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스마트전문화 전략 및 트리플헬릭스 혁신체계와 클러스터 정책의 연계를 통한 대안적 지역산업정책의 모색

In Search of an Alternative Regional Industrial Policy by Linking Cluster Policy with Smart Specialization Strategy and the Triple Helix Innovation System

  • 이종호 (경상대학교 지리교육과, 산학협력정책연구소) ;
  • 이철우 (경북대학교 지리학과, 지역개발연구소)
  • Lee, Jong-Ho (Department of Geography Education & Director, The Institute for University-Industry Collaboration Policy,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
  • Lee, Chul-Woo (Department of Geography & Director, Institute of Regional Development,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투고 : 2016.11.24
  • 발행 : 2016.12.31

초록

참여정부 이후에 명시적 및 암묵적 형태의 다양한 클러스터 정책들이 추진되어 왔으나, 산업집적지 경쟁력의 근본적 강화를 위해서 기존과는 다른 새로운 정책적 대안을 모색해야 한다는 의견들이 제기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최근 들어 대안적인 지역산업정책 도구로서 활발히 논의되고 있는 스마트전문화 전략과 트리플헬릭스 혁신체계 이론이 기존의 클러스터 정책과 어떠한 이론적 및 정책적 연계성을 가지고 있으며 대안적 클러스터 정책 수립을 위해 어떠한 함의를 제공하는 지에 대해 논의하였다. 이를 통해, 대안적 클러스터 정책은 지역특수성에 토대를 두고 산 학 관의 자발적 협력에 기초한 혁신의 합의공간(consensus space) 구축을 통해 추진되어야 하며, 지역 대학의 경쟁력 강화와 실질적인 산학협력 활성화를 위한 체계적이고 집중적인 투자와 집적지의 관련 다각화 기반을 활용한 신산업의 육성에 초점을 둘 필요가 있음을 강조한다.

After the participatory government began, various cluster policies in explicit and tacit forms had been promoted. However, an opinion of coming up with new policy alternative different from the existing one is recently brought up for strengthening the competitiveness of industrial agglomerations. This research attempts to discuss the ways in which both a smart specialization strategy and a triple-helix innovation system approach, as an alternative approach to regional industrial policy, are theoretically associated with the existing cluster policy. Through this discussion, it highlights that post-cluster policy should be not just based on regional specificity, but also facilitated by establishing the consensus space of innovation on the bassis of voluntary cooperation among industry, academy and government. It also stresses that it is necessary to focus on nurturing a new industry by systematic and intensive investment and the diversification of industrial cluster for reinforcing competitiveness of local universities and revitalizing practical cooperation between industry and university.

