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Effect of Sex Education by School Doctor of Korean Medicine on Some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Seoul

한의사 교의(校醫)가 진행한 서울소재 일개 초등학교 학생 대상 성교육 프로그램의 효과

  • Lee, Seung-Hwan (Dept. of Ob & Gy, College of Korean Medicine, Dong-Guk University) ;
  • Kim, Kyeong-Han (Dept. of Preventive Medicine, College of Korean Medicine, Kyung-Hee University) ;
  • Kim, Dong-Il (Dept. of Ob & Gy, College of Korean Medicine, Dong-Guk University)
  • 이승환 (동국대학교 한의과대학 부인과학교실) ;
  • 김경한 (경희대학교 한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
  • 김동일 (동국대학교 한의과대학 부인과학교실)
  • Received : 2016.01.13
  • Accepted : 2016.02.06
  • Published : 2016.02.27

Abstract

Objectives: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effect of sex education by school doctor of Korean medicine on elementary school students from fourth to sixth-grade. Methods: Eighty three students who received four sex eduction lectures by school doctor of Korean medicine were assigned as experimental group while 132 students who did not receive any sex education were assigned as control group. This study observed the changes in students’ sexual knowledge and sexual attitude before, after and three months after the sex education program. Results: Experimental group showed positive changes on sexual knowledge (male p=0.000, female p=0.046) and sexual attitude (male⋅female p=0.000). Three months after the conclusion of sex education program, the follow-up evaluation showed decline in effect of education, which suggests a need for continuous sex education. As students showed high level of satisfaction, we expect school doctor of Korean medicine can improve knowledge on health and further increase familiarity in Korean medicine by this kind of sex education Conclusions: Sex education by school doctor of Korean medicine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from fourth to sixth grade has effectively changed sexual knowledge and attitude. Further, it is necessary to research the effect of sex education on elementary students over long-term period.

Keywords

I. 서 론

학교의사 혹은 교의 제도는 1976년부터 도입되어 학생건강진단과 질병 예방에 필요한 지도 및 조언자로 학교별로 위촉하여 활용할 수 있다. 교의는 학생의 흡연, 약물남용, 교직원 건강상담, 안전사고 관련 응급의료 지원 등 다양한 역할을 담당하도록 되어 있지만 실제로는 단체 신체검사 등 일부의 역할을 담당하고 있는 실정이다1).

학교 보건법 제15조 제1항 및 동법 시행령 제23조 제3항에 따라 한의사 역시 교의에 위촉될 수 있지만 그 동안 한의사가 학교보건에 적극적인 역할을 담당하지 못하였다. 이에 서울시 한의사협회는 2013년 8월 서울시교육청과 업무협약을 통하여2) 총 120명의 한의사를 120개소의 학교의 교의로 위촉하여 학교보건에 기여할 수 있도록 하였다.

성교육을 포함한 한의학적 보건교육은 한의사 교의가 진행할 수 있는 역할 분야로 고려할 수 있다. 한의사는 의료인으로서 2차 성징과 관련한 인체 기관과 생리적 변화 등 의학적 지식을 정확히 전달할 수 있고, 인체의 변화 및 심리적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한의학적 방법을 소개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현재 우리나라 청소년 성문제의 저연령화 추세에 따라3), 왜곡된 정보의 영향을 덜 받는 초등학교 5~6학년 때부터 구체적이며 체계적인 교육이 필요하다4). 실제로 광주광역시에 소재한 4곳의 초등학교 6학년 대상으로 한 연구5)에서 인터넷 음란물 접촉 경험이 있는 175명을 대상으로 음란물 노출 실태를 살펴본 결과, 음란물 접촉 시기는 초등학교 3학년 이전에는 8.6% 인 반면, 4학년은 18.3%, 5학년은 38.9%, 6학년은 33.1% 로 나타났다. 이러한 조사 결과는 초등학교 고학년의 성교육 필요성을 뒷받침할 수 있다.

