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Growth and Development Impact Factors for Innovation Cluster: A Case of the Daedeok Innopolis

혁신클러스터의 성장에 영향을 미치는 구성요인 분석: 대덕연구개발특구를 중심으로

  • 정영철 (건국대학교 기술경영학과) ;
  • 이선제 (연구개발특구진흥재단, 건국대학교 기술경영학과)
  • Received : 2015.12.02
  • Accepted : 2016.02.29
  • Published : 2016.03.31

Abstract

Innovation clusters have developed a key policy indicator in the level of national competitiveness. Many countries have enhanced their regional competitiveness by fostering innovation clusters at the national, regional, and industrial level. In Korea, the cluster policy has been introduced and employed to a national policy as a means of facilitating a regional innovation for over two decades. This study analyze that the changes of the institutional, physical and social configurations of innovation clusters. In particular, we identified configuration factors which are the growth and development impact factors of individual subjects from the case study of the Daedeok Innopolis. Also, the factors are derived and identified priorities of the configuration factors by using Analytic Hierarchy Process (AHP) method in long term perspective. As a result, we provide the growth of individual innovation subjects, as well as the growth of the cluster caused by the cyclic causality among configuration factors. Also, we can suggest that innovation policy from priorities of configuration factors for innovation cluster which the priorities have lessons for policy implementation and new cluster policy agenda in Korea, in specific, the Daedeok Innopolis.

본 연구는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혁신클러스터인 대덕연구개발특구를 대상으로 혁신클러스터의 성장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제도적 물리적 사회적 구성요인으로 구분하여 고찰한 사례연구이다. 특히 이들 구성요인은 지난 15년간 대덕연구개발특구의 변화와 발전을 통해 성장에 영향을 미쳐왔으며, 향후에도 지속적 발전에 중요한 영향요인이 될 것이다. 이러한 측면에서 본 연구는 보완적으로 대덕특구의 혁신활동에 있어서의 혁신주체들의 위상 변화 및 환경, 제도 정책변화 등을 제도적 물리적 사회적 구성요인 측면에서 다각적으로 살펴보았다. 또한 도출된 대덕특구의 성장에 영향을 미치는 구성요인에 대해 AHP분석 방법을 통해 내부 혁신 주체들이 인식하는 중요도를 측정하였다. 본 연구는 대덕특구를 대상으로 장기적인 관점에서 혁신클러스터의 성장에 영향을 미치는 구성요소들을 제시하고 그 중요도를 도출함으로써 지역혁신 및 혁신클러스터 정책적 시사점을 제공한다.

