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Meaning on Social Work Practicum that College Students Have Experienced

전문대학생이 체험한 사회복지실습의 의미 탐색

  • Received : 2016.09.30
  • Accepted : 2016.11.17
  • Published : 2016.11.30

Abstract

This study shows the meaning on context of social work practicum that college students have experienced. It reveals to find a essence of social work practicum based on college students through free variation. They met a "high barrier" from the beginning of social work practicum. There were "confused boundary of role as well as work". "Dilemma" has been accessed, so they felt various emotions for social work and social worker to be able to exist. "Various practice place" meant to continue as a multi-player with a weak appearance and confront for time as who he/she is. This was connected to whole life time for individually. Disclosure was as below. identity as a social worker(to be) was consisted beyond interaction between student and supervisor. Organization of social work practicum was considered when they had taken a part in. Gap must find out to be disappeared between ideal things and real things about social work practicum. Ideal type of college education for social work as well as whole education for all were needed.

본 연구는 전문대학생이 체험한 사회복지실습의 상황적 맥락과 의미를 아는데 목적을 둔다. 전문대 학생의 사례를 중심으로 현상학적 방법을 활용해 자유변경(free variation)에 입각한 사회복지실습의 본질을 찾고자 했다. 전문대학 생의 사회복지실습체험의 맥락은 실습지 선정부터 '높은 장벽'을 만났다. 그 속에는 무엇을 해야 하는지 '경계가 모호한 업무와 역할'이 많았다. 실습 일상에서의 '딜레마적 상황'이 실습생에게 혼란을 일으켰다. 관찰과 학습, 참여는 실습생에게 '사회복지(사)에 대한 애상'을 갖게 했고 더 나은 사회복지(사)로의 탈존(ex-ist)에 대해 생각하도록 했다. '다양한 가능태로서의 분주한 장(場)'은 실습생에게 '빈약한 몸이지만 멀티플레이어'로서의 역할을 가능하게 했다. 다양한 공간과 장소 속에서 실습생은 사회복지를 넘어선 자신의 능력과 실체에 대한 '현실 직면의 시간'을 맞는다. 그리고 그 시간은 자신의 과거, 현재, 미래, 타자와의 관계 등을 평가하는 상황 속에서 연계된다. 논의는 네 가지로 구성된다. 첫째, 실습생들은 실습을 통해 사회복지사의 위상과 현실을 확인하였다. 이에 따른 직업정체성의 고민도 수반되었다. 둘째, 실습지의 고유성을 인정하되 실습지도의 체계성을 재고해야 한다. 셋째, 자원봉사의 활성화 등 실습에 대한 이상적 개념과 현실적 상황 간 간극을 좁힐 수 있는 방안이 필요하다. 넷째, 직무와 기능 향상을 초월하는 학교교육의 방향설정이 필요하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영숙, 2011, "사회복지학과 대학원생이 인지하는 효과적인 사회복지실습 수퍼비전", 사회복지조사연구, 28: 169-195.
  2. 강철희․최소연, 2005, "지역사회복지관 사회복지현장실습의 현황과 방향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복지교육, 1(2): 51-79.
  3. 강흥구, 2009, "사회복지실습 목표달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복지교육, 9: 1-21.
  4. 강희숙․강신옥․안우상․이환복․조경미, 2008, "사회복지전공학생의 실습 경험", 한국지역사회복지학, 24: 175-196.
  5. 권현진, 2004, "사회복지전공 학부생의 실습 만족도에 대한 연구", 서울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6. 김주현․전진호, 2010, "사회복지현장실습 3P-Plus 모델에 관한 연구", 한국지역사회복지학, 32: 1-30.
  7. 김융일․양옥경, 2002, 수퍼비전론, 서울: 양서원.
  8. 김현옥․김경호․하은영, 2009, "사회복지학 단일전공학과와 복합전공학과 학생들의 사회복지 전문성 인식 비교 연구", 한국사회복지교육, 10: 37-67.
  9. 김희년, 2007, "사회복지현장교육의 내실화를 위한 인턴쉽 프로그램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복지교육, 3(2): 29-55.