이에 저자는 한의사 교의 성교육 프로그램의 교육적 효과를 알아보고자 서울 소재 일개 초등학교 4~6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프로그램을 구성 실시하여 프로그램 전후의 성지식 및 성태도를 평가하였고, 교육을 받지 않은 인근 초등학교 학생들의 성지식 및 성태도와 비교분석하여 유의한 결과를 얻었다.

 

II. 방 법

1. 연구의 가설

한의사의 성교육 프로그램을 이수한 초등학교 4~6학년 학생은 그렇지 않은 학생에 비해 성지식 및 성태도에 긍정적인 변화가 있을 것이다.

2. 연구 방법

1) 연구대상 및 자료 수집방법

서울 소재의 U초등학교 4학년(만 9세), 5학년(만 10세), 6학년(만 11세) 총 83명을 시험군으로 구성하였고, 서울 소재의 B초등학교 4학년 17명, 서울 소재의 K초등학교 5학년 27명, 서울 소재의 M초등학교 6학년 41명, 서울 소재의 D초등학교 5학년과 6학년 47명을 대조군으로 구성하였다.

시험군에게 2015년 4월 28일부터 2015년 7월 21일까지 4개월간 월 1회 1시간씩 총 4회의 성교육 프로그램을 진행하였다. 시험군과 대조군에게 성교육 프로그램 진행 전인 2015년 4월 사전조사를 실시하였고, 2015년 7월 21일 성교육프로그램을 모두 이수한 직후에 동일한 설문지로 시험군에게 사후조사를 실시하였고 대조군에게는 2015년 10월 사후조사를 실시하였다. 교육 효과 지속성을 관찰하기 위해 성교육 프로그램 종료 후 약 3개월이 경과한 2015년 10월 20일 시험군에게 추적조사를 실시하였고, 이와 함께 각 차시마다 진행된 실습에 대한 만족도 조사를 실시하였다.

2) 연구 도구

(1) 설문지(별첨 1)

성6)의 초등학교 여학생 초경 경험시의 정서와 월경시의 태도, 대처방법에 관한 설문지를 참고하여 여학생용 연구 도구를 만들었다. 초경의 경험에 대해 시기와 사전지식 여부, 초경에 관한 교육 주체, 어머니의 반응, 초경 시 대처 방법, 초경 시 의논 대상에 관한 질문과 월경, 월경 주기, 배란일, 배란횟수, 임신과 월경의 관계에 대한 질문으로 구성했으며 생리통의 대처의 올바른 방법에 대한 문항을 포함하였다. 남학생 설문지의 경우 초등학생 대상으로 출판된 이7)의 서적을 참고하여 성교육의 유무, 성교육의 교육자, 인지 정도, 필요성, 적정 시기에 대한 질문과 호르몬, 몽정, 자위행위에 관한 질문, 요도의 기능, 포경수술에 관한 문항 및 성에 관한 태도 및 정서 관련 설문을 포함하였다. 그리고 남, 여학생 공통으로 성교육 프로그램의 각 차시에 세 가지의 구체적 학습 목표를 선정하고, 이에 대한 이해정도를 다섯 단계로 나누어 성태도의 변화를 관찰하고자 하였으며, 실습수업의 만족도도 다섯 단계로 나누어 조사하였다.

(2) 성교육 프로그램

한의사 교의로서 준비하여 진행한 성교육 프로그램은 첫생리에 관한 이해와 시청각 실습, 생리통에 대한 이해와 지압, 요가 실습, 남성의 2차성징과 사춘기 감정조절에 관한 내용과 명상, 성조숙증의 이해와 한약차 마시기 실습으로 구성되어있다(Table 1).

Table 1.Sex Education Program

<별첨 1>한의약 바른 성장교실 설문지(여성)

<별첨 1>한의약 바른 성장교실 설문지(여성)

<별첨 1>한의약 바른 성장교실 설문지(남성)

<별첨 1>한의약 바른 성장교실 설문지(남성)

<별첨 1>한의약 바른 성장교실 설문지(공통)

3) 자료 분석 방법

수집된 자료는 PASW Statistics 18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및 동질성 검증 중 학년, 성교육 경험 유무, 교육자, 초경 나이를 제외한 초경관련 문항과 성태도 비교는 χ2-test로 분석하였고, 연령, 키, 몸무게, 초경 시작 연령과 성지식 문항과 성태도 긍정도 점수는 t-test로 분석하였으며, 실습에 대한 만족도는 빈도분석을 이용하였다.

