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횡청류의 한 독법(讀法) - '남녀 간의 만남과 이별'의 경우 -

How to read of Manhoengcheongnyu

  • 투고 : 2015.12.31
  • 심사 : 2016.01.11
  • 발행 : 2016.01.31

초록

이 글은 만횡청류의 한 독법을 제시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만횡청류 독법의 전제는 노랫말이 '뜻과 지취가 보잘 것 없'지만 '손으로 펼치고 눈으로 보'는 독서물이면서 동시에 그것이 '빈연지오(賓筵之娛)'으로 기능했다는 점이다. 독서물이나 가창물에서 희극적인 부분을 찾아내는 일이 어렵지 않은 것도 이런 특성과 밀접하다. '만횡청류 독법의 전제들'과 '남녀 간의 만남과 이별에 대한 진술들'을 고려했을 때, '이제는못보게도~'는 '이별하기 싫다'라는 화자의 마음을 희극적으로 표현한 노래였다. 화자는 임을 그리워하다가 죽은 자신의 모습을 아이를 통해 임에게 전하고 싶어 한다. 자신의 죽어가는 과정을 희극적 요소에 기대 진술하고 있는데, 이를 통해 임은 웃으며 떠날 수 있고 화자는 웃으며 보낼 수 있었을 것이다. '개야미불개야미~'는 '황당한 소문을 임이 믿지 않기를 바란다'는 화자의 마음을 불구상태의 불개미를 통해 나타내고 있다. 그러한 상태에 있는 불개미가 광릉의 고개를 넘어 가람[칡범]의 허리를 물고 북해를 건너갔다는 소문은 희극적 요소를 더욱 배가시키는 역할을 했다.

It is by presenting the how to read of Manhoengcheongnyu(만횡청류) in this article. Premise of how to read of Manhoengcheongnyu(만횡청류), the meaning of the lyrics is inconsequential. And yet reading, at the same time, it is a singing of drinking. Such characteristic is one that is found in reading substances and singing thereof. Premise of how to read of Manhoengcheongnyu (만횡청류), to the statement of the encounter and farewell between men and women when considering these points, 'Ijeneunmotbogedo(이제는못보게도~)' is reflected the heart of the speaker is called "do not want to parting". Speaker, want their own appearance has reached the lover through the children. Lover is the speaker can be left laughing would could spend laughing after all.

키워드

참고문헌

  1. 고정희, 사설시조의 희극적 특징 고찰, 한국문학논총 35집, 한국문학회, 2003.
  2. 김동건, 음주문화를 통한 한림별곡의 일고찰, 한국문화 69집, 서울대규장각, 2015.
  3. 김학성, 한국 고전시가의 정체성, 성균관대 대동문화연구원, 2002.
  4. 김학성, 사설시조의 형식과 미학적 특성, 어문연구 30집, 한국어문교육연구회, 2002.
  5. 남정희, 청구영언 편찬을 전후한 18세기 전반 경화사족의 시조향유 양상, 한국고전연구 8집, 한국고전연구회, 2002
  6. 류근안, 사설시조의 연행화 양상에 대한 연구, 한국언어문학 49집, 한국언어문학회, 2002.
  7. 류종영, 웃음의 미학, 유로, 2005.
  8. 박희병, 병신에의 시선, 고전문학연구 24, 한국고전문학회, 2003.
  9. 신경숙, 사설시조 연행의 존재양상, 홍익어문 10․11집, 홍익어문회, 1992.
  10. 심재완 편, 교본 역대시조전서, 재판;세종문화사, 1972.
  11. 이능우, 고시가논고, 선명문화사, 1966.
  12. 이문성, 사설시조에 나타난 성적 어휘와 성풍속, 한국학연구 19, 고려대, 2003.
  13. 이영태, 시조의 가창공간과 가창 참석자들의 심리-프로이트의 농담이론을 통하여, 고전문학연구 27집, 고전문학회, 2005.
  14. 조규익, 우리의 옛노래 문학 만횡청류, 박이정, 1996.
  15. 조태흠, 18․9세기 장시조 연행의 기반과 그 문학적 의미, 도남학보 15집, 도남학회, 1996.
  16. 최동원, 고시조론, 중판;삼영사, 1991.
  17. 앙리베르그송, 웃음-희극성의 의미에 관한 시론, 정연복 옮김, 세계사, 1999.
  18. 프로이트, 농담과 무의식의 관계, 임인주 옮김, 재간;열린책들, 20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