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mmunication and Enjoyment of Sijo through the Mass Media in the First Half of the 20th Century

유성기음반과 라디오방송을 통해 향유된 시조의 양상과 특징

  • 박지애 (경북대학교 국어국문학과 BK21플러스 <영남지역 문화어문학 연구 인력 양성 사업단> BK 연구)
  • Received : 2015.12.31
  • Accepted : 2016.01.11
  • Published : 2016.01.31

Abstract

Music was made popular through the modern mass media. Nonetheless, if a period of high standard performances and appreciation by a minority of culture connoisseurs can be qualified with the expression "gentrification of culture", then a period when anyone can access culture through the mass media can be qualified with the terms "popularization of culture" and in this period the reorganization of performance culture can only be driven by the public. In fact, the Jabga, which is a type of traditional song that received strong public adhesion by means of phonograph records and radio broadcasts at the time, stands as a typical example to it. Gagok and Sijo up until the 1920s and even the 1930s are believed to engage actively in the changing media environment and the new modes of music enjoyment and transmission. The Album recording of faster rhythm music and the inclusion of the Sijo, Jabga, and folk songs in one broadcast programme can be seen as reflecting such an effort. However, it can only be hard for the Sijo and Gagok to challenge the predominance of the Jabga which made its lyrics more popular and the new songs written in accordance with the new media environment. Until the 1930s in this changing environment of music enjoyment, Gagok and Sijo performers rather sought to distinguish themselves from the existing popular song style by reproducing traditional forms. The album recording and broadcasting of Lee Wangjik Aakbu, the beginnings of local singers, the participation of male performers not only contributed to the diversification the enjoyment culture of songs and sijo, but also made the 'difference in standard' with the popular songs even more salient.

이 글은 20세기 이후 새롭게 등장한 근대적 대중매체 중 유성기음반과 라디오 방송을 통해 소통되고 향유된 가곡창과 시조창의 실상을 객관적 자료를 통해 살피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먼저 유성기음반으로 취입된 가곡 및 시조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가곡과 시조 유성기음반은 취입 초기부터 '고급문화의 향유'를 강조함으로써, 잡가 위주로 취입되던 당시의 전통노래 음반과의 변별성을 강조하였다. 둘째, 유성기음반 취입이 본격화되는 1920년대 중반까지만 하더라도 가곡창 위주로 음반 취입이 진행되었으며, 유성기음반이 대중화되는 1930년대 이후에는 가곡창보다는 시조창 위주로 음반이 취입되었다. 다음으로 라디오로 방송된 가곡 및 시조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라디오방송에서는 가곡 방송이 시조 방송에 비해 상대적으로 우세하였다. 둘째, 가곡 방송은 가곡창만으로 하나의 프로그램을 구성하여 방송하였으며, 시조는 1930년대 후반에 와서야 시조창만으로 방송 프로그램이 구성되었다. 당시 시조와 함께 방송된 노래 양식은 가창가사뿐만 아니라 긴잡가, 통속 민요에 이르기까지 다양하였다. 셋째, 시조 방송은 연행자와 방송 곡목에 따라 크게 세 시기로 구분할 수 있다. 라디오방송이 시작된 1926년부터 1932년까지는 19세기 연행문화의 연장에 가까운 시기라고 할 수 있다. 라디오가 대중적으로 보급되기 시작하는 1933년부터 936년까지는 기생들이 주도적으로 활동하며, 당시 대중적인 인기를 얻고 있던 잡가 및 통속민요와 시조창을 묶어 방송 레퍼토리로 구성한 시기이다. 1937년 이후는 이왕직아악부, 향제 가객들의 방송 진출 등 기녀 집단 일변도로 구연되던 방송 환경은 다변화되는 시기이다. 가곡과 시조는 1920년대와 30년대 초반까지만 하더라도 대중매체를 통한 노래 향유와 전승이라는 달라진 매체 환경에 적극적으로 대응한 것으로 파악된다. 빠른 악곡 위주의 음반 취입, 시조창과 잡가 및 통속민요를 하나의 방송 프로그램으로 편성한 것 등은 이러한 노력의 일환으로 볼 수 있다. 하지만 달라진 매체 환경에 맞추어서 새롭게 만들어진 신가요와 기존의 노랫말을 더욱 통속적으로 변화시킨 잡가와의 경쟁에서 가곡과 시조가 우위를 차지하기는 힘들 수밖에 없다. 이러한 노래 향유 환경의 변화 속에서 1930년대 중 후반에 이르면, 가곡과 시조 담당층은 오히려 전통적인 형태를 재현하는 방향으로 기존의 통속적인 노래 양식들과 변별되고자 하였다. 이왕직아악부의 음반 취입과 방송 참여, 지방 가객들의 진출, 남성 연행자들의 참여 등은 가곡과 시조의 향유문화를 다변화시켰을 뿐만 아니라, 통속적인 노래와의 '격조의 차이'를 더욱 분명하게 드러나게 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별건곤, 삼천리
  2. 대한매일신보, 동아일보, 만세보, 매일신보, 조선일보, 황성신문
  3. 한국정신문화연구원 편, 경성방송국 국악방송곡 목록, 민속원, 2000.
  4. 한국유성기음반 1-5권, 수림문화총서, 2011.
  5. 고은지, 경성방송국 프로그램에 기록된 20세기 '시조예술'의 연행 양상과 특징, 한국시가연구 26, 한국시가학회, 2009.
  6. 김학성, 잡가의 생성기반과 장르 정체성, 한국 고전시가의 정체성, 성균관대 대동문화연구원, 2002.
  7. 문 현, 고음반에 전하는 가곡, 가사, 시조의 음향자료 연구, 한국음반학 8, 한국고음반연구회, 1998.;
  8. 박지애, 20세기 전반기 잡가의 향유방식과 변모 연구, 경북대 박사학위논문, 2010.
  9. 박지애, 20세기 전반기 라디오방송을 통한 십이가사의 소통과 향유, 한민족문화연구 43, 한민족문화학회, 2013.
  10. 박지애, 근대 대중매체와 잡가, 역락, 2015.
  11. 장유정, 대중매체의 출현과 전통가요 텍스트의 변화 양상 고찰, 고전문학연구 30, 한국고전문학회, 2006.
  12. 최현재, 20세기 전반기 잡가의 변모양상과 의미, 한국문학논총 46, 한국문학회, 20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