 

III. 결 과

1. 일반적 특성

시험군에 비해 대조군의 5학년, 6학년의 비율이 더 높아 평균연령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나, 키와 몸무게는 유의한 차이가 있지 않았다(Table 2).

Table 2.Characteristics of Participants

2. 가설 검정

남학생 성지식 관련 5문항을 각 20점으로 환산 분석하여 평균점수를 살펴본 결과, 사전조사에서 시험군(42.22±29.61)이 대조군(32.17±22.29)보다 점수가 높았지만 유의하게 높지 않아비교적 동등한 상태라고 볼 수 있고(p=0.055), 사후조사에서 시험군(80.91±14.91)이 대조군(36.18±22.99)보다 44.73점 높게 측정되었다(p=0.000). 따라서 교육 전 비교적 비슷한 두 군의 지식도가 교육 후 유의한 차이를 내었다고 볼 수 있다. 시험군의 추적조사 결과(68.18±23.35)는 사후조사보다 하락하였지만, 대조군의 사전⋅사후조사보다는 높은 점수를 유지하였다(Table 3, Fig. 1).

Table 3.Comparison of Sexual Knowledge before and after Sex Education Program in the Two Men’s Group

Fig. 1.Comparison of sexual knowledge. Before and after sex education program in the two men’s group

여학생 성지식 관련 문항 중 5개의 문항은 각 12점, OX 8문항은 5점으로 환산 분석하여 평균 점수를 살펴본 결과 사전조사에서 대조군(65.90±26.38)이 시험군(51.46±32.47)에 비해 14.44점 유의하게 높았지만(p=0.017), 사후조사에서 시험군의 점수가 7.88점 유의하게 높아졌다(p=0.046). 따라서 교육 전에는 대조군에 비하여 지식도가 낮았던 시험군이 교육 후 오히려 유의하게 높아졌다고 볼 수 있다. 시험군의 추적조사 결과(76.34±24.43)는 사후 조사보다 하락하였고, 대조군의 사후조사와 오차범위 안의 비슷한 점수를 보였다(Table 4, Fig. 2). 한편, 월경주기와 배란일에 대한 문항에서는 시험군 정답률의 변화가 크지 않아 교육효과가 미비하다고 볼 수 있으므로, 생소한 용어 및 개념 설명이 보완되어야 할 것이다.

Table 4.Comparison of Sexual Knowledge before and after Sex Education Program in the Two Women’s Group

Fig. 2.Comparison of sexual knowledge. Before and after sex education program in the two women’s group

남학생 성태도는 각 문항에 대해 긍정적으로 답변한 비율을 합산하여 비교하였다. 사전조사에서 시험군과 대조군은 2~7%정도의 차이를 보였으나 유의미한 차이가 아니어서 거의 동일한 상태로 볼 수 있고(p<0.3), 성문제에 있어 부모님과 상담하는 것에 대한 인식과 월경에 대한 인식은 유의한 변화를 확인할 수 있었다(p=0.033, p=0.026). 하지만 성에 대한 부끄러움, 몸의 변화에 대한 반응, 이성에 대한 관심의 죄책감, 임신에 대한 인식 등의 문항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p>0.05). 임신에 대한 인식 문항은 교육과 무관하게 잘 알고 있는 내용이었고, 이 외의 문항은 교육 효과가 부족한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남학생과 여학생의 각 교육차시 학습 목표에 따른 성태도의 변화는 각 문항에서 매우 긍정 혹은 긍정으로 표기한 경우를 1점으로 설정하고, 12개 문항을 총 12점으로 분석했다. 그 결과 교육 전 대조군(3.22±3.52)보다 0.75점 낮은 점수를 보였던 시험군(2.47±2.94)은 교육 후 대조군이 점수 하락(2.54±2.88)을 보인 것과 반대로, 유의미한 점수의 변화가 있었고(9.19±3.30), 두 군은 6.65점의 차이를 보였다(p=0.000). 그리고 추적조사에서 시험군의 점수(4.95±4.36)는 하락했지만, 대조군의 사전⋅사후조사보다는 높은 상태를 유지하였다. 따라서 성태도 관련하여 교육 전 낮은 점수를 보였던 시험군이 교육 후 대조군보다 높은 점수를 내었고, 유의한 차이로 볼 수 있다(Table 5, Fig. 3).

