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백두대간 생태축 복원사업 2년 후 산림미기상, 식생 및 토양특성 변화 모니터링

Ecological Monitoring on Changes in Microclimate, Vegetation and Soil Properties after 2 Years in Restoration Project Sites Linking the Ridgeline of Baekdudaegan

  • 박영대 (대구대학교 산림자원학과) ;
  • 권태호 (대구대학교 산림자원학과) ;
  • 마호섭 (경상대학교 산림환경자원학과.농업생명과학연구원)
  • Park, Yeong Dae (Department of Forest Resources, Daegu University) ;
  • Kwon, Tae Ho (Department of Forest Resources, Daegu University) ;
  • Ma, Ho Seop (Department of Forest Environmental Resources(IALS),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 투고 : 2016.01.19
  • 심사 : 2016.02.16
  • 발행 : 2016.02.29

초록

산림청은 도로로 단절된 백두대간 생태계의 연속성을 복원하기 위해 2011년부터 생태축 복원사업을 추진하고 있으며, 본 연구는 초기단계에서 복원사업 이후 생태적 변화를 모니터링 하기 위해 2012년과 2013년 완공된 이화령, 육십령, 벌재, 총 3곳의 생태축 복원사업지와 각각 주변임분의 산림미기상, 식생 및 토양특성 변화를 비교, 분석하였다. 백두대간 생태축 복원사업에는 우리나라 능선부 대표식생인 소나무가 주로 조림되었고 사업준공 2년이 지난 지금 아까시나무, 물오리나무 등 상층수종이 주변 임분에서 이입되고 있었다. 당초 파종 또는 식재되었던 초본식물 종수의 변화는 연구대상지 중 이화령에서 가장 심하게 변화하였는데(25종 유입), 달맞이꽃, 개망초, 돼지풀, 미국나팔꽃, 기생초, 그늘사초 같은 외래식물의 유입이 증가하고 있어, 이에 대한 후속관리가 시급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이는 이화령이 다른 사업지에 비해 토양산도, 유기물, 전질소함량 등 토양의 화학적 특성이 열악하고(P<0.05) 주변임분과의 온도, 상대습도와 같은 산림미기상의 차이가 심하게 나타났다(P=0.001). 본 연구는 백두대간 생태축 복원사업 준공 후 2년차 결과를 비교한 것으로, 비록 초기단계 복원 모니터링이지만, 자연복원의 방향을 예측하는데 있어 중요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The Korea Forest Service(KFS) has been initiating restoration activities of ridgeline in damaged and fragmented areas of Baekdudaegan since 2011. Completed project in Ihwaryeong, Yuksimnyeong & Beoljae(2012; 2013) were selected as sites for this study. The changes in microclimate condition, vegetation composition and soil properties between project sites and adjacent stands were compared to evaluate the effect of restoration at early stage(after 2years). Pinus densiflora was planted mainly for these restoration sites, however Robinia pseudoacacia and Alnus sibirica invaded the area two years after the restoration activities. Ihwaryeong showed the most changes in understory vegetation among the study sites. Exotic species, such as Ambrosia artemisiifolia, Oenothera odorata, Erigeron annuus, and Coreopsis tinctoria invaded Ihwaryeong, and the dominance have invaded currently. It resulted from the poor survival rate of trees and high difference in microclimate wherein there's an increased temperature and decreased humidity in both restored sites and adjacent stands. In addition, it is also caused by poor soil chemical property, especially pH and organic matter content due to lack of humus layer and its accumulation, compared to adjacent forest soil in restored sites. Significant difference on chemical soil property was observed between restored sites and adjacent forest but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observed after two years of restoration. Ecological monitoring is needed to understand the ecological changes after restoration and to establish a long-term management strategy.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