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Research on Park Jae-sam's Sijo with Emphasis on his Methods of Creating Poetic Images and the Process of Creating New Ideas

박재삼 시조의 이미지 구현방식과 의미화 과정 연구

  • Received : 2015.12.31
  • Accepted : 2016.01.11
  • Published : 2016.01.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shed light on the position and the importance of sijo (Korean traditional poetic form of Three-Line Stanzas) of the Korean poet Park Jae-sam among Korean sijo writers. Even though Park Jae-sam started his career as a poet writing two sijos and a poem, he began to write more poems than sijos later on. Anyway his interest in sijo writing has continued and he has served as a judge of sijo writing contests ever since. Especially in 1985, he published a collection of sijo. And each sijo writing in this collection are composed of three-line stanzas and each stanza of three lines. And each line has a rhythmic sound with a formal word formation. This article reveals that Park Jae-sam has pursued a happy unity of form and content in his sijo writings from the collection and that he has tried his hardest to realize this goal. This article notes that for this goal he puts stress on some methods of creating poetic images and the process of creating new ideas, the unity of Koreans's unique emotion of han(恨) and a sense of eternity, transcendence through ambivalent emotions, and the structure of statement mainly made of juxtaposed metaphors. And this articles also notes that as a most sincere lyric poet in the history of sijo he is much distinguished from other Korean poets in that he depicts mainly Koreans's unique emotions and their characteristics.

이 논문은 현대시조사에서 박재삼 시조의 위치와 중요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쓰여졌다. 박재삼은 '형식미와 내용미의 행복한 일치'를 그 시조 창작의 지향점으로 삼아 시조 쓰기를 진행해 왔다. 박재삼은 이를 위해 여러 시도를 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이 글이 주목하는 부분이 바로 그 점이다. 이 글에서는 박재삼 시조 창작방법론의 키워드라 판단되는 이미지의 구현방식과 의미화 과정을, 한의 정서와 영원성의 결합, 양가성의 정서를 통한 초월, 병렬 형식의 은유로 이루어진 언술구조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이미지 구현방식과 의미화 과정에서 드러나는 박재삼 시조 미학의 차별성의 첫 번째 특징은 한의 정서와 우주적 무한과 시간적 영원을 본질로 하는 범주인 '영원성'이 결합하는 양상이다. 그동안 박재삼의 시조에서 이 영원성의 문제는 간과된 측면이 있다. 이 영원성은 사랑하는 사람과의 이루지 못한 사랑의 한으로 인해 나타난다. 진정한 사랑을 위해 또 다른 세계, 즉 '저승'이라는 공간과의 소통을 시도하며, 슬픔에서 생산된 아름다운 가치인 '한'이 영원성과 결합됨으로써 자아의 정체성을 찾고 죽음에 대한 두려움을 이겨낼 수 있다. 이 영원성은 상당히 내면화되어 있으며 변신 모티브 역시 쉽게 찾을 수 없을 정도로 시의 구조 안에 내밀하게 설정되어 있다. 이런 이미지 구성방식이 그동안 논자들로 하여금 시조에서 영원성을 언급하지 못한 요인이 되었지만, 이 점이 박재삼의 시조가 한국 시조에서 새로운 의미를 가지는 부분이다. 두 번째 특징은 상반되는 이미지를 병치하고 통합함으로써 초월에 이르는 의미화 방식이다. 박재삼은 어떤 정서가 단일한 이미지로 환원되는 것을 거절하는 전략을 가지고 시작에 임했다. 그의 시의 밑바탕을 이루는 한의 정서 자체가 삶의 기본적인 구조를 내포하며 인생과 자연의 온갖 바람을 담고 있는 본질적 요소이다. 이 양가적 정서는 한 시 안에서 존재해도 어긋나지 않는다. 이 의식의 근저에는 삶에 대한 너그러운 인식과 세상사에 대해 거리를 두고 관조하는 삶의 자세가 깔려 있다. 미학적 측면으로 드러나는 이런 양가적 감정은 인생관, 세계관으로까지 확산된다. 그의 시에 드러나는 정서가 복합적이라는 것이 다른 서정 시인들과의 또 하나의 차별성이다. 그 결과 이런 양가성의 인식과 종합이라는 시학을 만들어낸 것이다. 이미지 구현방식과 의미화 과정의 세 번째 특징은 언술구조가 은유구조 즉, 원관념과 보조관념의 병렬 형태로 연결되어 시의 전개에 관여한다는 점이다. 이는 주로 "내 사랑은"이라는 시의 '울음'의 미학을 그려내는 이미지가 어떻게 구현되어 있으며, 그것은 어떻게 의미화에 기여하고 있는가를 고찰하는 과정에서 도출되었다. 원관념과 보조관념의 병렬형식의 이런 언술구조는 특별한 주목을 요한다. 무엇보다 직유가 사용되지 않고 예측하지 못하는 은유로 된 언술구조가 의미작용을 일으키며 시가 진행되기 때문이다. 박재삼의 토속적 서정이 체질적인 것인 동시에 그 바탕에는 민족정서와 긴밀히 결부되어 있고, 그 호흡도 의식적이든 무의식적이든 전통적 호흡을 바탕으로 하고 있기에 이는 앞으로 더 깊은 고찰을 요한다. 박재삼은 현대시조사에서 순정하고 서정적인 시인으로서 한국 전통의 정서와 특징을 자신의 창작방법론에 담아냄으로써 여타 시인들과 차별화된 가치 있는 시인으로 평가된다.

Keywords

References

  1. 박재삼, 내 사랑은, 우리시대 현대시조 100인선 13, 태학사, 2006.
  2. 박재삼기념사업회, 박재삼 시전집, 경남, 2007.
  3. 공영옥, 박재삼 시조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논문, 2000.
  4. 김대행, 한국시의 전통연구, 개문사, 1980.
  5. 김보람, 박재삼 시와 시조의 전통수용 양상 연구, 고려대학교 대학원 석사논문, 2013.
  6. 김제현, 현대시조평설, 경기대학교 연구교류처, 1997.
  7. 민병도․문무학 편저, 이호우 시조전집-차라리 절망을 배워, 도서출판 그루, 1992.
  8. 박구하-이근배 대담, 영원한 모국어의 세일즈맨 이근배, 시조월드 7호, 2003.
  9. 박현수, 전후 초월주의와의 호응과 길항, 문예연구, 2009, 가을.
  10. 신대생, 박재삼 시조연구, 진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논문, 2004.
  11. 유성호, 시와 자연, 현대시론, 서정시학, 2010,
  12. 이광호, 恨과 지혜, 울음이 타는 가을江 해설, 미래사, 1991.
  13. 이숭원, 박재삼 시의 자연과 생의 예지, 문학과환경 제6권 2호, 문학과환경학회, 2007.
  14. 정인성, 박재삼 시조와 시 연구, 한국외국어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논문, 2001.
  15. 조동화, 박재삼 선생의 '내 사랑은', 시조 21, 2002 하반기호, 목언예원.
  16. 조춘희, 박재삼 시조 연구, 사림어문학 제20호, 2010.
  17. 홍성란, 시조의 형식실험과 현대성의 모색양상 연구, 성균관대 박사학위 논문, 2004.
  18. 황인원, 1950년대 시의 자연성 연구 - 구자운․김관식․박재삼 시를 중심으로-,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박사논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