Table 5.Comparison of Sexual Attitude before and after Sex Education Program in the Two Men’s Group

Fig. 3.Comparison of sexual attitude. Before and after sex education program in the two men’s group

여학생의 경우 교육 전 시험군(1.35±2.00)은 대조군(3.10±3.12)보다 상대적으로 낮은 점수를 보였다. 하지만 교육 후 대조군은 점수 하락(2.77±3.04)을 보였고, 시험군은 유의미한 점수의 변화가 있었다(7.83±3.91, p=0.000). 추적조사에서 시험군의 점수(3.85±4.39)는 하락했지만, 대조군의 사전⋅사후조사보다는 높은 상태를 유지하였다. 따라서 성태도 관련하여 교육 전 낮은 점수를 보였던 시험군이 교육 후 대조군보다 높은 점수를 내었고, 유의한 차이로 볼 수 있다(Table 6, Fig. 4). 한편, 사춘기 감정변화 및 감정조절 변화 문항에서 수치의 변화가 있었으나 유 의한 차이(p=0.085, p=0.082)를 보이지 않았는데, 이는 교육과 상관없이 잘 알고 있는 문항으로 볼 수 있다.

Table 6.Comparison of Sexual Attitude before and after Sex Education Program in the Two Women’s Group

Fig. 4.Comparison of sexual attitude. Before and after sex education program in the two women’s group

3. 실습에 대한 만족도 조사

추적 조사와 함께 각 차시마다 진행한 실습에 대한 만족도 조사를 하여 “매우 도움이 되었다”, “도움이 되었다”고 답한 비율을 살펴본 결과 다큐멘터리 시청은 58.2%, 생리통 줄이는 지압은 62.0%, 생리통 줄이는 요가는 53.1%, 사춘기 감정조절을 위한 명상은 72.1%, 성조숙증 예방차 마시기는 63.3%로 나타났다(Fig. 5).

Fig. 5.Satisfaction level on learning experience

 

IV. 고 찰

김 등8)의 연구에 따르면 1990년 이후 수행된 한의약공공보건사업에 관련된 연구는 총 56편으로, 1년에 평균 2.2건의 연구가 진행되어 연구의 양에서 절대적으로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한의사교의 시행에 있어 안 등9)이 개발한 “한방건강증진 프로그램에 관한 매뉴얼”과 같은 표준화된 매뉴얼이 필수적이며, 고 등10)이 연구한 기공체조 교실의 효용성에 관한 사례와 박 등11)이 연구한 한방육아교실의 운영과 효과에 관한 사례와 같이 개별 프로그램에 관한 구체적인 내용과 효과 등이 체계적으로 연구되어야 한다.

한의사 교의 교육프로그램에 있어 꼭 필요한 주제 중 하나로 “2차 성징에 대한 이해(성교육)”를 꼽을 수 있다. 학교 성교육의 필요성에 대한 요구는 매우 높은 반면, 만족도가 매우 낮은 것으로 보고 되었고12) 성교육 전담교사의 부재와 성교육을 위한 자료 부족, 성에 대한 전문지식 부족을 문제점으로 지적하며, 전문인력이 필요하다는 제언이 있었다13). 이러한 성교육의 전문 인력으로 한의사 교의가 적합한 역할을 할 수 있다.

