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관적 안녕감과 소수집단에 대한 태도: 종단 분석

Subjective Well-being and Attitude toward Minority Group Members: A longitudinal analysis

  • 구재선 (중앙대학교 교양학부대학) ;
  • 서은국 (연세대학교 심리학과)
  • Jaisun Koo (Chung-Ang University) ;
  • Eunkook M. Suh (Yonsei University)
  • 투고 : 2016.01.19
  • 심사 : 2016.04.18
  • 발행 : 2016.05.31

초록

주관적 안녕감이 소수집단에 대한 태도의 측면에서 어떠한 결과를 산출하는지 검토했다. 이를 위해서 먼저 주관적 안녕감과 소수집단에 대한 태도의 횡단적 관계를 검토하는 예비연구를 실시했다. 그 결과, 주관적 안녕감이 높은 청소년은 외국인 노동자나 국제결혼 가정의 자녀들에 대해서 우호적인 생각과 느낌, 행동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한국아동·청소년패널조사(KCYPS) 자료를 활용하여 주관적 안녕감과 소수집단에 대한 태도의 종단적 관계를 검토했다. 그 결과, 주관적 안녕감의 초기값과 변화율은 2년 후 소수집단에 대한 태도를 예측했다. 구체적으로 초등학교 5학년 시기에 주관적 안녕감이 높은 청소년은 동일시기(초5) 뿐 아니라 2년 후 중1이 되었을 때에도 소수집단에 대한 태도가 우호적이었다. 또한 이 기간 동안 주관적 안녕감은 감소하는 추세였으며, 주관적 안녕감이 적게 감소한 청소년들이 중1이 되었을 때 소수집단에 대한 태도가 더 긍정적이었다. 이러한 결과는 행복이 긍정적인 다문화 태도를 형성하는데 기여할 가능성이 있으며, 현재 행복을 통해 미래 한국 사회의 특징이 예측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This research investigated the influence of subjective well-being on attitude towards minority group members. In a cross-sectional data, the higher subjective well-being predicted more positive cognitive beliefs, affective feelings, and behavioral intentions towards foreign laborers and children of international couples. The causal link from subjective well-being to greater tolerance for cultural diversity was found again in a large longitudinal sample. The rate of life satisfaction increase from Time 1 to Time 2 significantly predicted multicultural receptiveness at Time 2. Overall, the findings suggest that subjective well-being may contribute to the formation of favorable attitude towards minority group members.

