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활용한 운동 중 피드백 방식 연구 - 근력 운동에 대한 멀티 모달 피드백 적용을 중심으로 -

Desigining a Feedback for Exercises Using a Wearable Device

  • 유현진 (서울대학교 융합과학기술대학원 융합과학부 디지털정보융합전공) ;
  • 맹욱재 (서울대학교 융합과학기술대학원 융합과학부 디지털정보융합전공) ;
  • 이중식 (서울대학교 융합과학기술대학원 융합과학부 디지털정보융합전공)
  • 투고 : 2016.07.29
  • 심사 : 2016.09.23
  • 발행 : 2016.11.30

초록

현재 피트니스 트래커(fitness tracker)시장은 유산소 운동에만 초점을 맞춰 근력 운동 분야는 상대적으로 소외되어 있다. 최근 근력 운동 피트니스 트래커가 소수 출시되고 있으나, 운동 상황에 대한 고려가 부족하여 사람-기기 간 인터랙션에 불편함을 초래한다. 특히, 운동 중에는 신체의 움직임이 활발하므로, 손으로 기기를 휴대하거나 기기를 조작하는 상황은 사용자에게 부정적 경험을 유발한다.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항시적인 착용이 가능하므로, 손과 발의 사용이 자유로워 운동 중 피드백 제공에 효과적이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통해 피드백을 감각하게 함으로써, 운동 수행자가 효과적인 운동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 연구에서는 다음 세 가지 연구 문제를 검증하였다. 1) 운동 상황에서 필요한 정보는 무엇인가? 2) 근력 운동 중, 어떤 감각 피드백이 선호되는가? 3) 근력 운동 중, 감각 피드백의 가치는 무엇인가? 그 결과, 첫째, 운동 수행자는 운동 단계 중, '운동 중'에 해당하는 정보가 가장 필요하다고 하였으며 '페이스 조절(횟수 카운팅, 동기 부여)'과 '자세 지도(문제점 진단, 자세 교정)'에 해당하는 정보를 가장 필요로 하였다. 둘째, 운동 중 선호되는 감각 피드백에 대해서는 청각 피드백, 촉각 피드백, 시각 피드백 순으로 만족도가 높았으며, 운동 강도가 높을수록 감각 피드백에 대한 만족도가 더 높았다. 셋째, 감각 피드백과 기기 피드백의 가치에 대해 비교한 결과, 기기 피드백과 사람이 제공하는 피드백에 대한 만족도, 유용성, 효용성이 비슷하게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이 연구에서는 근력 운동 중,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활용한 감각 피드백의 디자인 가이드라인을 도출하였으며,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감각 피드백이 사람이 제공하는 피드백을 대체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The landscape of the current fitness trackers is not only limited to the aerobic exercises but also the weight training is comparatively excluded. Recently, a few weight training fitness tracker was released, human-computer interaction was not well designed due to the lack of considering the context. Because body movement would be intense while doing exercises, having exercise performers hold or operate a device makes a negative experience. As the wearable device is always inseparable to body, it could provide effective feedback because holding or operating a device is not necessary.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make the exercise performers feel a natural feedback through the wearable device to do effective exercises. As a result, this study identified three findings. First, the information which exercise performers most needed was 'during exercise.' and the most necessary information for exercise performers through wearable device's sensory feedback was about 'pace control' with counting and motivation. Second, the order of the most preferred presentation type of sensory feedback was auditory feedback, haptic feedback and visual feedback. Third, the satisfaction, utility, usefulness score of sensory feedback as same as the personal trainer's feedback. In conclusion, this study illustrated the feedback design implications using a wearable device while doing weight training and the possibilities that wearable device could be substitute for personal trainer.

키워드

참고문헌

  1. 최수진. 박수준. 정인수. 미래 소비자 중심의 헬스케어의 방향을 제시하는 웨어러블 기기. http://cccr.or.kr/comm/bbs/board.php?bo_table=sub15&wr_id=54. 2016.07.20.
  2. Danova. T. The wearable computing market report. Business Insider. 2014.
  3. IRS Global 편집부. 웨어러블 컴퓨터 개발동향과 시장전 망 및 국내와 참여업체 사업전략. 인천:IRS Global. 2013.
  4. Spelmezan, D. An Investigation into the Use of Tactile Instructions in Snowboarding. Proceedings of MobileHCI '12. ACM. pp. 417-426. 2012.
  5. Oakes, K., Siek, K. A. and MacLeod, H. Musclememory: identifying the scope of wearable technology in high intensity exercise communities. Proceedings of Pervasive Health '15. EAI. pp. 193-200. 2015.
  6. Ananthanarayan, S., Sheh, M., Chien, A., Profita, H. and Siek, K. Pt Viz: towards a wearable device for visualizing knee rehabilitation exercises. Proceedings of CHI '13. ACM. pp. 1247-1250. 2013.
  7. O'Neil, C., Dunlop, M. D. and Kerr, A. Supporting Sit-To-Stand Rehabilitation Using Smartphone Sensors and Arduino Haptic Feedback Modules. Proceedings of Mobile HCI '15. ACM. pp. 811-818. 2015.
  8. Zaczynski, M. and Whitehead, A. Establishing design guidelines in interactive exercise gaming: preliminary data from two posing studies. Proceedings of CHI '14. ACM. pp. 1875-1884. 2014.
  9. Choi, W., Kim, J., Oh, J., Edge, D. and Uichin. Designing group fitness swimming exergames: a case study. Proceedings of ISWC'15. SWSA. pp. 221-224. 2015.
  10. Sigrist, R., Rauter, G., Riener, R. and Wolf, P. Augmented visual, auditory, haptic, and multimodal feedback in motor learning: A review. Psychonomic Bulletin & Review. 20(1). Psychonomic Society. pp. 21-53. 2013. https://doi.org/10.3758/s13423-012-0333-8
  11. Janelle, C. M., Kim, J. and Singer, R. N. Subjectcontrolled performance feedback and learning of a clolsed motor skill. Perceptual and Motor Skills, pp. 627-634. 1995.
  12. 이케가미 하루오. 운동 처방의 실제. 서울:학문사. 2000.
  13. Borg. G. A. Psychophysical bases of perceived exertion. Med-Sci Sports Exercise. 14(5). ACSM. pp. 377-381. 1982.
  14. Pescatello, L. S. and American College of Sports Medicine. ACSM's Guidelines for Exercise Testing and Prescription. 9th ed. Philadelphia: Wolters Kluwer/Lippincott Williams &Wilkins Health. 2014.
  15. Strauss, A. and Corbin, J. M. Basics of qualitative research: Grounded theory procedures and techniques. Sage Publications, Inc. 19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