첫 번째 시간의 주제는 “첫생리, 궁금증 해결”로, 여성의 생식기에 대한 공부와 2차 성징에 따른 몸의 변화, 임신과 생리의 과정에 대해 교육하였다. 여성의 사춘기에서의 변화와 전형적인 단계는 성장급증, 유방의 발육(thelarche), 음모의성장(pubarche) 그리고 월경의 시작(menarche)이다14). 여학생들은 처음 겪는 월경에 대한 이해를 통해 불필요한 두려움을 없애고, 남학생들은 옆에서 배려할 수 있도록 교육하였다. 초등학교에서 다큐멘터리를 활용한 수업이 효과적이었으며15), 학교에서의 성교육 방법에서 시청각 교육을 받고 싶다는 의견이 46.7%를 차지한 결과를 바탕으로16) BBC에서 제작하고 2000년 7월 28일부터 KBS에서 8부작으로 방영한 “인체대탐험'(The Human Body)”의 4편 “사춘기의 비밀” 일부를 편집하여 학생들과 같이 시청하였다.

두 번째 시간의 주제는 “생리통 줄이는 방법”으로 생리주기와 증상, 생리통을 줄이는 방법에 관해 교육하였다. 월경통(생리통)은 월경을 하는 여성들의 50%가 경험하는 흔한 부인과적 장애이다. 원발성 월경곤란증은 골반에 기질적인 병변 없이 유발되는 반면, 속발성 월경곤란증은 골반내 근원적 병적 상태가 존재한다. 원발성 월경곤란증은 배란주기가 이루어지는 초경 1~2년 이내에 주로 발생하며14) 이에 해당하는 학생들이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해 교육하였다. 여대생 50명에게 三陰交, 陰陵泉, 腎腧穴에 白芥子 피내침 시술을 한 결과 월경곤란증이 효과적으로 감소되었다는 연구17)를 참고하여 초등학생들에게 삼음교 혈위와 그 효능을 알려주고 지압하도록 하였다. 그리고 요가운동이 월경통을 완화하는데 도움을 주는 치료 동작으로 추천될 수 있다는 연구18)를 바탕으로 전문요가강사를 초빙하여 생리통을 줄이는데 도움이 되는 요가 동작들을 함께 배우도록 하였다.

세 번째 시간에는 “남자의 변화와 사춘기 감정 조절”을 주제로 남자의 2차 성징에 대한 이해, 여성호르몬, 남성호르몬에 대한 이해 및 사춘기 감정 변화와 감정 조절에 대해서 교육하였다. 남자의 경우 사춘기에 성장이 급증하고, 생식기가 커지고, 음모와 액모가 나타나고 목소리가 낮아진다19). 그리고 청소년기는 급격한 신체적 변화와 다양한 환경의 영향으로 심리적 사회적 변화가 두드러지는 시기로, 심리적 부담감은 최근 심각해진 학교 폭력, 집단 따돌림 등의 공격적인 행동들로 나타날 수 있다. 자연의 소리 명상음악이 남자 중학생의 공격성 감소에 도움이 된다 하여20), 이를 근거로 명상의 시간을 가졌다.

네 번째 시간에는 “성조숙증이 뭔가요?, 예방법은?”이라는 주제로 성조숙증에 대한 이해 및 원인, 예방법에 관하여 배우는 시간을 가졌다. 성조숙증은 2차성징의 출현이 여아에서 8세, 남아에서 9세 이전에 나타나는 경우로 남아보다 여아에서 훨씬 흔하다21). 학습 대상의 연령이 성조숙증 진단의 시기보다 늦지만 치료시기에 해당하고, 2차 성징 교육과 밀접한 연관이 있어 프로그램에 추가하였다. 이 등22) 은 최근 중의 잡지를 중심으로 성조숙증에 관한 연구의 최근 동향을 살펴보았고, 그 중 성조숙증 예방에 평소 조리할 수 있는 식품으로 菊花, 枸杞子 등의 차를 추천하였다23). 그래서 구기자차를 연하게 달여 마셔보는 실습 시간을 가졌다.