Keywords

References

  1. 국가균형발전위원회 (2005), 선진국의 혁신 클러스터, 서울: 동도원.
  2. 권오혁.이성균 (2009), "영국 웨일스 개발청의 기업유치 전략과 성과", 한국경제지리학회지, 제12권 제1호, pp. 67-82
  3. 문창용 (2013), "대덕연구개발특구 혁신클러스터 정책의 발전방안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4. 복득규 (2003), "해외 성공 클러스터의 네트워크 구조: 실리콘 밸리와 토요타시티의 사례분석을 중심으로", 지역사회연구, 제11권 제1호, pp. 63-83.
  5. 손호중 (2010), "혁신클러스터 구축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구미국가산업단지를 중심으로", 정부와 정책 , 제3권 제1호, pp. 1-30.
  6. 연구개발특구진흥재단 (2014), 연구개발특구 통계조사 보고서, 대전: 연구개발특구진흥재단.
  7. 이갑두 (2006), "일본형 혁신클러스터 성공요인에 관한 탐색적 연구", 한국산업경영학회, 제21권 제2호, pp. 285-311.
  8. 이관률.이성근.박상철 (2006), "지역전략산업의 육성과 지역혁신체제의 구축", 한국행정논집, 제18권 제1호, pp. 205-233.
  9. 이경환 (2007), 국가혁신전략: 권력순환적 접근을 중심으로, 도서출판 두남.
  10. 이선제.정선양 (2014), "혁신클러스터 내에서의 혁신주체들 간 상호작용의 변화: 대덕연구개발특구를 중심으로", 기술혁신학회지, 제17권 제4호, pp. 820-844.
  11. 이승우 (2013), "경남 창조경제 발전을 위한 과학기술기반 확충", 경남발전, 제128호, pp. 13-23.
  12. 이원영 (2008), 기술혁신의 경제학, 생능출판사.
  13. 이원일.임덕순.이연희.정의정 (2011), "기술혁신 클러스터 구축의 전략방향 설정에 관한 연구", 기술혁신학회지, 제14권 제2호, pp. 301-319.
  14. 이원일 (2012), "혁신클러스터의 단계적 발전을 위한 전략설정에 관한 연구: 광교와 판교 첨단단지의 현황진단과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제13권 제5호, pp. 67-84.
  15. 임덕순.김왕동.유정화(2004), "대덕연구단지의 발전과정 및 국제비교: 혁신클러스터관점에서", 기술혁신학회지, 제7권 제2호, pp. 373-395.
  16. 임덕순(2008), "혁신클러스터 발전과정 및 성공요인: 대덕특구 사례를 중심으로", 혁신클러스터연구, 제1권 제1호, pp. 15-38.
  17. 임종빈.조형례.정선양(2012), "혁신 클러스터 구축을 위한 정책방향 설정에 관한 연구", 기술혁신학회지 , 제15권 제3호, pp. 675-699.
  18. 임종빈 (2013), "혁신 클러스터가 기업의 경영활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경기도 혁신 클러스터를 중심으로", 건국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 장재홍 (2004), "혁신시스템과 클러스터: 그 개념과 상호관계", e-Kiet 산업경제정보, 제189권.
  20. 정기덕 (2014), "우리나라 혁신클러스터의 평가지표 개발에 관한 연구", 건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1. 정선양 (2011), 전략적 기술경영, 서울: 박영사.
  22. 정선양 (2012), 기술과 경영, 서울: 경문사.
  23. 정영철.정선양 (2015), "혁신클러스터의 성공요인에 관한 연구", 2015년 춘계학술대회 발표집, pp. 574-589.
  24. 정진섭.김은영 (2012), "국가혁신체제의 요소들이 혁신클러스터의 성과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자본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국제.지역연구, 제21권 제2호, pp. 31-67.
  25. 조근태.조용우.강현수 (2003), 앞서가는 리더들의 계층분석적 의사결정, 서울: 동현출판사.
  26. 최선구 (1996), "AHP의 가중치 계산법간의 비교연구", 숭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7. 최종인 (2008), "혁신클러스터 성공 요인: 대덕특구를 중심으로", 혁신클러스터학회지, 제1권 제1호, pp. 67-90
  28. 한세억 (2007), "혁신클러스터의 정책성취와 과제: 대덕연구개발 특구를 중심으로", 한국행정학회 하계학술발표논문집, pp. 1-17.
  29. 홍성범 (2000), "중국의 발전 전략과 혁신클러스터의 형성", 과학기술정책 , pp. 88-94.
  30. 황윤정.권성택.연승준.김상욱 (2007), "효과적인 클러스터 구축을 위한 전략격자모형 설계 및 사례연구", 한국지역정보화학회지, 제10권 제3호, pp. 1-17.
  31. Cooke, P., Uranga, M. G. and Etxebarria, G. (1997), "Regional Innovation System: International and Organizational Dimension", Research Policy, Vol. 26, No. (4-5), pp. 23-45.
  32. Cooke, P. (2008), "Regional Innovation Systems, Clean Technology & Jacobian Cluster-Platform Policies", Regional Science Policy & Practice, Vol. 1, No. 1, pp. 23-45. https://doi.org/10.1111/j.1757-7802.2008.00002.x
  33. Cowan, R. and Zinvyeva, N. (2013), "University Effects on Regional Innovation", Research Policy, Vol. 42, pp. 788-800. https://doi.org/10.1016/j.respol.2012.10.001
  34. Delgado, M., Porter, M. E. and Stern, S. (2014), "Clusters, Convergence, and Economic Performance", Research Policy, Vol. 43, pp. 1785-1799. https://doi.org/10.1016/j.respol.2014.05.007
  35. Eisingerich, A. B., Bell, S. J., and Tracey, P. (2010), "How Can Clusters Sustain Performance? The Role of Network Strength, Network Openness, and Environmental Uncertainty", Research Policy, Vol. 39, pp. 239-253. https://doi.org/10.1016/j.respol.2009.12.007
  36. Elisa, G. (2013), "Network Dynamics in Regional Clusters: Evidence from Chile", Research Policy, Vol. 42, pp. 1406-1419. https://doi.org/10.1016/j.respol.2013.04.002
  37. Gagner, M., Townsend, S. H., Bourgeois, I., and Hart, R. E. (2010), "Technology Cluster Evaluation and Growth Factors: Literature Review", Research Evaluation, Vol. 19, No. 2, pp. 82-90. https://doi.org/10.3152/095820210X510124
  38. Kaufmamn, A. and Tondtling, F. (2002), "How Effective is Innovation Support for SMEs? An Analysis of the Region of Upper Austria", Technovation, Vol. 22, No. 3, pp. 147-159. https://doi.org/10.1016/S0166-4972(00)00081-X
  39. Kenworthy, L. (1995), In Search of National Economic Success: Balancing Competition and Cooperation, Sage Publication.
  40. Laranja, M., Uyarra, E. and Flanagan, K. (2008), "Policies for Science, Technology and Innovation: Translating Rationales into Regional Policies in a Multi-Level Setting", Research Policy, Vol. 37, No. 5, pp. 823-835. https://doi.org/10.1016/j.respol.2008.03.006
  41. Leo, S. and Priscilla, B. (2014), "Creativity and Regional Innovation: Evidence from EU Regions", Research Policy, Vol. 43, pp. 15080-1522.
  42. Neals, W. C. (1987), "Institutions", Journal of Economic Issues, Vol. 21, pp. 1177-1206 https://doi.org/10.1080/00213624.1987.11504700
  43. OECD (1999), Boosting Innovation: The Cluster Approach, OECD, Paris.
  44. OECD (2001), Innovative Clusters: Drivers of National Innovation Systems, OECD.
  45. Porter, M. E. (1990), "The Competitive Advantage of Nation", Harvard Business Review, Vol. 68, No. 2, pp. 73-93
  46. Porter, M. E. (2000), "Location, Competition, and Economic Development: Local Clusters in a Global Economy", Economic Development Quarterly, Vol. 14, No. 1, pp. 15-34. https://doi.org/10.1177/089124240001400105
  47. Satty, T. L. (1995), "Decision Making for Leaders", AHP series, Vol. 2.
  48. Vebelen, T. B. (1919), The Place of Science in Modern Civilization and Other Essay, Huebsch.
  49. Zabala-Iturriagagoitia, J. M., Voigt, P., Gutierrez-Gracia, A., and Jimenez-Saez, F. (2007), "Regional Innovation Systems: How to Assess Performance", Regional Studies, Vol. 41, No. 5, pp. 661-672. https://doi.org/10.1080/0034340060112027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