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stitutional Ethnography on Organization of Case Management Practice at a Mental Health Center

정신보건센터 사례관리 실천의 조직화에 관한 제도적 문화기술지

  • Received : 2016.10.01
  • Accepted : 2016.11.05
  • Published : 2016.11.30

Abstract

This study is a research that investigated organization of case management practice at a mental health center. For organization research of case management practice, this study applied the research method of Institutional Ethnography, and analyzed 'work knowledge' and 'texts' data which were obtained through field work that lasted 3 months with 11 study participants. The analysis is not interpretation of the researcher, but it is work that assembles 'work knowledge' of field workers until they reach discovering institutions that organize case management practice. As a result of this study, case management practice of the mental health center was being standardized as 'a service that is biased towards symptom management without comprehensive and continual resources links' by new public management theory, bio-medicine discussion, 'standardization policy', 'treatment rate improvement policy', 'performance-based budget system', 'performance evaluation system' and 'continual linkage policy', mediating texts. This is a different outcome from usefulness of case management that is claimed to support politically.

본 연구는 현 정신건강증진센터 사례관리가 탈원화와 사회복귀의 측면에서 한계를 보이는 현상을 제도적 맥락에서 이해해보고자 사례관리 실천의 제도적 조직화를 탐구한 연구이다. 이를 위해 제도적 문화기술지(Institutional Ethnography)의 연구방법을 적용하여, 11명의 연구 참여자와의 심층면접과 3개월간의 현장관찰을 통해 얻어진 일 지식과 텍스트 자료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정신건강증진센터 사례관리 실천의 한계는 효율 담론(신공공관리론)과 생의학 담론이 담지된 표준화 정책, 치료율 향상 정책, 성과주의 예산 방식, 성과 평가 체계, 인프라 기능 분할 및 연속적 연계 정책, 복지 자원 연계에 대한 무계획으로부터 텍스트적 실천을 통해 조형되었다. 제도적 조직화의 결과로써 드러난 정신건강증진센터 사례관리는 욕구의 재단과 획일화, 의료적 욕구의 편향, 접촉의 표피화, 사회복귀의 비연속적 미포괄적 지원의 특성을 띠고 있었는데 이는 그간 정책적으로 표방되어 온 사례관리의 유용성과는 간극이 크다. 연구 결과에 따라, 생의학 담론 및 효율 담론의 영향력에 주목하고, 대안 담론을 토대로 한 새로운 정책과 전략의 고안, 성과 관리 체계의 변화, 현장 텍스트들의 재검토와 내용의 재구성, 정신질환자지원에 대한 사회적 관점의 고취, 새로운 사례관리 사업에 대한 논의의 활성화 등을 제언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윤호, 2007, "성과주의 예산제도의 평가와 그 결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거버넌스학회보, 14(1): 291-325.
  2. 고성철, 2006, "국고보조금과 지방정부 사업평가의 연계 방안에 관한 연구 : 중요국책사업에 대한 합동 평가와의 연계를 중심으로", 한국지방자치연구, 8(1): 109-126.
  3. 김선희, 2002, "정신보건영역에 있어서 역량강화 실천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복지연구, 6 : 171-191.
  4. 김수영․김이배, 2014, "공공사회복지행정의 정보화가 사회복지일선관료의 실천에 미친 영향 : 사회복지 통합관리망에 대한 비판적 고찰", 한국사회복지행정학, 16(4): 91-126.
  5. 김인숙, 2013, "제도적 문화기술지: 왜 또 다른 연구방법인가?", 한국사회복지학, 65(1): 229-324.
