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ructural Changes of Exporting Industries and their Changes of Total Factor Productivity in Korean Manufacturing

한국 제조업 내 수출산업의 변화와 산업별 총요소생산성 변화 분석

  • 김태기 (전남대학교 경영대학 경제학부)
  • Received : 2016.09.23
  • Accepted : 2016.11.18
  • Published : 2016.11.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structural change of Korean manufacturing industries and the differences of total factor productivity(TFP) between exporting industries and import substituting industries in Korean manufacturing industry from 1980 to 2013. The empirical results show that over half of total 13 industries have experienced changes of direction from import to export or export to import, which implies that there was a considerable structural change in Korean manufacturing industry. The output growth rates are higher in exporting industries than in import substituting industries. All industries employ more capital than labor during the period, which means that production methodology in Korean industries changes to a more capital intensive one. Finally, the growth rate of total factor productivity is higher in exporting industries than in import substituting industries, and it is also proved in panel regression analysis.

본 연구는 1980-2013년 기간 동안 한국 제조업 내 수출산업과 수입산업의 구조변화와 총요소 생산성의 변화를 분석하고 있다. 분석결과는 제조업 내 13개 산업 중 절반 이상의 산업이 수출입의 방향이 바뀌는 등 전반적으로 산업구조의 변화가 상당히 큰 폭으로 진행되어 왔음을 보여준다. 또 수입산업보다 수출산업에서 수출만이 아니라 생산도 크게 증가하였다. 이는 수출산업이 한국경제의 성장을 주도해 왔음을 보여준다. 또 어느 산업에서나 노동투입보다는 자본투입 증가율이 더 높은데, 이는 그간 생산방법이 보다 자본집약적인 형태로 변해 왔음을 말해준다. 마지막으로 총요소생산성 증가율도 수입산업보다는 수출산업에서 훨씬 더 높다. 패널회귀분석 결과도 수출산업에서 총요소생산성이 더 높음을 말해준다.

Keywords

Acknowledgement

이 논문은 2015년도 전남대학교 연구년교수연구비 지원에 의하여 연구되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