키워드

참고문헌

  1. 구자영, 서은국 (2007). 행복의 양이 한정되어 있다는 믿음과 주관적 안녕감.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21(4), 1-19.
  2. 구재선 (2009). 행복은 심리적 자원을 형성하는가.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23(1), 165-179.
  3. 구재선, 서은국 (2012). 행복은 4년 후 학업성취를 예측한다.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26(2), 35-50.
  4. 구재선, 서은국 (2013). 행복이 미래 수입과 직업수행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27(2), 17-36.
  5. 구재선, 이아롱, 서은국 (2009). 행복의 사회적 기능: 행복한 사람이 인기가 있나? 한국심리학회지: 사회문제, 15(1), 29-47.
  6. 김경미, 류승아, 최인철 (2014). 행복과 학업성취: 대학생을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문화 및 사회문제, 20(4), 329-346.
  7. 김신영, 임지연, 김상욱, 박승호, 유성렬, 최지영, 이가영 (2006). 청소년발달지표조사1, 결과부분 측정지표 검증. 서울: 한국청소년개발원.
  8. 김주환, 김민규, 홍세희 (2009). 구조방정식모형으로 논문쓰기.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9. 박종일, 박찬웅, 서효정, 염유식 (2010). 한국 어린이-청소년 행복지수 연구와 국제비교. 한국사회학, 44, 121-154.
  10. 박주희, 정진경 (2007). 국제결혼이주여성의 문화적응과 정체성.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12(4), 395-432.
  11. 박주희, 정진경 (2008). 타문화에 대한 태도발달검사의 타당화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22(1), 1-21.
  12. 박준성, 최영진, 정태연 (2015). 다문화가정 초등학생의 학교생활적응에 관한 질적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문화 및 사회문제, 21(4), 719-738.
  13. 박준성, 허성호, 전미연, 정태연 (2015). 남한에서 조선족 직장여성의 문화적응. 한국심리학회지: 문화 및 사회문제, 21(1), 21-43.
  14. 신지은, 최혜원, 서은국, 구재선 (2013). 행복한 청소년은 좋은 시민이 되는가? 긍정 정서와 친사회적 가치관 및 행동.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27(3), 1-21.
  15. 양계민 (2009). 국내 소수집단에 대한 청소년들의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23(2), 59-79.
  16. 양계민 (2010). 현실갈등인식과 지각된 경제수준이 이주노동자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 주관적 안녕감의 상호작용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24(1), 111-128.
  17. 양계민, 정진경 (2008). 사회통합을 위한 다문화 교육 활성화방안연구. (연구보고 08-R07). 서울: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18. 연합뉴스 (2015. 8. 20). 한국 다문화 수용성 우려수준, 10년간 제자리.
  19. 이은경 (2005). 신경증과 외향성이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우울과 긍정적 정서의 중요성. 연세대학교 대학원 심리학과 석사학위논문.
  20. 장휘숙 (2004). 청년심리학. 서울: 박영사.
  21. 행정자치부 (2015). 2015년 외국인주민 현황. 행정자치부.
  22. Baron, R. A. (1990). Environmentally induced positive affect: Its impact on self-efficacy, task performance, negotiation, and conflict. Journal of Applied Social Psychology, 20, 368-384.
  23. Baron, R. A., Fortin, S. P., Frei, R. L., Hauver, L. A., & Shack, M. L. (1990). Reducing organizational conflict: The role of socially-induced positive affect. International Journal of Conflict Management, 1, 133-152.
  24. Berry, D. S., & Hansen, J. S. (1996). Positive affect, negative affect, and social interaction.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71, 796-809.
  25. Cunningham, M. R. (1988). Does happiness mean friendliness? Induced mood and heterosexual self-disclosure.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Bulletin, 14, 283-297.
  26. Danner, D. D., Snowdon, D. A., & Friesen, W. V. (2001). Positive emotions in early life and longevity: Finding from the nun study.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80, 804-813.
  27. Diener, E. (1984). Subjective well-being. Psychological Bulletin, 193, 542-575.
  28. Diener, E., Emmons, R. S., Larsen, R. J., & Griffin, S. (1985). The satisfaction with life-scale. Journal of Personality Assessment, 49, 71-75.
  29. Diener, E., Scollon, C. N. & Lucas, R. E. (2003). The evolving concept of subjective well-being: The multifaceted nature of happiness. Advances in Cell Aging and Gerontology, 13, 187-219.
  30. Diener, E., Smith, H., & Fujita, F. (1995). The personality structure of affect.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0, 130-141.
  31. Diener, E., & Suh, E. M. (1999). National differences in subjective well-being. In D. Kahneman, E. Diener, & N. Schwarz (Eds.), Well-being: The foundations of hedonic psychology (pp. 434-450). NY: Russell Sage Foundation.
  32. Diener, E., & Suh, E. M. (2000). Culture and subjective well-being. Cambridge, MA: MIT Press.
  33. Diener, E., Suh, E. M., Kim-Prieto, C., Biswas-Diener, R., & Tay, L. S. (2010). Unhappiness in South Korea: Why it is high and what might be done about it. 한국심리학회 연차학술대회 자료집, pp. 1-23.
  34. Dovidio, J. F., Gaertner, S. L., Isen, A. M., & Lowrance, R. (1995). Group representations and intergroup bias: Positive affect, similarity, and group size.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Bulletin, 21, 856-865.
  35. Erwin, P. (2006). 태도와 설득[Attitude and persuasion](고은경 역). 서울: 시그마프레스(원전은 2001년에 출판).
  36. Fredrickson, B. L. (1998). What good are positive emotions? Review of General Psychology, 2, 300-319.
  37. Fredrickson, B. L. (2001). The role of positive emotions in positive psychology. American Psychologist, 56, 218-226.
  38. Fredrickson, B. L., & Branigan, C. (2005). Positive emotions broaden the scope of attention and thought-action repertoires. Cognition and Emotion, 19, 313-332..
  39. Fredrickson, B. L., Tugade, M. M., Waugh, C. E., & Larkin, G. R. (2003). What good are positive emotions in crises? A prospective study of resilience and emotions following the terrorist attacks on the United States on September 11th, 2001.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84, 365-376.
  40. Harker, L., & Keltner, D. (2001). Expressions of positive emotion in women's college yearbook pictures and their relationship to personality and life outcomes across adulthood.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80, 112-124.
  41. Judge, T. A., & Higgins, C. A. (1998). Affective disposition and the letter of reference. Organizational Behavior and Human Decision Processes, 75, 207-221.
  42. Kline, R. B. (2011). Principles and practice of structural equation modeling(3rd ed). Guilford Press.
  43. Lyubomirsky, S., King, L., & Diener, E. (2005). The benefits of frequent positive affect: Does happiness lead to success? Psychological Bulletin, 131, 803-855.
  44. Lyubomirsky, S., & Tucker, K. L. (1998). Implications of individual differences in subjective happiness for perceiving, interpreting, and thinking about life events. Motivation and Emotion, 22, 155-186.
  45. Manucia, G. K., Baumann, D. J., & Cialdini, R. B. (1984). Mood influences on helping: Direct effects or side effect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46, 357-364.
  46. Myers, D. G., & Diener, E. (1995). Who is happy? Psychological Science, 6, 10-19.
  47. Oishi, S. (2012). The psychological wealth of nations: Do happy people make a happy society? Hoboken, NJ: Wiley-Blackwell.
  48. Oishi, S., & Koo, M. (2008). Two new questions about happiness. In M. Eid & R. J. Larsen (Eds.). The Science of Subjective Well-Being (pp. 290-306). NY: The Guilford Press.
  49. Strahan, R., & Gerbasi, K. C. (1972). Short homogenous version of the Marlowe-Crown Social Desirability Scale.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28, 191-193.
  50. Urada, D., & Miller, N. (2000). The impact of positive mood and category importance on crossed categorization effect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78, 417-433.
  51. Veenhoven, R. (1988). The utility of happiness. Social Indicators Research, 20, 333-354.
  52. Veenhoven, R. (Eds.) (1989). How harmful is happiness? consequences of enjoying life or not? Rotterdam, The Netherlands: University Press Rotterdam.
  53. Waugh, C. E., & Fredrickson, B. L. (2006). Nice to know you: Positive emotions, self-other overlap, and complex understanding in the formation of a new relationship. The Journal of Positive Psychology, 1, 93-1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