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Effects of Online Social Relationship on Depression among Older Adults in South Korea

노인의 온라인 사회관계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

  • Received : 2015.12.21
  • Accepted : 2016.02.02
  • Published : 2016.05.28

Abstract

This study examined the importance of social capital in facilitating older adults' learning and adaptation of information technology as well as alleviating depressive symptoms. At two senior community centers in South Korea, 144 adults aged 60 and older were recruited to participate in 12 week-long technology classes to learn computers, smart phone, and internet skills. At the baseline interviews were conducted to assess their health status, depression, and online social relationships. Online and offline social capital (bonding vs. bridging) was assessed (Williams, 2006). Four-step Hierarchical Linear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effects of online social relationship on depression. Findings suggested that depressive symptoms were associated with being widowed, being unemployed, and perceiving poor health status. Adding social capital variables in the final step, older adults who perceived less stressors, greater level of subjective health and high online bonding capitals had less depressive symptoms. Only online social bonding was significant in alleviating depression. This final model explained 48% of the variance. Computer/Internet training for older adults need to consider the significant role bonding social capital can play. The findings of this pilot study provided a preliminary base of knowledge about acceptable community-based interventions for older adults.

본 연구는 노인의 온라인 사회관계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서울 소재 복지관 2곳의 정보화교육프로그램(컴퓨터 기초반, 스마트폰반, 인터넷반)에 참여한 60세 이상 노인 총 144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결과를 분석하였다. Williams(2006)의 사회자본척도(On and Off the 'Net' Scales for Social Capital in an Online Era)를 사용해 노인의 온라인 사회관계를 측정하였으며, 온라인 사회관계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인구사회학적 변수, 건강관련 변수, 스트레스 변수를 모두 통제한 상태에서도 온라인 결속형 사회관계는 노인의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지역 내 온라인 결속형 사회관계 강화 프로그램이 필요하며, IT교육 프로그램을 통해 온라인 결속형 사회관계를 강화시키는 것이 노인의 우울감소에 도움이 됨을 시사하고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http://www.kisa.or.kr
  2. 이복자, 명승환, "노인의 정보화인식과 인터넷활용이 사회적 네트워크 형성에 미치는 영향: 광역시도를 중심으로," 한국지역정보화학회지, 제13권, 제4호, pp.151-179, 2010.
  3. http://www.nia.or.kr
  4. Y. Chen and A. Persson, "Internet use among young and older adults: Relation to phychological well-being," Educational Gerontology, Vol.28, pp.731-744, 2002. https://doi.org/10.1080/03601270290099921
  5. 장미옥, "노인들의 인터넷 이용후의 만족이 사회활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성인교육학회, 제7권, 제3호, pp.133-154, 2004.
  6. 황은희, 신수진, 정덕유, "노인의 인터넷 사용 실태, 자아효능감, 자아존중감에 관한 연구," 한국보건간호학회지, 제25권, 제1호, pp.118-128, 2011.
  7. 정민숙, 이유리, "정보화교육 참여노인의 인터넷활용만족이 생활만족에 미치는 영향," Andragogy Today, 제15권, 제1호, pp.63-85, 2012.
  8. 유용식, 손호중, "인터넷활용과 노인의 삶의 질과의 관계,"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2권, 제4호, pp.235-244, 2012.
  9. 김동배, 김상범, 김세진, "서울지역 장.노년층의 인터넷활용능력, 대인관계능력, 사회활동에 관한 연구," 한국노년학, 제31권, 제3호, pp.733-749, 2011.
  10. 손연기, "노인복지에 있어서 정보화의 역할," 노인복지연구, 제8권, 제1호, pp.7-29, 2000.
  11. S. Sum, R. Mathews, L. Haghes, and A. Compbell, "Internet use and loneliness in order adults," Cyber Psycology and Behavior Vol.1, No.2, pp.208-211, 2008.
  12. 고상민, 황보환, 지용구, "소셜네트워크 서비스와 온라인 사회적 자본: 한국과 중국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전자거래학회지, 제15권, 제1호, pp.104-117, 2010.
  13. 이혜인, 배영, "스마트폰 이용과 사회자본: 스마트폰 이용동기와 이용정도가 사회자본 구성요소에 미치는 영향을 중심으로," 정보화사회, 제21권, pp.35-71, 2011.