  10. 한주빈․오혜경․오봉욱, 2010, "사회복지실습생의 현장실습평가에 관한 내용분석 연구", 한국사회복지교육, 12: 147-171.
  11. 류의근 역, 2002, 지각의 현상학. Merleau-Ponty, M. 1945. Phenomenologie de la perception, 서울: 문학과지성사.
  12. 박근혜․김은정․배은경, 2015, "사회복지현장실습 수업참여 학생들의 액션러닝에서의 경험과정 연구", 청소년학연구, 22(12): 27-55.
  13. 박종엽․이효선, 2009, "수퍼비전체계 속에서 수퍼바이저와 실습생의 상호작용에 관한 연구: 실습생의 실습경험을 중심으로", 사회복지연구, 40(4): 5-40.
  14. 박지영․심경순․최말옥, 2009, "부산지역 사회복지현장실습 교육의 현황과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학교사회복지교육, 10: 143-169.
  15. 서진환, 2004, "전신보건센터의 사회복지실습과제 개발 연구", 사회복지연구, 24: 93-124.
  16. 순덕기, 2010, "사회복지현장실습이 사회복지 전문직 정체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임파워먼트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건국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7. 신현정, 2006, "모유수유체험의 의미 탐색", 교육인류학연구, 9(2): 89-115.
  18. 신현정, 2012, "전문대학생들의 삶과 앎, 그 체험적 구성: 학교생활을 중심으로", 교육인류학연구, 15(1): 189-229.
  19. 신현정, 2016, "'잘 큼'과 '잘 키움' 사이의 상호주관적(intersubjective) 교차", 가족과 문화, 26(3), 88-130.
  20. 안병덕․이근홍, 2015, "사회복지학전공 대학생의 전공관련 만족도가 사회복지전문직 정체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사회복지교육, 32: 167-184.
  21. 양옥경, 2005, "사회복지현장실습 교육모델 개발 연구", 한국사회복지교육, 1(1): 97-127.
  22. 엄미선․김선아․곽지영, 2009, "원격대학 사회복지 전공 학생의 직업실천수행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실습 지도요인들에 대한 연구". 평생학습사회, 5(2): 161-182.
  23. 오영림․손덕순․박종팔, 2013, "전문대학 사회복지과 전공심화 교육과정개발에 관한 연구", 임상사회 사업연구, 10(2): 53-84.
  24. 오승환, 2005, "사회복지실습 만족도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복지교육, 1(2): 105-121.
  25. 원석조, 2013, 사회복지개론, 서울: 양서원.
  26. 유혜령, 2005, "아동교육 연구의 현상학적 접근: 역사와 과제", 교육인류학연구, 8(1): 57-90.
  27. 윤철수․진혜경․안정선, 2004, "학교사회복지 운영 및 실습 실태에 관한 연구", 학교사회복지, 7: 49-78.
  28. 이근호, 2005, "달과 손가락. 질적 연구방법론으로서의 해석학적 현상학에 관한 소고", 한국교육인류학회 춘계학술대회 자료집.
  29. 이근호, 2007, "질적 연구 방법론으로서의 현상학: 독특성과 보편성 사이의 변증법적 탐구 양식", 교육인류학연구, 10(2): 41-64.
  30. 이기상 역, 1998, 존재와 시간. Heidegger, M. 1926. Sein und Zeit.. 서울: 까치.
  31. 이길순, 2009, "전문대학교수로서의 역할. 신임교수 good start 과정 연수 자료집", 전문대학교육협의회.
  32. 이남인, 2004, 현상학과 해석학, 서울: 서울대학교출판부.
  33. 이시연, 2005, "사회복지관 실습지도 내용에 대한 내용분석연구", 한국사회복지교육, 1(1): 129-148.
  34. 이재훈․이해리 역, 2002, 프로이드 이후, Mitchell, S. A., & Black, M. J., 1995, Beyond Freud. 서울: 한국심리치료연구소.
  35. 이종훈 역, 1997, 경험과 판단, Husserl, E. 1938. 서울: 민음사.
  36. 이혁규, 2005, "교과서 쓰기 체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교육인류학연규, 8(1),
  37. 이형하, 2009, "시간제 등록 학생의 사회복지현장 실습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9(9): 226-234. https://doi.org/10.5392/JKCA.2009.9.9.226
  38. 장수미, 2010, "사회복지현장실습 수퍼비전에 대한 실습지도교수의 주관적 인식 유형연구", 한국사회복지학, 62(2): 235-255.
  39. 장수미, 2011, "사회복지실습지도교수와 현장수퍼바이저의 실습수퍼비전 내용에 대한 인식 비교", 사회복지연구, 42(1): 371-397.
  40. 장혜경․유형준, 2008, "사회복지현장실습의 실습성과와 실습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지역사회복지학, 25: 273-297.
  41. 전남일보, 2016, "사회복지사 근무환경, 급여수준 등 현황파악 시급", 7월 8일자.
  42. 전문대학교육협의회, 2012, 학과정보.