이번 연구에서 한의사 교의의 성교육 프로그램을 이수하기 전 조사에서 성지식과 성태도 면에서 시험군이 대조군에 비해 비슷하거나 다소 낮은 점수를 나타내었다. 이는 시험군의 평균연령이 대조군보다 낮고, 성교육 경험이 적었기 때문으로 추정할 수 있다. 성지식 관련하여 평균 점수를 비교해보면, 사후조사에서 남학생의 경우 시험군이 대조군에 비해 44.73점 높게 측정되었고(p=0.000), 여학생의 경우 시험군이 대조군에 비해 7.68점 높게 측정되어(p=0.046) 성교육 프로그램이 성지식의 향상에 도움이 되었다고 볼 수 있다. 성태도 관련 각 학습 목표에 긍정적으로 대답한 비율을 점수화 하여 비교해 본 결과에서도 남녀 모두 뚜렷한 변화가 있었는데, 사후조사에서 시험군 대조군의 차이가 남학생의 경우 6.65점(p=0.000), 여학생의 경우 5.66점(p=0.000)로 성태도에 대한 성교육의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성교육 프로그램 종료 후 3개월이 지난 뒤의 추적조사에서 성지식 정답률과 긍정적인 성태도의 점수가 감소하였지만, 대조군의 사전⋅사후조사에 비해 대부분 우위에 있었다. 성교육의 꾸준한 효과를 위해서는 체계적인 계획 하에 지속적인 교육이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교육 전후 변화가 유의 있게 변하지 않은 항목에 대한 정확한 원인 분석이 필요하다. 교육 효과가 미비하여 변화가 없었던 경우는 어려운 개념과 용어를 보다 쉽게 전달 할 수 있도록 교육 내용을 수정할 필요가 있으며, 교육과 상관없이 잘 알고 있는 내용의 경우는 교육 내용에서 줄이고 설문지 세부 항목을 수정, 보완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프로그램 진행 중 부끄러움을 이유로 남녀 학생의 별도 수업을 구두건의와 설문조사 건의사항으로 요구한 경우가 있었다. 김16)의 성교육 현황분석에서 성교육의 개선방향으로 남녀가 함께 교육을 받아 부끄러웠다는 응답이 가장 높게 나타나, 남학생과 여학생을 따로 분리하여 성교육을 실시할 필요가 있으며, 학년이 높아질수록 사춘기 몸의 변화에 대한 관심은 줄어든 반면 이성교제와 성폭력 등에 관심이 높아져 수준을 고려한 교육 프로그램이 필요하다고 한 것을 앞으로의 성교육 프로그램에 참고 할 필요가 있다.

또한 각 주제에 대한 실습의 만족도가 높게 나타난 것으로 볼 때, 이러한 교육 프로그램은 한의사 교의의 장점을 살릴 수 있으며, 이를 통해 학생들에게 한의학에 대한 친밀도를 높여주는 역할을 기대할 수 있다.

 

V. 결 론

한의사 교의에게 월 1회 1시간씩 4개월간 성교육 받은 초등학교 4~6학년 시험군이 교육을 받지 않은 대조군에 비해 성지식과 성태도에서 긍정적인 변화를 보여, 교육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성교육 프로그램 종료 3개월 후 추적조사 결과, 교육효과가 떨어졌고 지속적인 교육이 필요하다고 볼 수 있다. 또한 실습에 대한 만족도가 높아, 앞으로 다양한 실습으로 보건교육 프로그램을 구성한다면 한의사 교의로서의 장점을 더욱 살릴 수 있을 것이다.

선례 연구를 참고하여 볼 때, 민감한 주제의 경우 남녀 별도로 진행하는 것이 더욱 효율적인 성교육 프로그램이 될 것이며, 연령과 교육 수준의 차이를 고려해서 학년별 성교육 프로그램을 세분화하고 다년간 교육을 통한 효과를 관찰할 필요가 있다.

