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Case Study of The Participant Network of Community Media in Seoul: Mapo FM Community Media

공동체 미디어의 참여자 네트워크 특성과 의미 분석: 마포FM 사례를 중심으로

  • 장시연 (한국외국어대학교 일반대학원 신문방송학과) ;
  • 채영길 (한국외국어대학교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부)
  • Received : 2016.04.05
  • Accepted : 2016.04.26
  • Published : 2016.05.28

Abstract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characteristics and roles of community media in Seoul to discuss the meanings of the media. Community media is constructed based upon the networks of relations of community participants, whose characteristic relations of participants within the network determines the roles and meanings of the media for the community. Research have shown that community media's unique open, participatory, and horizontal communicative structures enable to realize such objects. For this study, we chose Mapo FM to conduct case study based upon network analysis of 'participant network' of the media. In particular, we tried to measure the density and centrality of the network, which can explain the relational characteristics of the networks of the media. In addition, we also conducted in-depth interviews of participants to better understand the problems and meanings of the community media. The findings suggest that unlike the conceptual and theoretical assumptions, the community media under the study lacks of open, participatory, and horizontal ways of participation in the media.

본 연구는 마을공동체미디어의 관계와 소통 구조를 이해하기 위하여 네트워크 분석방법을 통해 커뮤니티 미디어 참여자 네트워크의 관계망 특성을 분석하였다. 연구대상으로 서울시 마포구의 마포FM을 선정하였으며 네트워크 분석 방법에 기초하여 마포 FM의 생산자를 중심으로 형성되어 있는 참여자들의 네트워크의 밀도와 네트워크 중심성을 분석하였다. 또한 분석 결과의 해석과 이해를 위하여 추가적으로 참여자에 대한 심층 인터뷰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마포FM은 지역 활동가를 중심으로 하는 마을공동체 조직가의 역할을 수행하고 있으나 일반 주민들의 참여의 정도와 소통 방식은 이론적 논의와는 달리 낮은 밀도와 소수에 집중되어 있는 낮은 수준의 관계성을 보여주고 있었다. 이러한 결과의 원인과 배경을 이해하기 위하여 참여자 네트워크에 포함된 활동가들의 심층 인터뷰 자료를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국내 커뮤니티미디어가 공동체와 그 구성원을 위한 콘텐츠의 생산과 공유를 어떻게 진작 시킬 것인지를 논의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R. D. Putnam, "The Prosperous Community: Social Capital and Public Life," American Prospect, Vol.13, No.35, pp.35-42, 1993.
  2. K. Howley, Community media: People, places,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5.
  3. 서울시, 마을 미디어 여행, 서울, 소통과 공감, 2015.
  4. J. B. Thomson, The media and Modernity. A Social Theory of the Media, Cambridge: Policy Press, 1995.
  5. N. Carpentier, R. Lie, and J. Servaes, "Community Media-muting the democratic media discourse?," Continuum, Vol.17, No.1, pp.51-68, 2003. https://doi.org/10.1080/1030431022000049010
  6. N. Jankowski, "Community media research: a quest for theoretically-grounded models," Javnost-The Public, Vol.10, No.1, pp.5-14, 2003.
  7. C. Atton, Alternative Media, London, Sage, 2002.
  8. 조명래, "'주택개발'에서 '사람 중심 주거재생'으로:서울시 신주거정책을 중심으로," 공간과 사회, 제46권, pp.5-57, 2013.
  9. 채영길, 커뮤니티 미디어 이론과 실천,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2015.
  10. Rodriguez, Fissures in the Media scape: An Internatinal Study of Citizens's Media Cresskill, NJ, Hampton Press, 2001.
  11. J. Downing, "Audiences and readers of alternative media: the absent lure of the virtually unknown," Media, Culture&Sociery, Vol.25, No.5, pp.625-645, 2003.
  12. Scott, John, Social network analysis, Sage, 2012.
  13. 방송위원회, 소출력 라디오 시범사업 평가연구, 서울, 2005.
  14. Robert A. Hanneman and Mark Riddle, Introduction to social network Methods, 2005.
  15. 이수상, 네트워크 분석 방법론, 서울, 논형, 2013.
  16. UNESCO, Community Radio Sustainability Policies and Funding, UNESCO, 2015.
  17. 김용학, 박세웅, 전소영, "온라인 사회 연결망의 구조분석," 정보화정책, 제13권, pp.167-185, 2006.
  18. 홍숙영, "공동체 라디오를 통한 다문화 인식개선과 스토리설계 방안,"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5권, 제5호, pp.99-107, 2015.
  19. 박종관, "'지역공동체 형성전략 연구-천안시를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2권, 제4호, pp.396-407, 20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