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patial Strategies and Locational Behaviour of Korean Auto Parts Firms in China: Focused on Parts Suppliers of Donfeng-Yueda-Kia Car Assembler

대중국 한국 자동차 부품기업의 공간 전략과 입지 특성: 동풍열달기아 완성차 기업의 부품 협력기업을 중심으로

  • Choe, Ja-Yeong (Graduate School of Geography, Dongguk University-Seoul campus) ;
  • Lee, Sung-Cheol (Department of Geography Education, Dongguk University-Seoul campus)
  • 최자영 (동국대학교 일반대학원 지리학과) ;
  • 이승철 (동국대학교(서울캠퍼스) 사범대학 지리교육과)
  • Received : 2016.04.08
  • Published : 2016.04.30

Abstract

China has been developing a new auto industry growth plan since 2004. In line with this initiative, China actively adopted its policy favoring foreign companies' investment which had a competitive edge over their technologies and manufacturing methodologies. To meet this demand in policy and market change, many foreign auto companies and their parts' manufacturers including Korean auto companies joined this stream. Policy change favoring higher technologies applicable in China requested auto companies' swift adaptation to meet the policy requirements by higher technologies with innovation and introduction of those foreign technologies to China. The spatial (excellence) strategy was followed by the increase in its efficiency and competiveness of each region, which were materialized by or in the form of; Firstly, strategic partnership with China auto companies and encouragement of Korea auto parts manufacturing companies to set up its own factories in China. Secondly, modularization and platform sharing strategy by applying enhanced technologies. Thirdly, strategic utilization of China local government's incentive policies. As production management methodology, JIS was adopted all across the board to meet the on-demand market requirements in the manufacturing processes. Auto part manufacturers had been integrated regionally based on forward linkages and modules. As a result, regional-specific auto industry complexes have been made in the places such as Beijing-Hyundai in the north, Dongfeng-Yueda-Kia in the south, common auto parts at central area like Qingdao, and other parts and raw materials in the vicinity of Shanghai.

중국은 2004년부터 자동차 공업 관련 신산업 정책을 추진하기 시작하였다. 이와 함께 기존의 맹목적인 외자유치에서 높은 기술수준을 지닌 외자기업을 유치하는 방향으로 선회하였다. 이러한 정책적 환경 변화는 수많은 다국적 기업들 및 협력기업들의 중국 진출을 본격화시켰으며, 한국의 완성차 및 부품기업 또한 진출이 이루어졌다. 외자기업의 착근과정에서 나타난 제도적 변화에 의한 혁신적인 기술 적용 필요성은 기업의 기술 혁신 필요성과 조응하였는데, 효율적 공간 전략이 요구되었다. 첫째, 제도적 변화에 따른 로컬 파트너십 활용과 부품기업 동반진출 전략, 둘째, 기술혁신을 통한 모듈화 및 공용 플랫폼 전략, 셋째, 지방정부 인센티브 정책 활용 전략이 그것이다. 특히 생산 네트워크 내 행위자들은 직서열 공급방식을 통한 부품 공급망을 따라 전후방 연계의 흐름이 나타났으며 관계성이 강화되었다. 따라서 부품기업들은 원활한 협력 체제를 위해 전방기업 및 모듈 단위 중심으로 집적하였다. 그 결과 북쪽의 베이징 현대를 중심으로 하는 북쪽 지역, 남쪽의 동풍열달기아를 중심으로 하는 남쪽 지역, 공용 부품을 공급하기 위한 칭다오를 중심으로 하는 중부 지역, 일반 공용 부품 및 원자재를 공급하는 상하이를 중심으로 하는 기타 지역으로 생산 공간의 분화가 나타났다.