References

  1. Hong CH. School Health and Physician’s Role. J Korean Med Assoc. 2003 Feb;46(2):88-92. https://doi.org/10.5124/jkma.2003.46.2.88
  2. Kang HW. Meet and Dream of the 21 Century Heo Jun. Akomnews 2005 DEC 20[cited 2013 OCT 19];1(1932):6. Available from:http://www.akomnews.com/?p=313800.
  3. Kim SJ, et al. The Effect of Sexual Education on Sex Knowledge & Attitude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Journal of Korean Public Health Nursing. 2012;26(3):389-403. https://doi.org/10.5932/JKPHN.2012.26.3.389
  4. Lee KS, Lee CS. The Effects of a Sex Education Program on Sex-related Knowledge and Attitude of 5th-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J. of Korean Soc. 2004;17(1):25-39.
  5. Oh ES. A Study on According to Exposure to Internet Pornography Elementary Sex Knowledge, Sex Attitude. Dongshin University. 2014:1-87.
  6. Sung MR. A Study on the Correlation among Emotion, Attitude and Coping Method of Menarche Experience of some Elementary School Girls. Chosun University. 2007:1-36.
  7. Lee SJ. Manual to My Body for Children. Seoul:GgumGguneun saramdeul. 2012: 182-93.
  8. Kim KH, et al. The Analysis of the Recent Research of Korean Medicine Public Health Promotion Programs in Korea. Journal of Society of Preventive Korean Medicine. 2014;18(2):1-10.
  9. Ahn SW, Back SR, Kim HJ. The development of Community-based Korean Medical Health promotion program. Korea Institute of Oriental Medicine. 2003:1-458.
  10. Go HY, et al. Study of Efficacy of Gigong Program in Health Promotion Service Programs. J Korean Oriental Med. 2010;31(4):141-50.
  11. Park ES, et al. A Study for Management and Effects of Children’s Care Program with Traditional Korean Medicine in Public Health Center. J Korean Oriental Med. 2012;33(1):52-67.
  12. Yoon IK, Jeon SK, Park JY. A Study on the Efficiency of Sex Education Program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Journal of Korean Practical Arts Education. 2009;22(1):73-92.
  13. Jun KS. A Study on Teachers’ and Students’ Perception on Sexual Education. Cheju National University. 2008:1-100.
  14. Kim DI, et al. Korean Medicine Gynecology & Obstetrics. Seoul: Jeongdam. 2002:32-220.
  15. Kim SY. Effects of Environmental Documentaries on Elementary Students’ Pro-Environmental Attitudes. Seoul National University. 2008:1-93.
  16. Kim HS. Analysis on the Current Status of Sex Education for High Grade Students of Elementary School and Improvement Plan. Yeungnam University. 2008:1-101.
  17. Bae JS, et al. The effect of Semen Sinapsis Albae Pressing on Dysmenorrhea of Women’s University Students. The Journal of Korean Acupuncture & Moxibustion Society. 2005;22(1):165-76.
  18. Park KO, et al. An Effect of Yoga Therapy on Relieving Dysmenorrhea. J. Oriental Preventive Medical Society. 2011;15(2):39-49.
  19. Gim DG, et al. Korean Medicine Pediatrics. Seoul:Jeongdam. 2002:90-3.
  20. Kim HY. The Effects of Natural Sounds-Based Meditation Musics on Middle School Male Students’ aggression. Changwon National University. 2007: 1-58.
  21. An HS, Hong CU. Pediatrics. Seoul: Daehan Publisher. 2006:1022-3.
  22. Lee MJ, Chang GT, Han YJ. The Study for Precocious Puberty in Recent Journals of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J Korean Oriental Pediatrics. 2008;22(1):163-87.
  23. Li f. Diet for Premature Puberty. JiaJiaoZhiNan(Manual of Home Training). 2003:26-7.

Cited by

  1. 중학생, 교사, 학부모 대상 한의사 교의 사업 인식도 조사 vol.21, pp.3, 2017, https://doi.org/10.25153/spkom.2017.21.3.006
  2. 한의사 교의사업 활성화를 위한 한의사 교의 대상 설문조사 vol.22, pp.2, 2016, https://doi.org/10.25153/spkom.2018.22.2.007
  3. 한의사 교의 사업을 통한 소아청소년기 금연 교육의 효용성 연구 vol.32, pp.3, 2016, https://doi.org/10.7778/jpkm.2018.32.3.062
  4. 한의사 교의 사업 활성화를 위한 사업 신청 한의사 대상 설문조사 vol.23, pp.3, 2016, https://doi.org/10.25153/spkom.2019.23.3.0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