  43. 전미숙․이상주, 2014, "사회복지전공자의 진로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복지현장실습의 중요성에 대한 연구", 한국인간복지실천연구, 12: 127-148.
  44. 정무성․조해영, 2009, "사회복지전공 학생의 현장실습 스트레스 증상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복지교육, 10: 93-118.
  45. 정수경, 2004, "사회복지전공 학생의 실천수행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실습지도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복지학, 56(3): 327-355.
  46. 조상미․전종설, 2009, "사회복지실습 수퍼비전 만족도 영향 요인", 한국사회복지교육, 10: 119-141.
  47. 조용환, 1999, 질적 연구: 방법과 사례, 서울: 교육과학사.
  48. 조용환, 2004, "질적 연구와 질적 교육", 교육인류학연구, 7(2): 55-76.
  49. 조용환, 2010, "질적 연구의 원리와 과정", 아동상담 및 심리치료 연구회 질적 연구 워크숍 미출판 간행물.
  50. 조용환, 2013, "메를로-퐁티의 현상학과 질적 연구." 추계공동학술대회 자료집.
  51. 조용환, 2014, "2014 복지사업 질적 연구 및 평가 교육", 초록우산어린이재단.
  52. 최소연, 2010, "사회복지전공학생의 사회복지 효능감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복지교육, 12: 73-96.
  53. 최은희, 2011, "사이버대학생과 일반대학생의 사회복지 현장실습성과 및 전문직 정체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1(12): 475-485. https://doi.org/10.5392/JKCA.2011.11.12.475
  54. 표갑수․김현진, 2009, "사회복지실습지도모델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복지교육, 10: 171-191.
  55. 한국사회복지사협회, 2005, "사회복지현장실습교육지침서", 한국사회복지사협회.
  56. 한국사회복지사협회, 2015, "2015 사회복지사 자격관리 지침", 한국사회복지사협회.
  57. 한주빈, 2011, "사회복지 현장실습의 실습성과에 관한 연구: 학교요인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가톨릭대학교 박사학위논문.
  58. 홍순혜․방진희․엄경남, 2011, "학교사회복지분야에서의 사회복지 현장실습교육의 실태와 과제", 학교사회복지, 20: 77-101.
  59. Caspi, J., & Reid, W., 1998, "The task-centered model for field instruction: an innovative approach", Journal of Social Work Education. 34(1), 55-70. https://doi.org/10.1080/10437797.1998.10778905
  60. Denzin, N., 1994, "The art and the politics of interpretation. In N. Denzin and Y. Lincoln(Eds.)", Handbook of Qualitative Research, pp.500-525. London: Sage
  61. Fortune, A. E, 1994, "Field instruction. In F. G. Reamer(Ed.)". The foundation of social work knowledge. New York: Columbia University Press.
  62. Goetz, J.,& LeCompte, M., 1984, "Ethography and qualitative design in educational research", New York: Academic Press.
  63. Knight, C., 2001, "The process of field instruction: BSW and MSW students' views of effective field supervision", Journal of Social Work, 37(2): 357-379.
  64. Pike, K., 1967, "Language in relation to a unified theory of the structures of human behavior(2nd Ed.)", The Hague, Netherlands: Mouton.
  65. van Manen, M, 1990, "Researching lived experience", Albany: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66. Wayne, J., Raskin, M., & Bogo, M., 2006, "Field notes: The need for radical change in field education", Journal of Social Work Education, 42(1): 161-169. https://doi.org/10.5175/JSWE.2006.200400447
  67. Wolcott, H., 1990, "Writing up qualitative research", Newbury Park CA: S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