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ferences
- 강선보, 박의수, 김귀성, 송순재, 정윤경, 김영래, 고미숙. (2008). 21 세기 인성교육의 방향설정을 위한 이론적 기초 연구. 교육문제연구, 30, 1-38.
- 김명순, 김성회. (2012). 대학생용 유교적 인성 척도 개발. 교육학연구. 50(1). 27-53.
- 김명화. (2015). 인성교육을 위한 정의적 특성 평가 재조명,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5(11), 981-1000.
- 김상진. (2002). 청소년의 자원봉사 활동이 자아정체감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한양대학교 대학원.
- 김선주. (2016). 대학생 인성수준 및 요구도에 따른 인성교육 방안에 관한 연구. 인간발달연구. 23(2). 1-19.
- 김승진. (2013). 스포츠클럽 활동에 참여하는 중학생들의 인성과 학업열의 관계 연구. 석사학위논문. 중앙대학교 대학원.
- 김재춘. (2012). 실천적 인성교육이 반영된 교육과정 개발 방향 연구, 교육과학기술정책, 2012. 9.
- 노이경, 정남운. (2007). 인성교육을 목적으로 한 구조화된 집단상담의 성장촉진요인. 한국심리학회지 : 학교, 4(2), 99-123.
- 박성미, 허승희. (2012). 청소년용 통합적 인성 척도 개발. 아동교육, 21(3), 35-47.
- 박소정. (2014). 중학생의 방과 후 학교스포츠클럽 관여에 따른 인성과 공감과의 관계. 석사학위논문. 중앙대학교 대학원.
- 박태인. (2016). 중학생 창의적 체험활동 내 학교스포츠클럽 활동 참여가 인성에 미치는 요인 분석. 석사학위논문. 중앙대학교 대학원.
- 박효정. (2000). 한국 사회의 도덕성 측정을 위한 도덕성 개념 및 덕목요소 추출, 한국교과교육학회, PR 2000-2.
- 방효업. (2000). 고등학생 자원봉사활동의 효과성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고려대학교 대학원.
- 서경혜, 최진영, 노선숙, 김수진, 이지영, 현성혜. (2013). 예비교사 교직 인성 평가도구 개발 및 타당화. 교육과학연구, 44(1), 147-176.
- 성명희, 김은주. (2015). 대학생들의 인성교육 중요도 인식 및 인성발달 수준과 요구도 분석. 윤리교육연구. 38, 177-202.
- 손봉호, 조영달, 이승종, & 김해성. (1999). 연구논문/ 한국의 시민사회와 시민윤리: 규범의식 함양을 위한 시민교육 탐색. 시민교육연구, 28, 1-44.
- 신차균. (2001). 체험중심 인성교육의 이념과 실제. 교육철학, 23, 205-225.
- 안범희. (2005). 미국 학교에서의 인성교육 내용 및 특성 연구. 인문과학연구, 13, 133-169.
- 양순미, 정민자, 오윤자. (2015). 농촌의 다문화와 비다문화 가구 청소년의 인성과 영향 변인 비교. 농촌지도와 개발. 22(4), 365-382.
- 윤정일, 김민성, 윤순경, & 박민정. (2007). 인간 능력으로서의 역량에 대한 고찰: 역량의 특성과 차원. 교육학회지, 45(3).
- 은지용. (2002). 청소년 봉사활동 반성 경험이 시민성에 미치는 효과연구. 석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대학원.
- 이가원. (2003). 봉사활동이 청소년 인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명지대학교 대학원.
- 이강하. (2009). 초등학교 인성교육 실천사례를 중심으로 본 초등학교 인성교육의 특성. 석사학위논문. 창원대학교 대학원.
- 이근호, 곽영순, 이승미, 최정순. (2012). 미래 사회 대비 핵심역량 함양을 위한 국가 교육과정 구상.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 RRC, 4.
- 이영애. (2006). 대학 중도탈락자 예방을 위한 인성교육 프로그램개발. 한국동서정신과학회지, 9, 95-104.
- 이원희, 홍기칠, 김용조. (1999). 초등학교 아동의 정신건강과 인성발달을 위한 심리교육의 이론정립. 초등교육연구, 13(1), 103-134.
- 이전이, 장형심, 조은정. (2015). 의사소통역량에 대한 대학생의 교육요구도 분석. 교육종합연구, 13(1), 1-20.
- 이주희, 최명선, 박희현. (2009). 대학생을 위한 인성교육 프로그램의 효과. 한국인간발달연구, 5(2).