Keywords

References

  1. 김균.성낙선.이상호.정중호.신상훈(譯), 2013, 경제분석의 역사 1, 한길사 (Schumpeter J. A., 1954, History of Economic Analysis, Taylor & Francis Ltd).
  2. 김은영, 2011, 한국 제조업의 기술혁신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부경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 김주영.김유신.이미혜.강수영, 2011, 자동차산업의 중국 동반진출 성과와 정책 시사점: 국내 승용완성차 및 협력기업를 중심으로, 한국수출입은행.
  4. 김태환, 2007, "자동차 부품산업의 공간적 재구조화와 입지 패턴 변화," 대한지리학회지, 42(3), 434-452.
  5.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 2007, 2007년 중국의 외자기업관련 주요 신규 법규와 시사점, Global Business Report 07-004.
  6. 박상용, 2011, 현대차그룹의 성장전략과 위상 - 폭스바겐과의 비교, KIS Credit Monitor.
  7. 산업연구원, 2011, "우리나라 재제조 산업의 현황과 활성화 방안," e-KIET 산업경제정보, 제509호, 2011-11.
  8. 송태복.남수현, 2011, "자동차산업 기술혁신의 동학적 분석," 기술혁신학회지, 14(1), 85-108.
  9. 이동기.조영곤, 2005, "현대자동차의 대중국 시장 현지화 전략," 한국 국제경영관리학회, 국제경영리뷰, 9(1), 199-232.
  10. 이장로.이재혁.박지훈, 2006, "동풍열달기아(DYK) 중국시장 유통채널전략에 관한 사례연구," 유통과학연구, 4(2), 145-165.
  11. 이종탁, 2005, "현대자동차 생산 모듈화 현황과 작업장 변화 - 노조 대응전략의 새로운 모색을 위하여," 비정규노동, 44.
  12. 장영배, 2002, 한국 자동차 산업의 기술혁신패턴과 전개 방향, 과학기술정책연구원 조사자료 2002-06.
  13. 정명기.황진영.김홍기.홍성일, 2006, "한국자동차부품 산업의 한중생산네트워크에 관한 연구," 산업노동연구, 12(2), 317-347.
  14. 정선양, 2007, 전략적 기술경영, 박영사.
  15. 정환우, 2013, 중국 자동차산업 보호, 어떻게 대응하나?, Trade Focus, 한국무역협회.
  16. 조항, 2013, 향후 10년 자동차산업의 3대 키워드, 포스코경영연구소.
  17. 조현수, 2015, 중국 경제현황 진단과 시사점, 한국수출입은행 해외경제연구소.
  18. 천용찬, 2015, "중국 경제의 자급률 상승이 한국 경제에 미치는 영향," 현대경제연구원, 15-25호.
  19. 최병헌, 2012, "중국 자동차 산업의 제도적 요인에 관한 연구," 中國硏究, 54, 149-177.
  20. 한국무역협회.산업연구원, 2013, 중국 내수시장 진출전략, 세미나 자료집.
  21. 한국환경산업기술원, 2014, 중국 환경시장 분석 보고서.
  22. 홍장표.김은영, 2009, "한국 제조업의 산업별 기술혁신 패턴 분석," 기술혁신연구, 7(2), 25-53.
  23. 馮飛, 2015, 2015 한중 경제포럼: '중국제조 2025' 추진배경과 중점분야,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4. Breschi, S. and Malerba, F. 1997, Sectoral Innovation Systems: Technological Regimes, Schumpeterian Dynamics, and Spatial Boundaries, in Edquist, C. (ed.), Systems of Innovation: Technologies, Institutions and Organizations, London: Pinter, 130-156.
  25. Depner, H. and Bathelt H., 2005, Exporting the German Model- The Establishment of a New Automobile Industry Cluster in Shanghai, Economic Geography, 81(1), 53-81. https://doi.org/10.1111/j.1944-8287.2005.tb00255.x
  26. Dicken, P., 2003, Global production networks in Europe and East Asia: the automobile components industries, GPN Working Paper, University of Manchester.
  27. Dicken, P., 2011, Global Shift six edition, The Guilford Press, New York: London.
  28. Dross, M., Mattar, N. A., Thierstein, A., 2012, A conceptual foundation of spatial strategy- A methodology for spatial transformation, AESOP 26th Annual Congress 11-15 July 2012 METU, Ankara.
  29. Dunford, M., 2015, The rise of China and the Greater BRICS: Implications for Global Growth and Regional Development, 제3회 (사)한국지역정책학회 국제학술 심포지엄 발표문.
  30. Henderson, J., Dicken, P., Hess, M., Coe, N. and Yeung, H. W.-C., 2002, Global production networks and the analysis of economic development, Review of International Political Economy, 9(3), 436-464. https://doi.org/10.1080/09692290210150842
  31. Liu, W. and Yeung, H. W.-C., 2008, China's Dynamic Industrial Sector: The Automobile Industry, Eurasian Geography and Economics, 49(5), 523-548. https://doi.org/10.2747/1539-7216.49.5.523
  32. 중국자동차공업협회(中國汽車工業協會) http://www.caam.org.cn
  33. 한국수출입은행 해외투자통계 http://211.171.208.92/odisas.html
  34. 한국자동차산업협회 http://kama.or.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