  14. P. Norris, "The bridging and bonding role of online communities," Press/Politics, Vol.7, No.3, pp.3-13, 2002.
  15. 금희조, "온라인 소셜 미디어와 참여적 사회자본 : 한국과 미국 대학생의 연결적 VS 결속적 이용을 중심으로," 한국방송학보, 제24권, 제5호, pp.9-46, 2010.
  16. 윤성준, "사회적 자본의 효과에 관한 네트워크적 접근 : Bonding vs. Bridging," e-비즈니스연구, 제14권, 제1호, pp.203-244, 2013.
  17. 김재윤, 김정환, 김성철, "시각장애인의 스마트폰 이용이 사회적 자본과 정서적 웰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방송학보, 제27권, 제2호, pp.157-185, 2013.
  18. 강승미, 우울증 진단을 위한 정신과 상담과 상담 권고에 대한 태도 : 공적자아인식, 자기효능감, 사회 자본의 효과,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4.
  19. R. Atchley, Social Forces and Aging, California: Wads worth Publishing Co, 2014.
  20. H. G. Keoning and Iii. D. G. Blazer, "Minor depression in late life," American Journal of Geriatric Psychiatry, Vol.4, No.4, pp.S14-S21.
  21. R. L. Spitzer, K. Kroenke, and M. Linzer,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n the primary care patients with mental disorders: Results from the PRIME_MD 1000 Study," Psychosomatics, Vol.37, No.2, p.169, 1996. https://doi.org/10.1016/S0033-3182(96)71588-8
  22. Battle, "Relationship between self-esteem and depression," Psychological Report, Vol.42, No.3, pp.745-746, 1978. https://doi.org/10.2466/pr0.1978.42.3.745
  23. 이묘숙, "노인의 우울수준이 죽음불안에 미치는 영향 및 생활만족도 조절효과 연구," 노인복지연구, 제49권, pp.241-266, 2010.
  24. 이금자, 이현지, "노인 코호트에 따른 삶의 질 결정요인," 노인복지연구, 제41권, pp.159-182, 2008.
  25. 박정아, 조영채, "한 보건기관에 내원한 기초생활수급노인과 비수급 노인의 우울 및 인지기능 상태 비교," 농촌의학: 지역보건, 제32권, 제1호, pp.1-12, 2007. https://doi.org/10.5393/JAMCH.2007.32.1.001
  26. M. Serby and M. Yu, "Overview: Depression in the Elderly," Mount Sinai Journal of Medicine, 제70권, 제1호, pp.1-10, 2003.
  27. 김동배, 김상범, 신수민, "무배우자 노인의 사회 참여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 지지와 자아 효능감의 매개효과," 한국노년학, 제32권, 제1호, pp.289-303, 2012.
  28. 정순둘, 구미정, "우울 영향요인: 베이비부머, 예비노인, 현재노인의 비교," 한국노인복지학회, 제37권, 제1호, pp.305-324, 2011.
  29. Y. Yang, "Is old depressing? Growth trajectories and cohort variations in late-life depression," Journal of Aging and Health, Vol.24, No.1, pp.3-28, 2007. https://doi.org/10.1177/0898264311422599
  30. 허준수, 유수현, "노인의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제13권, pp.7-35, 2002.
  31. 권태연, "노년기 연소노인, 중고령노인, 초고령노인 집단의 스트레스 요인과 자아존중감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 자아존중감 요인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사회복지연구, 제40권, 제1호, pp.163-197, 2009.
  32. 이혜경, 이병록, "노인복지관 이용노인의 가족 및 사회적 지지와 일상생활가능정도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 자기수용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한국지역사회복지학, 제38권, pp.201-225, 2011.
  33. J. F. Huang, R. H. Wong, C. C. Chen, I. F. Mao, C. C. Huang, W. H. Chang, and L. Wang, "Trajectory of depression symptoms and related factors in later life: A population based study," Journal of Affective Disorder, Vol.133, pp.499-508, 2001.
  34. 이현지, "재가 노인이 경험하는 고립과 외로움이 삶의 만족도와 우울에 미치는 영향 : 통제감의 매개효과," 한국지역사회복지학, 제42권, pp.157-177, 2012.