키워드

참고문헌

  1. 강혜정, 2012, 지역산업 클러스터 정책의 최근 동향 및 이슈, 한국과학기획기술평가원.
  2. 남재걸.이종호, 2010, Conceptualizing the engagement of universities in regional development in a knowledge-based society, 한국경제지리학회지 13(1), pp.19-38.
  3. 안영진, 2015, 대학과 기업 간의 협력: 기술이전을 중심으로 한 전남대학교의 사례 분석, 한국경제지리학회지 18(2), pp.190-205.
  4. 유우익, 2004, 지역문화와 축제의 방향성, (사)한국음악협회, 음악계의 현실적 문제와 해결방안의 모색, 제3차포럼, pp.10-15.
  5. 이재훈.석민, THM(Triple Helix Model)이 기업혁신에 미치는 영향력 분석: 대구경북지역의 사회적 자본 신뢰를 중심으로, 한국경제지리학회지 17(1), pp.69-85.
  6. 이종호, 2001, Geographies of learning and proximity: a relational/organizational perspective, 대한지리학회지 36(5), pp.539-560.
  7. 이종호.이철우, 2003, 혁신클러스터 발전의 사회.제도적 조건, 기술혁신연구 11(2), pp.195-217.
  8. 이종호.이철우, 2008, 집적과 클러스터: 개념과 유형, 그리고 관련 이론에 대한 비판적 검토, 한국경제지리학회지 11(3), 302-318.
  9. 이종호.이철우, 2014, 트리플 힐릭스 공간 구축을 통한 클러스터의 경로파괴적 진화: 미국 리서치트라이앵글파크 사례, 한국경제지리학회지 17(2), pp.249-263.
  10. 이종호.이철우, 2015, 클러스터의 동태적 진화와 대학의 역할: 케임브리지 클러스터를 사례로, 한국지역지리학회지 21(3), 489-502.
  11. 이철우, 2002, 도시재생과 문화 정체성, 대구경북개발연구 38, pp.39-44.
  12. 이철우.이종호.박경숙, 2010, 새로운 지역혁신 모형으로서 트리플 힐릭스에 대한 이론적 고찰, 한국경제지리학회지 13(3), pp.335-353.
  13. 이철우.최요섭.이종호, 2016, 국가주도형 산업집적지의 내생적 발전가능성: 구미 IT 클러스터를 사례로, 한국지역지리학회지 22(2), pp.397-410.
  14. 한국지방행정연구원, 2013, 지역주도형 지역산업 육성방안.
  15. Amin, A. & Roberts, J., 2008, The Resurgence of community in economic thought and practice, in Amin, A. and Roberts, J.(eds.), Community, Economic Creativity, and Organization,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pp.11-34.
  16. Etzkowitz, H. & Ranga, M., 2010, A triple helix system for knowledge-based regional develoment: from "spheres" to "spaces", Paper presented at VIII Triple Helix Conference, Madrid, Spain.
  17. Etzkowitz, H., 2012, Triple helix clusters: boundary permeability at university-industry-government interfaces as a regional innovation strategy, Environment and Planning C: Government and Policy 30(5), pp.766-779. https://doi.org/10.1068/c1182
  18. European Commission, 2012, Guide to Research and Innovation Strategies for Smart Specialisation (RIS 3), European Union.
  19. European Commission, 2013, The role of Clusters in Smart Specialisation Strategies, European Union.
  20. European Commission, 2016, Smart Guide to Cluster Policy, European Union.
  21. Foray, D., 2015, Smart Specialisation: Opportunities and Challenges for Regional Innovation Policy, New York: Routledge.
  22. Gertler, M, 2008, Buzz without being there? communities of practice in context, in Amin, A. & Roberts, J.(eds.), Community, Economic Creativity, and Organization,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pp.203-226.
  23. Koschatzky, K. & Stahlecker, T., 2010, The changing role of universities in the German research system: engagement in regional networks, clusters and beyond, Working Paper, Fraunhofer ISI.
  24. Maniam, R., 2013, Roles of Universities in Clusters: The University of Otago and the Dunedin ICT Cluster, Master's thesis, University of Otago.
  25. Mccann, P. and Ortege-Argiles, R., 2011, Smart specialization, Regional Growth and application to EU coherison policy, Economic Geography working paper, Burssel; University of Groningen.
  26. Paytas, J. et al., 2004, Universities and the Development of Industry Clusters, Working Paper, Carnegie Mellon Heniz Business School.
  27. Porter, M., 1998, On Competition, Boston, MA: Harvard University Press.
  28. Potter, J. & Miranda, G. (eds.), 2009, Clusters, Innovation and Entrepreneurship, Paris: OECD.

피인용 문헌

  1. 충주 기업도시의 발전 전략 및 활성화 방안에 대한 연구 vol.20, pp.1, 2016, https://doi.org/10.23841/egsk.2017.20.1.105
  2. 산업환경 변화에 대응한 새로운 산업단지 유형 개발 연구: 네트워크형 산업단지 vol.20, pp.4, 2016, https://doi.org/10.23841/egsk.2017.20.4.522
  3. 트리플 힐릭스와 대학 창업보육의 발전방안 vol.13, pp.3, 2016, https://doi.org/10.16972/apjbve.13.3.201806.99
  4. 유럽의 산업위기지역 지원정책 추진 동향 및 시사점 vol.22, pp.3, 2016, https://doi.org/10.23841/egsk.2019.22.3.24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