으로-," 재활복지, 제17권, 제3호, pp.253-271, 2013.
  15. 윤재형, 김홍모, "장애인보조기구 사례관리 시범사업에 대한 경제적 성과분석," 경제연구, 제32권, 제1호, pp.181-205, 2014.
  16. 김인순, 오도영, 공진용, 권성진, 남세현, 박지연, "장애인보조기구 품질관리를 위한 인증제도 도입 방안에 관한 연구," 재활복지, 제15권, 제1호, pp.127-147, 2011.
  17. 양영애, 장애인보장구 수리비용 급여화 및 전동보장구 사용실태에 관한 연구, 국민건강보험공단, 2015.
  18. 통계청, 장애인보장구 급여현황, 2015.
  19. 김성희, 변용찬, 손창균, 이연희, 이민경, 2011년 장애인실태조사, 보건복지부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1.
  20. 한국장애인개발원 편의증진부, 장애인보조기구 수리지원실태 조사관련 공무 국회출장결과 보고서, 2011.
  21. 조흥식, 김진우, 김용득, 서동명, 고미선, "일본의 보조기구 서비스 운영체계에 관한 연구-장해자자립지원법에 따른 보조기구 서비스 운영체계를 중심으로," 재활복지, 제17권, 제4호, pp.27-51, 2013.
  22. 정승민, 임명준, 김홍보, "보조기구센터를 통한 공적급여 보조기구지원 결과분석: 장애인보조기구 교부사업을 중심으로," 한국재활복지공학회 정기학술대회 논문집, 제12권, 제11호, pp.250-251, 2012.
  23. 경기도재활공학연구지원센터, 2014 보조기구 수리사업 결과보고, 2014.
  24. 이근민, 이진현, 김동옥, "장애인보조기구의 대여, 개조 및 맞춤제작 적용을 통한 보조기구 서비스 지원사례," 재활복지공학회논문지, 제5권, 제1호, pp.125-132, 2011.
  25. 조흥식, 김진우, 김용득, 서동명, 고미선, "장애인 보조기구산업 활성화 전략에 관한 국가 간 비교연구-독일, 스웨덴, 영국을 중심으로," 재활복지, 제15권, 제2호, pp.223-247, 20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