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Improvement of the investigation procedure for the National Security Violators - Focused on the Rights to Counsel -

안보사범에 대한 수사절차 개선방안 검토 - 피의자 신문시 변호인 참여권 문제를 중심으로 -

  • Received : 2016.02.03
  • Accepted : 2016.03.13
  • Published : 2016.03.31

Abstract

Right to counsel means a defendant has a right to have the assistance of counsel (i.e., lawyers), and if the defendant cannot afford a lawyer, requires that the government appoint one or pay the defendant's legal expenses. The right to counsel is generally regarded as a constituent of the right to a fair trial. Historically, however, not all countries have always recognized the right to counsel. The right is often included in criminal law and constitutional law etc. First, any person who is arrested or detained shall have the right to prompt assistance of counsel. When a criminal defendant is unable to secure counsel by his own efforts, the State shall assign counsel for the defendant as prescribed by act in article 12(4) of the constitutional law. Second, the defense counsel or a person who desires to be a defense counsel may have an interview with the defendant or the suspect who is placed under physical restraint, deliver or receive any documents or things and have any doctor examine and treat the defendant or the suspect in article 34 of the criminal law. Nonetheless, problems about guarantee of the rights to counsel to the national security violators like spy terrorist and etc will be important for Koreans to consider. That is because national security violators's cases are qualitatively different from general criminal offense's cases and historically, lawyer obstruct a investigation in the process of examination of a suspect for national security violators. Therefore, this study suggest a way that a restriction the rights to counsel with an attorney in cases of the national security violators. To this end, in this paper, I touch on restriction of right to counsel during interrogation in the England and Germany etc in comparison to that of Korea and review Korea's Supreme Court decision and Constitution Court decision to understand the prospective and trends for Korean investigation procedure improvement.

변호인의 피의자신문 참여권이란 검사나 사법경찰관 등 수사기관이 피의자를 신문함에 있어서 변호인이 참여할 수 있는 권리를 말한다. 전문가인 변호인의 조력을 통하여 수사기관으로부터 받는 피의자의 심리적 압력을 완화시키고 수사기관의 위법한 행위를 감시하는 기능을 가지는 변호인의 피의자신문 참여권 보장은 그 후의 형사절차에서 피의자나 피고인의 방어권 보장을 위하여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고 할 것이다. 우리나라에도 변호인의 조력을 보장해야 하는 권리를 "헌법"과 "형사소송법" 등에서 규정하고 있다. 즉, "헌법" 제12조 제4항은 "누구든지 체포 또는 구속을 당한 때에는 즉시 변호인의 조력을 받을 권리를 가진다. 다만, 형사피고인이 스스로 변호인을 구할 수 없을 때에는 법률이 정하는 바에 의하여 국가가 변호인을 붙인다"고 규정하고 있다. 또한 "형사소송법" 제34조는 신체 구속을 당한 피고인이나 피의자의 변호인 접견교통권을 보장하고 있다. 하지만 간첩, 테러리스트와 같은 안보위해사범들에게 일반 범죄자들과 동일하게 변호인 접견권을 보장해야 하는지는 고민해보아야 할 문제이다. 왜냐하면, 안보사범 사건과 일반형사사범의 사건은 근원적으로 차이가 있고, 역사적으로 안보사범 피의자 신문 시 변호인에 의한 수사방해 행위가 빈번하게 이루어져 왔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효과적인 안보사범 수사를 위해 변호인 접견을 제한하는 정책적 제언을 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서 영국, 독일 등에서 이루어지는 변호인 접견과 관련된 법제도를 살펴보고, 수사절차 개선을 위해 한국에서 이루어진 대법원 결정과 헌법재판소 결정을 검토하여 개선방안을 도출해보고자 한다.

