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소기반 정책과 도시빈곤: 일자리 미스매치와 지역노동시장의 장소성 분석

Place-based Policy and Urban Poverty: An Analysis of Employment Mismatch and Placeness of Regional Labor Market

  • Lee, Wonho (Department of Geography, Sungshin Women's University)
  • 투고 : 2016.02.26
  • 발행 : 2016.02.29

초록

본 논문은 도시빈곤 이면에 중요하게 작용하는 노동시장과정으로서 일자리 및 공간적 미스매치의 실태를 고찰하고, 더 나아가 보다 효과적인 장소기반 노동시장적 개입이 고려해야 하는 지역노동시장의 지역성을 분석하였다. 광역대도시 지역노동시장의 성과로서 실업률의 변화는 노동력의 수요와 공급에 의한 불균형과 다양한 근로조건에 따른 미스매치의 역동적인 상호작용에 의해 결정되며, 그러한 결정과정도 지역노동시장에 따라 차별적임을 고찰하였다. 또한 우리나라의 대도시 고용 교외화 과정 속에서 공간적 미스매치가 인적자본 요구 수준과 취업기회의 산업선택적 특성을 통해 노동집단에 따라 차별적인 영향을 초래한다는 점도 분석되었다. 결과적으로 이 모든 과정은 개별 지역노동시장 내에서 고유한 과정을 통해 작동하는 바, 도시빈곤과 일자리 미스매치 등 노동시장 과정을 연계하고, 문제해결을 위한 노동시장적 개입을 추진함에 있어 노동시장의 장소성에 기반한 장소기반 정책이 필요하다.

This study investigates the employment and spatial mismatch as a significant acting factor of deepening urban poverty and analyses the placeness of regional labor market that the more efficient place-based labor market intervention needs to take into account. The change of unemployment rate as a regional labor market outcome in metropolitan cities is determined by the dynamic interaction between disequilibrium of labor supply and demand and employment mismatch according to various labor market conditions and its process is certainly differentiated across the metropolitan regional labor markets. In addition, it is analyzed that during the employment suburbanization the spatial mismatch puts differentiated impacts on different labor groups through human capital requirements and industry-selective job opportunities. As a result, because this whole process works with its unique process within individual regional labor markets, in order to link between urban poverty and employment mismatch and to promote problem-solving labor market intervention, we need to develop place-based policy based on the placeness of regional labor marekt.

키워드

참고문헌

  1. 김복순.정현상, 2015, 2015 KLI 비정규직 노동통계, 한국노동연구원.
  2. 새로운 사회를 여는 연구원, 2014, 분노의 숫자: 국가가 숨기는 불평등에 관한 보고서, 동녘.
  3. 이영아, 2015, "한국의 빈곤층 밀집지역 분포 및 형성과정 고찰," 한국도시지리학회지, 18(1), 45-56.
  4. 이영아.정윤희, 2012, "빈곤지역 유형별 빈곤층 생활에 관한 연구," 한국도시지리학회지, 15(1), 61-74.
  5. 이정섭, 2011, "일자리 수급 불균형과 불일치의 지역 간 차이에 관한 연구," 국토지리학회지, 45(3), 439-453.
  6. 이정섭.은석인, 2013, "전라북도 14개 시군의 일자리 창출과 직주 불일치에 관한 연구 -지역별고용조사 자료를 중심으로-," 대한지리학회지, 48(2), 239-258.
  7. 장하성, 2015, 왜 분노해야 하는가, 헤이북스.
  8. 정수열, 2015, "사회경제적 양극화와 도시 내 계층별 거주지 분리," 한국경제지리학회지, 18(1), 1-16.
  9. 정은희.이주미, 2015, 2015년 빈곤통계 연보, 한국보건사회연구원.
  10. 최창곤, 2013, "노동시장 미스매치의 현황과 일자리 정책," 경제연구, 31(4), 91-116.
  11. 최창곤.이선경, 2010, "노동시장 미스매치의 구조와 일자리," 경제연구, 28(3), 73-95.
  12. Betti, G., Gagliardi, F., Lemmi, A. and Verma, V., 2012, Subnational indicators of poverty and deprivation in Europe: methodology and application, Cambridge Journal of Regions, Economy and Society, 5, 129-147. https://doi.org/10.1093/cjres/rsr037
  13. Gobillon, L. and Selod, H., 2014, Spatial mismatch, poverty and vulnerable populations, in M.M. Fisher and P. Nijkamp (eds.), Handbook of Regional Science, Springer, 93-107.
  14. Gough, J., Eisenschitz, A. and Mcculloch, A., 2006, Space of Social Exclusion, Routledge, London.
  15. Jordan, B., 2008, The place of 'place' in theories of poverty: mobility, social capital and well-being, Cambridge Journal of Regions, Economy and Society, 1, 115-129. https://doi.org/10.1093/cjres/rsm002
  16. Kain, J., 1968, Housing segregation, negro employment and metropolitan decentralization, Quarter Journal of Economics, 82, 175-197. https://doi.org/10.2307/1885893
  17. Labao, L.M., Hooks, G. and Tickamyer, 2008, Poverty and inequality across space: sociological ref lections on the missing-middle subnational scale, Cambridge Journal of Regions, Economy and Society, 1, 89-113. https://doi.org/10.1093/cjres/rsm003
  18. Lhlanfeldt, K.R., 2006, A primer on spatial mismatch within urban labor markets, in Arnott, R.J. and McMillen, D.P. (eds.), A Companion to Urban Economics, Blackwell, Oxford, 404-417.
  19. Pain, R., Barke, M., Fuller, D., Gough, J., MacFarlane, R. and Mowl, G., 2001, Introducing Social Geographies, Arnold, London.
  20. Partridge, M.D. and Rickman, D.S., 2008, Place-based policy and rural policy: insights form the urban spatial mismatch literature, Cambridge Journal of Regions, Economy and Society, 1, 131-156. https://doi.org/10.1093/cjres/rsm0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