  35. 임중철, 주경희, 임병우, "노인의 일자리참여활동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 자아존중감의 매개역할을 중심으로," 노인복지연구, 제57권, pp.29-50, 2012.
  36. 김정선, "가정노인과 양로원 노인의 자아존중감, 일상생활활동능력, 생활만족도에 관한 연구," 대한간호학회지, 제28권, 제1호, pp.148-158, 1998.
  37. 이미숙, "노인과 건강-여성한국사회연구회 편," 노인과 한국사회, 서울: 사회문화연구소, pp.196-229, 1999.
  38. 김원경, "노년기의 신체적 건강과 우울증간의 관계: 구조적 및 기능적 측면의 사회적 지지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제20권, 제1호, pp.49-66, 2001.
  39. 김주희, 김정현, "노인 우울척도를 이용한 노인의 우울성향과 근골격계 만성동통의 상관성에 대한 연구," 한국노년학회, 제18권, 제3호, pp.90-102, 1998.
  40. 김오남, "농촌노인의 건강수준, 사회적 지지와 우울에 관한 연구," 한국가족복지학, 제8권, 제2호, pp.5-22, 2003.
  41. 권영은, 하진, 안수연, "재가노인의 지각된 건강상태, 일상생활수행정도 및 우울에 관한 연구," 한국노년학, 제27권, 제2호, pp.335-343, 2007.
  42. 윤명숙, 김성혜, 채완순, "노인의 음주 및 정신건강 특성이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한국알코올과학회지, 제11권, 제1호, pp.27-44, 2010.
  43. 장미희, 김윤희, "노인의 스트레스, 우울 및 자살생각 간의 관계," 정신간호학회지, 제14권, 제1호, pp.33-42, 2005.
  44. T. Ryberg and M. C. Larsen, "Networked identities : understanding relationships between strong and weak ties in networked environments," J. Comput. Assisted Learn, Vol.2, pp.103-115, 2008.
  45. R. Putnam, "Bowling alone," The Collapse and Revival of American Community, New York: Symon and Schuster, 2000.
  46. P. Bourdieu, The Forms of Capital, in Richardson, J. G.(ed.), Handbook of Theory and research for the sociology of education. New York: Greenwood Press, 1986.
  47. J. Coleman, The Foundations of social Theory, Cambridge. MA: Harvard University Press, 1990.
  48. X. S. Briggs, "Social Capital oh Human Capital," American Journal of Sociology, Vol.94, No.95-120, 1989.
  49. B. Edwards and M. W. Foley, "Civil society and social capital beyond Putnam," American Behavioral Scientist, Vol.42, No.1, pp.124-139, 1998. https://doi.org/10.1177/0002764298042001010
  50. 김은미, 선유화, "댓글에 대한 노출이 뉴스 수용에 미치는 효과," 한국언론학보, 제50권, 제4호, pp.33-64, 2006.
  51. N. Ellison, R. Heino, and J. Gibbs, "Managing impressions online: Self presentation processes in the online dating environment," Journal of Computer Mediated Communication, Vol.11, No.2, pp.415-441, 2006. https://doi.org/10.1111/j.1083-6101.2006.00020.x
  52. J. Donath and D. Boyd, "Public displays of connection," bt technology Journal, Vol.22, No.4, pp.71-82, 2004. https://doi.org/10.1023/B:BTTJ.0000047585.06264.cc
  53. B. Wellman, A. Q. Haase, J. Witte, and K. Hampton, "Does the Internet increase, decrease, or supplement social capital? Social networks, participation, and community commitmen,t, American behavioral scientist, Vol.45, No.3, pp.436-455, 2001. https://doi.org/10.1177/00027640121957286
  54. D. Williams, "On and Off the 'Net' Scales for Social Capital in an Online Era," Journal of Computer-Mediated Communication, Vol.11, pp.593-628, 2006. https://doi.org/10.1111/j.1083-6101.2006.00029.x
  55. J. Boase, J. B. Horrigan, B. Wellman, and L. Rainie, "The strength of Internet ties: The Internet and e-mail aid users in maintaining their social networks and provide pathways to help when people face big decisions," Washington, DC: The Pew Internet and American Life Project. Retrieved on June, Vol.22, 2007.