  6. 김인숙․강지나․우아영․조혜련․하지선․한상미 역, 2014, 제도적문화기술지, Smith, D. E., 2005, Institutional Ethnography (A Sociology For People), 나남.
  7. 김창엽, 2011, "한국 사회와 정신 질환 : 사회적 반응으로서의 배제", 김창엽외 편, 나는 나쁜 장애인이고 싶다, 삼인, 177-202.
  8. 김창엽, 2013, 건강할 권리, 후마니타스.
  9. 남상희, 2004, "정신질환의 생산과 만성화에 대한 의료사회학적 접근", 한국사회학, 38(2): 101-134.
  10. 남찬섭 역, 2012, 사회복지사를 위한 실천이론, Karen Healy, 2005, Social Work Theories in Context, 나눔의 집.
  11. 민소영, 2005, "지역사회 정신건강증진센터의 사례관리 구조에 대한 탐색적 고찰", 사회과학연구, 21(2):139-163.
  12. 민소영, 2009a, "사례관리 수행요소와 지역거주 정신장애인의 소비자 만족도 및 삶의 질 사이의 경로 탐색", 한국사회복지학, 61(3): 103-127.
  13. 민소영, 2009b, "정신건강증진센터 사례관리 수행요소와 네트워크 활동에 대한 고찰", 한국케어매니지먼트 연구, 3: 21-40.
  14. 민소영, 2012, "정신보건실천현장의 사례관리활동목록 개발 연구", 한국사회복지학, 64(3): 127-153.
  15. 박정임, 2003, "정신장애인을 위한 강점관점 사례관리모델의 적용 효과에 관한 연구". 사회복지실천, 97-136.
  16. 박충훈, 2010, 정부합동평가지표의 개선방안, 경기개발연구원.
  17. 보건복지부, 2014, "2014년도 보건복지부 소관 예산 및 기금 운용계획 개요", 보건복지부.
  18. 보건복지부, 2016, 2016 정신건강 사업 안내, 보건복지부 건강정책국 정신건강정책과.
  19. 서순복, 1999, "신공공관리에 관한 보완적 접근", 조선대 사회과학연구, 20(3): 305-331.
  20. 서울대학교건강증진사업지원단, 2010, "국가정신보건 5개년 계획(2011-2015)수립", 서울대학교건강증진 사업지원단.
  21. 서울시정신보건사업지원단, 2008, "서울정신보건서비스 Framework", 서울시정신보건사업지원단.
  22. 서울특별시, 1999. "'99 서울특별시 지역사회 정신보건세미나 서울특별시 정신보건 정보관리 시스템 발표 및 시연회 팜플렛", 서울특별시.
  23. 서울특별시, 2004, "서울정신건강2020사업 제1차 4개년 계획", 서울특별시.
  24. 서울특별시, 2008, "서울시지역정신건강증진센터 중증정신질환관리 프로토콜", 서울특별시서울시정신보 건사업지원단.
  25. 서울특별시, 2013, "서울시 지역 정신건강증진센터 사례관리 프로토콜 개발 연구보고서", 서울특별시.
  26. 서울특별시, 2014, "(알기쉬운)서울시 예산 : 2014년도 성과주의 예산개요", 서울특별시.
  27. 서진환․이선혜, 2007, "정신분열병을 가진 사람의 환청에 대한 사회복지사 개입", 사회복지연구, 35: 469-497.
  28. 성준모, 2009, "정신보건영역에서의 임파워먼트 실천에 대한 고찰", 정신보건과사회사업, 33: 291-301.
  29. 송태민, 2000, 정신보건정보관리체계구축방안연구, 한국보건사회연구원
  30. 신영전, 2011, "브롬덴 추장은 무사히 그 골짜기로 돌아갈 수 있었을까?", 김창엽 외 편, 나는 나쁜 장애인이고 싶다, 삼인, 177-202.
  31. 엄명용․김성천․오혜경․윤혜미, 2008, 사회복지실천의 이해, 학지사.
  32. 이기연, 2011, "정신보건영역에서의 사례관리사업 평가: 현황 및 전망", 제4회 한국사례관리학회 추계학술대회 발표자료.
  33. 이용표, 2003, "정신건강증진센터 법제화의 쟁점과 대안 모색", 상황과 복지, 15: 343-364.
  34. 이용표, 2005, "정신장애인 직업재활정책의 경로의존에 관한 연구 ; 역사적 제도주의 관점을 중심으로". 한국직업재활학회, 15(2): 25-44.
  35. 이용표․강상경․김이영, 2006, 정신보건의 이해와 실천패러다임, EM커뮤니티.
  36. 이용표․정현주․두진영, 2008, "서울시 지역사회정신보건사업 운영체계 개선방안 연구", 서울도시연구, 9(4) : 107-130.
  37. 이용표․김도희, 2016, "마포구 정신장애인 사망사건을 통해본 정신보건법제의 개선방안", 법과 정책연구, 16(1): 419-443.
  38. 이현정, "헤게모니 경합의 장인 정신보건 : 중국 개혁시기 여성주의 NGO와 의료전문가의 자살예방 접근방식에 관한 민족지적 연구", 현대중국연구, 12(2): 41-82.
  39. 이혜영, 2013, "지방정부 성과평가 대상에 관한 연구", 한국공공관리학보, 27(3): 21-45.
  40. 조병희, 2006, 질병과 의료의 사회학, 집문당.
  41. 하경희, 2010, "한국에서의 ACT 적용에 대한 사례관리자 경험에 관한 연구", 사회복지연구, 41(2): 107-133.
  42. 한국장애인개발원, 2014, "정신장애인 지역사회통합 지원방안 연구", 한국장애인개발원.