- 이형득. (1996). 대학의 인성교육과 교육 관련 연구소의 역할, 교육학연구, 14, 67-82.
- 이효성, 이용환. (2011). 국내외 역량기반 교육과정 사례 분석 및 시사점. 교육연구, 34, 17-35.
- 임광명. (2016). 대학생의 공동체 의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농촌지도와 개발, 23(2), 157-167.
- 장사형. (2011). 공교육을 통한 인성교육 강화 방안. 교육철학, 43, 193-222.
- 전제아. (2005). 한국 대학에서의 인성 교육 과정 사례 분석. 인간연구, (9), 5-31.
- 정창우, 손경원, 김남준, 신호재, 한혜민. (2013). 학교급별 인성교육 실태 및 활성화 방안. 교육부 정책연구개발사업.
- 조난심, 문용린, 이명준, 김현수, 김현지, 이우용. (2004). 인성 평가 척도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서.
- 조난심, 문용린, 이명준, 김현수, 김현지, 이우용. (2004). 인성 평가 척도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서.
- 조난심, 이종태. (1997). 개인연구/인간 교육의 개념 정립을 위한 연구-현대 사회에서의 인간 교육의 의미와 실천 방향 탐색. 교육철학, 18, 99-123.
- 조연순, 김아영, 임현식, 신동주, 조아미, 김인정. (1998). 정의교육과 인성교육 구현을 위한 기초 연구 1. 교육과학연구. 28(1). 131-152.
- 지은림, 이윤선, 도승이(2014). 인성측정도구 개발 및 타당화. 윤리교육연구. 35, 151-174.
- 지희진. (2013). 대학 교양 인성 교육에 대한 대학생 인식 탐색. 교양교육연구, 7(5), 433-466.
- 진의남. (2012). 학교 교육에서 인성교육의 인식과 개선 요구. 실과교육연구, 18(3), 145-169.
- 최의창. (2011). 운동소양의 함영:전인교육을 위한 초등체육의 목적 재검토. 한국체육학회지 인문사회과학, 50(1), 93-107.
- 최준환, 박춘성, 연경남, 민영경, 이은아, 정원선, ... & 임청묵. (2009). 인성교육의 문제점 및 창의.인성교육의 이론적 고찰. 창의력교육연구, 9, 89-112.
- 한덕규. (2014). 중학생의 학교스포츠클럽 참여가 창의성과 인성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인하대학교 대학원.
- 한은택. (2015). 창의적체험활동 내 학교스포츠클럽 활동 수업에 대한 중학생과 지도교사의 인식 연구. 석사학위논문, 경희대학교 대학원.
- 홍경자. (2004). 청소년의 인성교육. 서울: 학지사
- Nerdrum, P. (1997). Maintenance of the effect of training in communication skills: A controlled follow-up study of level of communicated empathy. British Journal of Social Work, 27(5), 705-722. https://doi.org/10.1093/oxfordjournals.bjsw.a011261
- Borich, G. D. (1980). A needs assessment model for conducting follow-up studies. Journal of Teacher Education, 31(3), 39-42. https://doi.org/10.1177/002248718003100310
- Carr, D. (1997). Character in teaching. British Journal of Education Studies, 55(4), 369-389. https://doi.org/10.1111/j.1467-8527.2007.00386.x
- Hersh, R. H., Miller, J. P., & Fielding, G. D. (1980). Models of moral education: An appraisal. New York: Longman.
- Lickona, T. (1992). Character development in schools and beyond. Washington, DC: Council for Research in Values and Philosophy.
- Lickona, T. (1993). The return of character education. Educational leadership, 51(3), 6-11.
- Maclntyre, A. (2007). After virtue: A study in moral theory (3rd, ed.). Nortre Dame, IN: University of Nortre Dame Press.
- Pearson, Q. M., & Nicholson, J. I. (2000). Comprehensive character education in the elementary school: Strategies for administrators, teachers, and counselors. The Journal of Humanistic Counseling, Education and Development, 38(4), 243-251. https://doi.org/10.1002/j.2164-490X.2000.tb00085.x
- Ryan, K., & Lickona, T. (1992). Character development. The challenge and the model. I K. Ryan & T. Lickona (ed.): Character development in schools and beyond. Washington, DC: Council for Research in Values and Philosophy.
- Spencer, L. M. & Spencer, S. M. (1993). Competence at work; Models for superior performance. New York: John Wiley.
Cited by
- A Study on a Humanity Education Contents for University Students based on the Dietary Norms in 『Sasojeol』 vol.38, pp.None, 2016, https://doi.org/10.21483/qwoaud.38..201712.2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