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시대 설악산 자연지명의 역사지리적 분석

A Historical Geographical Analysis on the Physical Place Name of Mt. Seoraksan in Joseon Period

  • 최원석 (경상대학교 명산문화연구센터/인문한국)
  • Choi, Wonsuk (Gyeongnam Cultural Research Institute,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 투고 : 2016.02.12
  • 발행 : 2016.02.29

초록

조선시대 설악산(백두대간 권역)의 역사지리적 정보를 담고 있는 주요 자료로서 지리지 고지도 유산기를 통해 설악산의 공간 인지 범위, 자연지명의 분포 특성, 유람 경로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오늘날의 설악산과 조선시대의 설악산은 공간적인 범위 및 지명 영역이 달랐다. 지역적으로 설악산권역과 한계산권역으로 나뉘어 인지되었음도 알 수 있었다. 조선시대에는 현재의 대청봉을 중심으로 설악산이라고 했고, 울산바위는 천후산(혹은 이산), 한계령 북쪽의 산은 한계산이라고 구별해 불렀다. 조선후기에 와서야 일부 문헌에서 설악산이라는 이름이 한계산, 천후산을 포함한 대표 지명으로 나타났다. 지리지 고지도 유산기에 수록된 산지, 고개, 하천 유형의 자연지명 중에서 산지 지명은 가장 많은 빈도수를 보였다. 오늘날 한계령에 해당하는 오색령은 대부분의 고지도에 일반적으로 표기되어 있어서 대표적인 명칭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조선시대 선비들의 설악산 유산기에 나타나는 가장 일반적인 유람 행로는 백담사$\rightarrow$오세암$\rightarrow$신흥사 코스였다.

This paper analyzes on the physical place name of Mt. Seoraksan in Joseon period from the historical geographical perspective. The analysis materials are Jirijis, old maps and travel records of Joseon period. The results are as follows. The space range of Mt. Seoraksan in Joseon period and today was different. Mt. Seoraksan in Joseon period was around Daecheongbong Peak nowadays, Ulsanbawi Rock was Mt. Cheonhusan, and north mountain range of Hangyeryeong Pass called Mt. Hangyesan. Region of Mt. Seoraksan and Mt. Hangyesan were devided in Joseon Period. Mt. Seoraksan name was representative in late Joseon period including Mt. Hangyesan and Mt. Cheonhusan. Mountain names were the most in the physical place name. The old name of Hangyeryeong Pass was Osaek Pass in maps of Joseon Period. The popular travel course of Mt. Seoraksan in Joseon period was Baekdamsa Temple-Oseam Temple-Sinheungsa Temple.

키워드

참고문헌

  1. 三國史記
  2. 世宗實錄地理志
  3. 新增東國輿地勝覽
  4. 輿地圖書
  5. 增補文獻備考
  6. 大東地誌
  7. 關東誌
  8. 關東邑誌
  9. 江原道 襄陽郡邑誌
  10. 襄陽府邑誌
  11. 關東地誌
  12. 峴山誌
  13. 東國輿地誌
  14. 八道地圖
  15. 海東地圖
  16. 靑丘圖
  17. 靑邱要覽
  18. 大東輿地圖
  19. 大東方輿全圖
  20. 東輿圖
  21. 左海分圖
  22. 東國輿地勝覽
  23. 東國地圖
  24. 關東地圖
  25. 地圖
  26. 輿地圖
  27. 朝鮮地圖
  28. 朝鮮八道地圖
  29. 八道地圖
  30. 東域圖
  31. 左海地圖
  32. 輿地圖
  33. 東國輿地圖
  34. 輿地圖
  35. 朝鮮地圖帖
  36. 東國輿圖
  37. 東國輿地圖
  38. 備邊司印 方眼地圖
  39. 地乘
  40. 廣輿圖
  41. 1872년 地方地圖
  42. 寒溪山記
  43. 遊金剛山記
  44. 遊寒溪錄
  45. 關東秋巡錄
  46. 曲淵記
  47. 寒溪山記
  48. 遊曲淵記
  49. 東征記
  50. 雪岳日記
  51. 遊楓嶽記
  52. 遊雪嶽記
  53. 東遊日記
  54. 東遊小記
  55. 遊鳳頂記
  56. 東遊記
  57. 寒溪
  58. 雪嶽
  59. 雪嶽往還日記
  60. 後雪岳記
  61. 東行記
  62. 雪嶽記
  63. 遊雪嶽錄
  64. 記觀東山水
  65. 湖東西洛記
  66. 김순배, 2014, "설악산권 자연지명의 의미와 지명 영역의 변화-'설악'과 '한계'를 중심으로," 지명학, 21, 37-78.
  67. 이기용, 2012, "조선시대 襄陽府 所冬羅嶺의 고찰," 襄陽文化, 46-65.
  68. 최병헌, 2012, 寒溪嶺과 五色嶺 지명에 관한 고찰, 인제문화원.
  69. 인제군.강원대학교 강원문화연구소, 2012, 설악산 천연보호구역 역사자원조사 학술용역보고서.
  70. 인제군.한국문화역사지리학회, 2014.01, 설악산(백두대간 권역) 자연지명 조사연구 학술용역보고서.
  71. 서울대학교 규장각 한국학연구원, http://e-kyujanggak.snu.ac.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