  43. 한국정신보건사회복지사협회, 2012, 정신보건사회복지의 이론과 실제,. 양서원.
  44. 행정안전부, 2013, "2014년(13년 실적) 지방자치단체 합동평가 평가지표 및 매뉴얼", 행정안전부.
  45. Burns, B. J., and Santos, A. B., 1995, "Assertive community treatments: an update of randomized trials", Psychiatric Services, 46: 669-675. https://doi.org/10.1176/ps.46.7.669
  46. Cooper, B. and Broadfoot, P., 2006. "Beyond Description and Prescription: Towards Conductive Assessment in Social Work Education", International Studies in the Sociology of Education, 16(2): 139-157. https://doi.org/10.1080/09620210600849844
  47. King, R., Bas, J. L., and Spooner, D., 2000, "The impact of caseload on the personal efficacy of mental health case managers", Psychiatric Services, 51(3): 364-368. https://doi.org/10.1176/appi.ps.51.3.364
  48. McGrew, J. H., Bond, G. R., Laura. D., Michelle, S., 1994, "Measuring the fidelity of implementation of a mental health program model",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62(4): 670-678. https://doi.org/10.1037/0022-006X.62.4.670
  49. Nikelly. A. G., 2001, "The role of environment in mental health: individual empowerment through social restructuring", The Journal of Applied Behavioral Science, 37(3): 305-323. https://doi.org/10.1177/0021886301373004
  50. Preston-Shoot. M., 2001, "Regulating the road of good intentions : observation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olicy", Regulations and Practice In Social Work. Practice, 13: 5-20.
  51. Rubin, A., and Johnson, P. J., 1982, "Practitioner orientations toward the chronically disabled: Prospects for policy implementation", Administration in Mental Health, 10(1): 3-12. https://doi.org/10.1007/BF00819029
  52. Segal, S. P., Silverman, C., and Temkin, T., 1993, "Empowerment and self-help agency practice for people with mental disabilities", Social work, 38(6): 705-712.
  53. Smith, D. E., 2005, "Institutional Ethnography(A Sociology For People)", ALTAMIRA PRESS.
  54. Sullivan, W. P., 1992, "Reclaiming the Community: The strengths perspective and deinstitutionalization", Social Work, 37(3): 204-209.
  55. Townsend, E., Langille, L., and Ripley, D., 2003, "Professional Tensions in Client-Centered Practice: Using Institutional Ethnography to Generate Understanding and Transformation", Occupational Therapy, 57(1): 17-28. https://doi.org/10.5014/ajot.57.1.17
  56. Ziguras, S. J. and Stuart, G. W., 2000, "A meta-analysis of the effectiveness of mental health case management over 20 Years". Psychiatric Services, 51: 1410- 1421. https://doi.org/10.1176/appi.ps.51.11.1410
  57. 서울시정신보건통계, 2015, "추계정신질환자수", http://seoulmentalhealth.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