Keywords

References

  1. 권정훈 . 김태환. (2008), "유럽 선진국의 법제적 테러 개념에 관한 고찰", 한국경호경비학회지, 15: 29-50.
  2. 김용수. (2012), "변호인의 피의자 신문 참여권에 관한 연구", 변호사: 회원연구논문집, 42: 259-289.
  3. 김주홍. (2011), "정보화시대에 대비한 한국의 안보정책 방향 연구", 국제정치논총, 41(1): 69-92.
  4. 김택수. (2006), "유럽인권협약상 수사절차의 인권보호 기준에 관한 연구", 경찰학연구, 6(2): 124-153.
  5. 박경신. (2004), "변호인참여권에 관한 미국과 유럽 각국과의 비교", 35-39.
  6. 오택림. (2008), "변호인의 피의자신문 참여권에 관한 연구(상)", 법조, 57(3): 169-192.
  7. 오택림. (2008), "변호인의 피의자신문 참여권에 관한 연구(하)", 법조, 57(4): 211-242.
  8. 윤영철. (2005), "피의자신문에 대한 변호인의 참여권에 관한 소고: 변호인의 피의자신문참여권의 정당성과 법무부의 형사소송법 개정안의 문제점을 중심으로", 형사정책연구, 61: 55-92.
  9. 윤해성. (2011).대 테러 활동에 관한 수사시스템 정비방안, 서울: 한국형사정책연구원
  10. 윤해성. (2012). "테러리즘에 대한 미국 신연방주의 형사사법시스템 검토".경찰학 논총, 7(1): 332-338
  11. 윤태영. (2010), "영국의 대테러리즘 위기관리 체계와 전략: 실제, 문제점 및 정책적 함의", 한국위기관리논집, 6(1): 82-100.
  12. 이상현 . 이대성. (2007), "국가보안법의 개정을 위한 제언: 포괄적 안보개념을 중심으로", 통일정책연구, 16(2): 97-121.
  13. 이영돈. (2014), "변호인의 피의자신문 참여권의 범위와 한계", 법학논고, 47: 261-282.
  14. 이용식. (2001), "위험사회에서의 법익보호와 적극적 일반예방", 형사정책, 13(1): 33-57.
  15. 이재상. (2006), 형사소송법(서울: 박영사).
  16. 성 빈. (2015). "안보사건 판례분석에 기초한 형사소송법 개선방안연구".형사법의 신동향 서울: 대검찰청.
  17. 장석헌 . 이대성, "한국을 대상으로 한 국제테러리즘의 분석과 시사점", 한국경호경비학회지, 28: 153-179.
  18. 조국. (2003), "피의자신문시 변호인참여권 소고: 2003년 '송두율 교수 사건'관련 대법원 결정의 의의와 향후 과제", 형사정책연구, 56: 181-200.
  19. 조기영. (2007), "변호인의 피의자신문참여권", 형사법연구, 19(4): 303-328.
  20. 주성빈. (2015), "안보형사법제도의 바람직한 개선방향 제시", 한국경호경비학회지, 43: 231-257.
  21. 최철영. (2003), "테러문제에 대한 효과적인 기구 운영과 관련법령 정비에 관한 연구", 치안정책연구소.
  22. Baldwin, David A. (1997), "The concept of security", Review of International Studies, 23: 5-26, 1997. https://doi.org/10.1017/S0260210597000053
  23. Frederic Desportes, Laurence Lazerges-Cousquer. (2009), "Traite de procedure penale", Economica, 27 Avril 2009.
  24. Khalilzad Zalmay. (1999), "Defense in a wired world: protection, deterrence, and prevention", in Zalmay Khalilzad, John White, Andy W. Marshall(eds). Strategic Appraisal: the changing role of information in warfare. Santa Monica CA: RAND.
  25. Wolfers Arnold. (1952), "National Security, as an Ambiguous Symbol", Political Science Quarterly, 67(4), 481-502. https://doi.org/10.2307/2145138
  26. 葛野, 尋之. (2009), "再審請求人と弁護人との接見交通権", 一橋法学, 8(3): 125-18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