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n Exploratory Study on the Introduction of the Basic Income Program for Farmers - Focucing on Chungcheongnam-do -

농민기본소득제 도입에 관한 탐색적 연구 - 충청남도를 중심으로 -

  • 박경철 (충남연구원 농촌.농업연구부)
  • Received : 2016.02.12
  • Accepted : 2016.03.20
  • Published : 2016.03.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trends of basic income guarantee of which the discussion has been spreading in recent years and to explore the feasibility of this system in the rural areas of Chungchengnam-do. Basic Income Guarantee means a system in which all members of society could take regular incomes which is at a minimum necessary for their life without any conditions, and it is already introduced or being currently discussed in several countries and regions such as USA, Switzerland, Namibia. In Korea, it is currently claimed that breakthrough policy such as basic income guarantee for farmers should be introduced for farmers or rural residents who are facing the challenges of the double, namely the reduction of farm incomes and rural population due to the expansion of global free trade such as WTO and FTA since 1990s. Therefore, the policy considerations and suggestions for implementing the basic income guarantee for farmers in Chungcheongnam-do is explained in this paper.

Keywords

References

  1. 강남훈. (2014a). 모두에게 존엄과 자유를: 우리 앞에 다가오고 있는 '기본소득'. 계간 민주, 10: 136-157.
  2. 강남훈. (2014b). 미국의 기본소득보장의 사상과 운동, 강남훈.곽노완 등. 기본소득운동의 세계적 현황과 전망. 서울: 박종철출판사.
  3. 강마야 등. (2014). 농업직불금 제도개선 방안. 충청남도.
  4. 곽노안. (2014a). 복지국가와 기본소득. 녹색평론, 1-2호 (통권134호). 녹색평론사.
  5. 김교성. (2009). 기본소득 도입을 위한 탐색적 연구. 사회복지정책, 36(2), 33-57.
  6. 김상영. 쌀 직불제, 영세소농은 소외. 농민신문 2015년 1월 19일자 보도.
  7. 김성훈. 농가에 기본소득을!. 프레시안 2015년 1월 8일자 보도.
  8. 남기업. (2015). 농업.농촌.농민에게 선포하는 희년, '농민기본소득'. 토지+자유연구소 홈페이지 게재문(1월 16일).
  9. 박경철. (2014). 충남형 기본소득제 도입을 위한 정책 제언. 정책포커스, 38: 1-7. 충남발전연구원.
  10. 변현단. (2014). 농민에게 월급을!: 갑오년에 생각하는 새로운 농민혁명. 녹색평론, 3-4호(통권134호), 164-176.
  11. 서정희.조광자. (2014). 보편적 복지제도로서의 기본 소득, 강남훈.곽노완 등. 기본소득의 쟁점과 대안사회. 서울: 박종철출판사.
  12. 성근제. (2010). 보시라이(薄熙來)의 리더십과 "충칭(重慶)모델". 성균관대학교 성균중국연구소, 동아시아 브리프, 5(4), 80-85.
  13. 이광일. (2014). 나미비아, 기본소득 시범프로젝트의 실제와 전망, 강남훈.곽노완 등. 기본소득운동의 세계적 현황과 전망. 서울: 박종철출판사.
  14. 이명현.강대선. (2011). 한국에서의 기본소득도입을 위한 우선순위 설정에 관한 연구: AHP 방법론을 적용하여. 사회복지정책, 38(2), 39-64.
  15. 이홍규. (2012). 보시라이 숙청과 충칭모델의 미래. 현대중국연구, 14(1), 37-82.
  16. 장경호. (2015). 농가소득 문제의 실태진단. 녀름, 제202권 이슈보고서. 농업농민정책연구소.
  17. 정기석. (2014). 공익농민 월급형 기본소득제 실행모델 개발: 제도의 필요성 및 타당성 연구를 중심으로. 충남발전연구원.(미간행)
  18. 최광온. (2010). 모두에게 기본소득을 : 21세기 지구를 뒤흔들 희망 프로젝트. 서울: 박종철출판사.
  19. 추이즈위안. (2014). 프티부르주아 사회주의 선언. 김진공 옮김. 파주: 돌베개.
  20. 토마 피케티. (2014). 21세기 자본. 장경덕 옮김. 글항아리.
  21. 통계청. (2014). 2013년 농가 및 어가경제조사. 대전:통계청.
  22. 하승수. (2015). 나는 국가로부터 배당받을 권리가 있다. 대구: 한티재.
  23. 한국농업경제학회. (2014). 농가 특성별 맞춤형 경영 안정화 방안 연구. 농림축산식품부.
  24. 한국농촌사회학회. (2014). 농업보조금 지원의 개선과제. 국회예산정책처.
  25. 헨리 죠지. (1997). 진보와 빈곤. 김윤상 옮김. 서울: 비봉출판사.
  26. Bloom, A., & Bloom, S. (2005). A proposal to establish a social fund in the USA to eliminate poverty through a tax surcharge on households earning incomes of more than $100,000 per year, USBIG Discussion paper No. 139. New York City.
  27. John Marangos, Thomas Paine (1737-1809) and Thomas Spence (1750-1814) on Basic income guarantee, http://www.usbig.net/
  28. OECD. (2015). 왜 불평등 감소가 모두에게 이로운가. 한겨레신문 2015년 5월 22일자 보도내용.
  29. Standing, G. (2013). Unconditional basic income: Two pilots in Madhya Pradesh. A background note prepared for the Delhi Conference. Delhi.
  30. Sheahen, A. (2011). The history of the basic income guarantee in the United States. Paper presented at 10th Annual North American Basic Income Guarantee Congress. New York City.
  31. 中共重庆市委关于缩小三个差距促进共同富裕的决定, 重庆日报 2011年 07月 23日 http://cpc.people.com.cn/GB/64093/64387/15228431.html

Cited by

  1. A Study on the Guarantee of Farmers’ Income Based on the Public Interest Functions of Agriculture and Rural Areas vol.30, pp.4, 2016, https://doi.org/10.7856/kjcls.2019.30.4.59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