  56. N. B. Ellison, C. Steinfield, and C. Lampe, "The benefits of Facebook "friends: Social capital and college students' use of online [1[18social network sites," Journal of Computer Mediated Communication, Vol.12, No.4, pp.1143-1168, 2007. https://doi.org/10.1111/j.1083-6101.2007.00367.x
  57. Haythornthwaite, "Social networks and Internet connectivity effects," Information, Community & Society, Vol.8, No.2, pp.125-147, 2005. https://doi.org/10.1080/13691180500146185
  58. 금희조, "소셜 미디어 시대, 우리는 행복한가? 소셜 미디어 이용이 사회 자본과 정서적 웰빙에 미치는 영향," 한국방송학보, 제25권, 제5호, pp.7-48, 2011.
  59. 김봉섭, "블로그 이용에 따른 사회적 연결망 유형과 사회자본 효과 연구," 언론과학연구, 제10권 제2호, pp.73-104, 2010.
  60. 심흥진, 황유선, "마이크로 블로깅(micro-blogging) 이용 동기에 관한 연구 : 트위터(twitter)를 중심으로," 한국방송학보, 제24호, 제2권, pp.192-234, 2010.
  61. H. Litwin, "Social network type and morale in old age," The Gerontologist, Vol.41, No.4, pp.516-524, 2001. https://doi.org/10.1093/geront/41.4.516
  62. 임소영, 강민아, 조성일, "한국 노인의 사회관계망 유형과 건강상태의 관계: 남녀집단별 분석," 노인복지연구, 제59권, pp.281-308, 2013.
  63. 탁영란, 김순애, 이봉숙, "여성 노인의 사회적지지 및 도구적 지지요구와 우울에 관한 연구," 여성건강간호학회지, 제9권, 제4호, pp.449-456, 2003.
  64. 남철현, 김병하, "유배우 노인의 우울정도와 관련요인분석연구," 한국노년학, 제19권, 제2호, pp.173-192, 1999.
  65. S. E. Caplan, "Preference for online social interaction a theory of problematic Internet use and psychosocial well-being," Communication Research, Vol.30, No.6, pp.625-648, 2003. https://doi.org/10.1177/0093650203257842
  66. 신용주, "정보화교육을 통한 노인 임파워먼트의 모색," 평생교육학연구, 제11권, 제4호, pp.33-53, 2005.
  67. H. White, E. McConnell, E. Clipp, L. Bynum, and C. Teague, "Surfing the Net in later life: A review of the literature and pilot study and computer use and quality of life," Journal of Applied Gerontology, Vol.18, No.3, pp.358-378, 1999. https://doi.org/10.1177/073346489901800306
  68. S. R. Cotten, G. Ford, S. Ford, and T. M. Hale, "Internet use and depression among retired older adults in the United States: A longitudinal analysis," The Journals of Gerontology Series B: Psychological Sciences and Social Sciences, Vol.69, No.5, pp.763-771, 2014. https://doi.org/10.1093/geronb/gbu018
  69. J. A. Yesavage, T. L. Brunk, O. Rose, V. Lum, M. Huang, and M. Adey,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geriatric depression screening scale; a preliminary report," Journal of Psychiatry Res, Vol.17, pp.37-49, 1983.
  70. 배재남, DSM-III-R 주요우울증에 대한 geriatric depression scale (GDS)의 진단 정확도, 서울대학교 대학원, 1996.
  71. M. S. Furlong, "An electronic community for older adults: The senior Net network," Journal of Communication, Vol.39, No.3, pp.145-153, 1989. https://doi.org/10.1111/j.1460-2466.1989.tb01048.x
  72. 한국노인상담연구소(김은주, 주경희, 구효향, 김준화, 이윤호, 조세희), 노인심리척도집, 서울: 학지사, 2009.
  73. 구자순, "고령층의 온라인 공동체 활동에 관한 연구: 남성과 여성간 차이를 중심으로," 사이버커뮤니케이션학보, 제16권, pp.241-272, 2005.
  74. E. Paul and S. Brier, "Friendsickness in the transition to college: Precollege predictors and college adjustment correlates," Journal of Counseling and Development: JCD, Vol.79, No.1, pp.77, 2001. https://doi.org/10.1002/j.1556-6676.2001.tb01946.x
  75. J. Cummings, J. Lee, and R. Kraut, "Communication technology and friendship during the transition from high school to college," Computers, phones, and the Internet: Domesticating information technology, pp.265-278, 20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