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Exploration on Difficulty of Human Rights Process Conducted in Caretaker Workers of the Disabled Residential Facilities -Focused on the Caretaker Workers of the Disabled Residential Facilities in Busan-

장애인시설종사자의 인권수행과정의 어려움에 대한 탐색적 연구 -부산지역 장애인거주시설 종사자를 중심으로-

  • 김선주 (동명대학교 평생교육원 사회복지학과)
  • Received : 2015.09.21
  • Accepted : 2015.10.30
  • Published : 2016.03.28

Abstract

This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and conceptualize difficulty of abstract experiencing human rights process conducted in caretaker workers of the disabled residential facilities by utilizing multidimensional scaling. Focused on the caretaker workers of the disabled residential facilities in Busan, gathering a declarative sentence from caretaker workers, have classified index card.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analysis, be reached name of six cluster. In facilities, caretaker workers was recognized Communication of the conflict between those People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intention of service provider is not taken into account, those people emphasis to show up for caretaker workers, conflict based subjective human rights awareness of those People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External facilities, interest in human rights is increasing becoming of pollution have difficulty to work hard time gaps between practice of human rights management and on-the-job experience, the rigidity of human rights investigation and inspection, lack of consideration for the caretaker workers. Based on this result, this study suggested a number of practical implications which can be used to reduce difficulty of human rights process conducted in the caretaker workers of the disabled residential facilities.

본 연구는 장애인거주시설 종사자가 인권수행과정에서 겪게 되는 추상적인 어려움을 다차원척도법을 활용하여 명확화하고 개념화해보고자 하는 것이다. 부산지역 장애인거주시설 종사자를 대상으로 서술문 리스트를 수집하고, 인덱스카드(index card)를 분류토록 하였다. 분석결과 6개의 군집명이 도출되었고, 종사자들은 시설 내에서는 거주인과의 의사소통 갈등, 서비스 제공자의 의도가 고려되지 않고 종사자의 겉으로 드러나는 단순 행위나 거주인의 주관적인 인권상황인식에 근거한 거주인과 종사자와의 갈등이 종사자의 인권 수행의 어려움으로 인식되고 있었다. 시설 외부적으로는 인권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면서 장애인거주시설에 요구하는 인권관리 실무와 현장실무 간의 괴리로 인한 어려움, 외부 인권조사나 점검에 대한 경직성이나 종사자를 배려하지 않는 측면에서의 인권조사와 점검진행이 어려움으로 작용하고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장애인거주시설 종사자의 인권수행 어려움을 완화하기 위한 몇 가지 실천적 함의를 제시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신현석, "장애인생활시설의 인권유형에 따른 사례연구," 한국콘텐츠학회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pp.401-402, 2012.
  2. 임성택, "장애인생활시설에서의 인권침해, 그 현황과 대책," 저스티스, 제128권, pp.7-59, 2012.
  3. 박경수, 장혜경, "장애인 거주시설 실천가의 인권딜레마 사례연구," 한국장애인복지학회, 제22권, pp.249-272, 2013.
  4. 백종만, "사회복지시설 수용시설 수용자의 인권실태," 국회인권포럼, pp.7-21, 1998.
  5. 국가인권위원회, 장애인 생활시설 생활인 인권상황실태조사: 양성화된 조건부신고복지시설을 중심으로, 2005년도 인권상황 실태조사 연구용역 보고서, 2005.
  6. 국가인권위원회, 장애인 인권증진 중장기 계획 (2013-2017), 도서출판 한학문화, 2012.
  7. 이원출, 한국의 노인학대 실태 및 해결방안에 관한연구, 서울시립대학교 도시과학대학원, 사회복지학과 석사학위논문, 2006.
  8. 정선영, "정신의료기관 종사자들의 인권민감성에 관한 연구,"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제23권, pp.59-87, 2006.
  9. 고명식, 사회복지생활시설 종사자의 인권의식에 관한 연구, 서울기독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8.
  10. 정선영, 손덕순, 백형의, "부랑인시설 종사자들의 정신장애인에 대한 태도연구,"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제28권, pp.67-95, 2008.
  11. 유동철, "장애인 생활시설의 주거권 확보에 대한 장애인차별금지법의 함의," 상황과 복지, 제31권, pp.53-65, 2011.
  12. 임성택, 장애인생활시설에서의 인권침해, 그 현황과 대책, 저스티스, 제128권, pp.7-59, 2012.
  13. 김진우, "지적장애인 투표권 부여 및 행사 관련 쟁점 연구," 경성대학교 사회과학연구, 제31권, 제1호, pp.345-367, 2015.
  14. 이철호, "장애인차별금지법과 장애인의 인권," 한국콘텐츠학회, 제8권, 제8호, pp.158-175, 2008. https://doi.org/10.5392/JKCA.2008.8.8.158
  15. 김지경, "차별경험, 정의로운 세상에 대한 믿음과 개인자부심, 집단자부심간의 관계에 대한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제4권, pp.1-12, 2002.
  16. 박승탁, "시설종사자의 직무만족이 장애인생활 시설 사회화에 미치는 영향," 신학과 목회, 제29권, pp.383-409, 2008.
  17. 김현진, "사회복지사의 인권에 대한 의식차이 분석," 한국지역사회복지학, 제34권, pp.110-130, 2010.
  18. 김경희, 김미옥, "지적장애인 인권침해사건 해결 과정에서의 딜레마에 관한 질적 사례연구," 한국장애인복지학, 제19권, pp.235-252, 2012.
  19. 이관식, 사회복지서비스 제공자의 인권의식에 관한 연구, 남부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4.
  20. 양옥경, "사회복지학 연구의 책임성과 윤리," 한국 사회복지질적연구, 제1권, 제1호, pp.7-33, 2007.
  21. 신효진, 손신, "장애인, 진정한 자립을 위한 패러다임의 전환 -강점바라보기와 역량강화," 장신논단, 제41권, pp.417-438, 2011.
  22. 이선우, 장애인복지의 이론과 실제, 집문당, 2009.
  23. 이규태, "현대사회와 장애자복지 : 장애자 복지에 대한 한국인의 의식구조," 국회보, 제181권, pp.176-182, 1981.
  24. 변경희, 장애인거주시설종사자의 인권보호 및 서비스 질 향상에 관한 연구, 한신대학교 산학협력단, 2014.
  25. 황소진, 정신지체인 성교육 프로그램의 효과성에 관한 연구, 경성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0.
  26. M. Kane and W. M. K. Trochim, Concept mapping for program planning and evaluation, Thousand Oks, CA: Sage publication, 2007.
  27. 허명희, SPSS Statistics 척도화 분석, spss솔류션, 2009.
  28. 김민영, 김진우, "지적장애인의 의사소통에 대한 부모와 시설종사자의 경험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복지질적연구, 제5권, 제2호, pp.5-34, 2011.
  29. https://real.child.pen.go.kr/sub.php?MenuID=29
  30. 보건복지부, 2015년 장애인복지시설 사업안내, 제3권, 20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