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Sustaining Effect of Reading Comprehensive Strategy Program for Underachieving Gifted Students

중학교 미성취영재를 위한 읽기 이해 전략 프로그램 효과의 지속성 탐색

  • Received : 2015.10.11
  • Accepted : 2016.03.29
  • Published : 2016.03.31

Abstract

This study examines the sustaining power of program effects of Reading Comprehensive Strategy Program, for underachieving gifted students in middle schools, which was developed and applied by Choi(2015). The study was a kind of follow up study of Choi(2015) as this study traced and collected all data from the same samples that Choi(2015) used since Choi(2015) stopped his program and data collection from 31 participants for 9 to 12 months. As the results, Among 11 subjects, who overcome underachievement through Choi(2015)'s Reading Comprehensive Strategy Program, 5 subjects could consistently maintained their performance level. However, 3 subjects could not maintain their performance and went back to the underachieving level, and another 3 showed instability as they went up and down around the border line. And among 20 subjects, who could not help the underachieving level through Choi(2015)'s program, 5 subjects could reach the achieving level. But 15 subjects still remained in their underachieving level. In conclusion, we may say that at least 16.1%(5 among 31) of underachieving gifed students could overcome their underachiving issue by Choi(2015)'s program even in the most pessimistic view, and 51.6%(16 amoung 3) in the most optimistic view. After all, at least about 50% cases could not be explained only by cognitive factors such as absence of reading comprehensive strategy. We suggest that we should handle the underachieving issues of gifted students by more comprehensive approaches.

본 연구는 최선일(2015)이 중학교 미성취영재의 미성취 문제 해결을 위해 개발 적용했던 읽기 이해 전략 프로그램 효과의 지속성 여부 및 변화 양상을 탐색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최선일(2015) 연구에 참여했던 중학교 미성취영재 31명을 대상으로 프로그램 종료 이후 9~12개월 동안의 학업성적 변화 양상에 대한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읽기 이해 전략 프로그램을 통해 미성취 문제를 해결했었던 11명의 학생들 중 5명은 프로그램 종료 이후에도 지속적으로 성취 수준을 유지하였고, 3명은 성취 수준을 유지하지 못하고 다시 미성취 수준으로 하락하였으며, 3명은 성취와 미성취를 반복하며 불안정한 변화 양상을 나타냈다. 또한 읽기 이해 전략 프로그램 종료 직후 측정에서 미성취 수준을 벗어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던 20명 중 5명은 프로그램 종료 이후 몇 개월 이내에 성취 수준에 도달하였고, 나머지 15명은 이후에도 여전히 미성취 범주에서 벗어나지 못하였다. 결론적으로, 미성취 문제를 가진 영재학생들 중에서 중학교 미성취영재의 미성취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개발한 읽기 이해 전략 프로그램을 통해 미성취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학생의 비율은 가장 보수적인 입장에서는 16.1%(5명), 가장 낙관적인 입장에서는 51.6%(16명)로 해석할 수 있다. 따라서 적어도 50%에 정도에 해당하는 미성취영재들은 학습 전략의 부재와 같은 인지적 요인에 의한 미성취가 아닌 다른 요인 또는 인지적 요인을 포함함 복합적 요인에 의한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김옥분, 김혜진 (2011). 영재 미성취에 영향을 미치는 정의 및 사회적 특성 탐색. 영재와영재교육, 10(3), 53-73.
  2. 송수지 (2007a). 미성취 영재를 위한 인지.정서적 교육개입 프로그램 개발. 정서.행동장애연구, 23(3), 301-326.
  3. 송수지 (2007b). 가정환경요인이 영재아의 성취에 미치는 영향. 대한가정학회지, 45(9), 1-13.
  4. 송수지 (2007c). 영재가 지각한 학교환경이 영재의 미성취에 미치는 영향. 열린교육연구, 5(2), 145-164.
  5. 송수지, 신명희 (2007). 미성취 영재 교육 프로그램이 학업성취, 학습태도, 학습습관에 미치는 효과. 교육학연구, 45(3), 139-166.
  6. 안도희, 김옥분, (2007). 학문적 미성취 중학생들의 학업관련 특성. 교육심리연구, 21(3), 723-745.
  7. 이승진 (2015). 중학교 미성취영재를 위한 사회.정서적 중재 프로그램의 효과성 탐색. 건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8. 정은이 (2002). 미성취 영재에 대한 또래 상담의 전략적 개입. 교육방법연구, 14(1), 35-63.
  9. 주희영 (2012). 오류 발견 전략을 이용한 유전 수업 프로그램이 영재의 미성취 극복에 미치는 효과.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0. 진석언, 이수진 (2006). K-CBCL을 통한 성취 영재와 미성취 영재의 문제행동 비교. 특수교육연구, 13(2), 231-246.
  11. 최선일 (2015). 중학교 영재학생의 미성취 문제 해결을 위한 중재방안으로서의 읽기 이해 전략 프로그램 개발. 영재교육연구, 25(4), 621-639.
  12. 한기순, 신정아 (2007). 성취영재와 미성취영재는 어떻게 다른가? 학습전략, 동기, 능력신념, 그리고 문제해결성향의 차이 분석. 영재교육연구, 17(1), 27-50.
  13. Albaili, M. A. (2003). Motivational goal orientations of intellectually gifted achieving and underachieving students in the United Arab Emirates. Social Behavior and Personality, 31(2), 107-120. https://doi.org/10.2224/sbp.2003.31.2.107
  14. Butler-Por, N. (1987). Underachievers in school: Issues and intervention. Chichester, New York: John Wiley & Sons.
  15. Mandel, H. P., & Marcus, S. I. (1988). The psychology of underachievement. New York: John Wiley & Sons.
  16. Matthews, M. S., & McBee, M. T. (2007). School factors and the underachievement of gifted students in a talent search summer program. Gifted Child Quarterly, 51(2), 167-181. https://doi.org/10.1177/0016986207299473
  17. McCoach, D. B., & Siegle, D. (2003). Factors that differentiate underachieving gifted students from high-achieving gifted students. Gifted Child Quarterly, 47(2), 144-154. https://doi.org/10.1177/001698620304700205
  18. Perry, N. E., Phillips, L., & Hutchinson, L. (2006). Mentoring Student Teachers to Support Self-Regulated Learning. The elementary school journal, 106(3), 237-254. https://doi.org/10.1086/501485
  19. Reis, S. M., & McCoach, D. B. (2000). The underachievement of gifted students: What do we know and where do we go?. Gifted Child Quarterly, 44(3), 152-170. https://doi.org/10.1177/001698620004400302
  20. Renzulli, J. S., Reid, B. D., & Gubbins, E. J. (1990). Setting the agenda: Research priorities for the gifted and talented through the year 2000. Storrs, CT: The National Research Center on the Gifted and Talented.
  21. Rimm, S., & Lowe, B. (1988). Family environments of underachieving gifted students. Gifted Child Quarterly, 32(4), 353-359. https://doi.org/10.1177/001698628803200404
  22. Supplee, P. L. (1990). Reaching the gifted underachiever: Program strategy and design. New York: Teachers College Press.
  23. Weiner, I. B. (1992). Psychological disturbance in adolescence (2nd ed.). New York: John Wiley & Sons.
  24. Whitmore, J. R. (1980). Giftedness, conflict, and underachievement. Boston: Allyn and Bac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