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ferences
- 경찰청 (2013). 2013 경찰백서. 서울: 경찰청.
- 경찰청 (2014). 교통사고 사상자 줄이기, 경찰청 브리핑 자료.
- 김승국 (1981). 장애와 의식(I), 서울: 아산사회복지사업재단.
- 김정란 (2012). 지체장애인의 이동 및 접근을 위한 편의시설에 관한 연구. 전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김종구 (2009). 지방 기초자치단체 청사의 장애인 편의시설 설치 실태와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인하대학교 공학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김춘종 (2011). 지체장애인 신체활동을 위한 알고리즘 개발. 한국체육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김후경 (2011). 장애인을 대상으로 한 인권교육에 관한 연구. 한국외국어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남상만 . 나운환 . 유명화 (1997). 장애인복지론, 서울 : 홍익재.
- 두오균. (2010). 장애인의 생활안전 문제연구. 한국위기관리논집, 6(3), 206-222.
- 류상일 . 이민규 . 안혜원 (2010). 국민생활안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위험요인과 안전요인을 중심으로. 국가위기관리학회 하계학술대회 자료집, 245.
- 문완기 (2003). 지체장애인의 이동의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박영주 . 윤우석 (2013). 대학캠퍼스 내 대학생들의 범죄두려움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공안행정학회보, 50, 162.
- 박정선 (2011). 범죄두려움의 지역적 차이에 관한 연구-수준간 상호작용을 중심으로. 범죄와 비행, 1, 75-96.
- 박화문 . 전헌선 . 김영한 . 김정희 . 김창평 (2011). 지체부자유아 교육, 대구대학교 출판부.
- 신의기 . 강은영 (2012). 법집행의 공정성에 대한 국민의식 조사연구, 연구총서, 2012(4), 1-310.
- 심명섭 . 이창한 (2015). 핫스팟 경찰활동 예정지역에서의 범죄두려움과 그 영향요인 분석:다목적기동순찰대 운영지역과 인접지역 간의 비교. 한국경호경비학회지, 45, 245-266.
- 오혜경 (1999). 장애인과 사회복지 실천, 서울 : 아시아미디어리서치.
- 윤우석 (2015). 가시적 경찰활동 인식이 범죄두려움에 미치는 영향 검증 : 경찰역할인식의 중요성. 한국범죄학, 9(1), 187-220.
- 이도선 (2011). 경찰의 범죄예방활동에 대한 인식이 범죄두려움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경찰학논총, 6(2), 143-169.
- 이민식 . 신의기 (2010). 법질서확립지수 개발을 위한 시론적 연구. 형사정책연구, 21(4), 33-59.
- 이성식 (2000). 지역사회 경찰활동과 범죄두려움. 한국공안행정학회보, 10, 133-159.
- 이종형 . 장훈도 . 임은기 (2009). 육군 안전체감 척도 개발 기초연구. 상담학연구, 10(4), 2621-2638.
- 이영미 . 탁종연 (2007). 경찰의 장애인에 대한 인권의식 연구. 한국경찰연구, 6(3), 3-30.
- 이호영 (2011). 지하생활공간에서 지체장애인의 피난안전 확보를 위한 가이드라인 개발. 경북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장안식 . 정혜원 . 박철현 (2011). 범죄두려움에 있어서 성과 연령의 상호작용효과. 형사정책연구, 22(3), 291-326.
- 장철영 (2014). 경찰의 종합 체감안전도(범죄 두려움) 측정지표 개발을 위한 시론적 논의. 경찰학논총, 9(1), 96-101.
- 전영호 (1994). 장애인복지론, 서울 : 학문사.
- 정용기 (2015). 정신장애자의 형사책임능력 판단과 정신감정. 한국경호경비학회지, 43, 179-200.
- 정철우 . 강소영 (2014). 체감안전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경찰연구, 13(4), 262-269.
- 차민규 . 곽대경(2014). 노인안전 강화를 위한 경찰의 역할. 한국경호경비학회지, 41, 389-407.
- 차훈진 (2010). 영국의 시민안심 경찰활동에 관한 연구. 한국공안행정학회보, 40, 337-362.
- 최선우 (2003). 경찰과 커뮤니티, 서울 : 대왕사.
- 최천근 (2011). 다층자료분석을 활용한 체감안전도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행정학회 추계학술대회 자료집, 102-117.
- 치안정책연구소 (2015). 2015 치안전망, 경찰대학 치안정책연구소.
- Auxter, D. Pyfer. J., Zitel, L., & Roth., K. (2009). Principles and Methods of Adapted Physical Education and Recreaction(11th Edition), New York : McGraw-Hill.
- Bahn, C. (1974). The reassurance factor in police patrol, Criminology, 12(3), 338-345. https://doi.org/10.1111/j.1745-9125.1974.tb00640.x
- Covington, J. & Taylor. R. B. (1991). Fear of crime in urban residential neighborhoods, The Sociological Quarterly, 32(2), 231-249. https://doi.org/10.1111/j.1533-8525.1991.tb00355.x
- Hale, C. (1996). Fear of Crime: A Review of the Literature, International Review of Victimology, 4(2), 79-150. https://doi.org/10.1177/026975809600400201
- Jackson, J. (2004). Experience and Expression: Social and Cultural Significance in the Fear of Crime, British Journal of Criminology, 44(6), 946-966. https://doi.org/10.1093/bjc/azh048
- LaGrange, R. L. & Ferraro. K. F. (1987). The Elderly's Fear of Crime A Critical Examination of the Research, Research on aging, 9(3), 372-391. https://doi.org/10.1177/0164027587093003
- Mclaughlin, Eugene & Muncie, John. (2006). The Sage Dictionary of Crimilogy, London: Sage Publicatons, Ltd.
- Ross, C. E. (1993). Fear of victimization and health, Joumal of Quantitative Criminology, 9(2), 159-175.
- Skogan, W. & M. G. Maxfield. (1981). Coping with Crime : individual and neighborhood reactions, Beverly Hills: Sage Publicatons Ltd.
- Sutton, R. M. & Farrall. S. (2005). Gender, socially desirable responding and the fear of crime are women really more anxious about crime?, British Journal of Criminology, 45(2), 212-224. https://doi.org/10.1093/bjc/azh084
- Taylor, R. B. & Hale. M. (1986). Testing alternative models of fear of crime, The Journal of Criminal Law and Criminology (1973-), 77(1), 151-189. https://doi.org/10.2307/1143593
- Taylor, R. B. (1989). Toward an environmental psychology of disorder: Delinquency, crime and fear of crime. In D. Stokols & I. Altman (Eds.), Handbook of environmental psychology(2, 951-986). New York: John Wiley.
- Villarreal, A. & Silva. B. F. (2006). Social cohesion, criminal victimization and perceived risk of crime in Brazilian neighborhoods, Social Forces, 84(3), 1725-1753. https://doi.org/10.1353/sof.2006.0073
- Wilcox, Rountree. P. & Kenneth. C. Land. (1996). Burglary victimization, perceptions of crime risk, and routine activities: A multilevel analysis across Seattle neighborhoods and census tracts, Journal of Research in Crime and Delinquency, 33(2), 147-180. https://doi.org/10.1177/0022427896033002001
- Wilson, J. Q. & Kelling, G. L. (1982). Broken windows, Atlantic monthly, 249(3), 29-38.
- 매일경제(2010. 11. 11). 국내 뇌성마비 아동 100명당 3명.
- 서울신문(2015. 9. 4). 종용에 가해자 탄원서 쓴 장애인 피해자들.
- 세계일보(2014. 8. 20). 범죄피해 신고 장애인 . 노인 '보복 무방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