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changes of goals and contents of middle school geography education following up the changes in the Korean social studies curriculum over time. The main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From the Syllabus period to the Third Curriculum, geography education, history education, general social studies education in the middle school social studies were directed and managed independently. However from the 4th to the 7th Curriculum, the demand for the virtual integration in middle school social studies increased sharply. Since 2009 revision, social studies suffered an identity crisis as integrated subject matter because history education was separated from the social studies and interdisciplinary units were abolished. In spite of much criticism, however, an odd form of social studies integrating geography and general social studies still remains. Second, the stronger the demand for the social studies integration in middle school, students' social studies learning load had become heavier due to severe competition with other areas to ensure more portion in the integrated structure of social studies. Since geography education did not reflect the new tendency of the geography in the integrated structure of middle school social studies, the gap between the geography and geography education has increased and knowledges of geography growing became separated from students' experience. In conclusion, the integrated structure of social studies in the middle school hindered the geography education development as it limited the autonomy of geography education in terms of curriculum development.
본 연구는 해방 이후 현재까지 우리나라 중학교 사회과교육과정의 변천 과정을 정리하고, 그에 따른 지리교육의 목표와 내용 변화를 통합구조와 수준에 초점을 맞춰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교수요목기부터 제3차 교육과정까지 중학교 사회과교육의 지리, 역사, 일반사회는 분과적으로 운영되었으나 제4차 교육과정에서 제7차 교육과정까지 중학교 사회과교육과정의 실질적 통합 요구가 강해졌다. 2007 개정 교육과정 이후 역사가 사회과교육과정으로부터 과목 독립하고, 학년마다 배치되었던 학제적 통합 단원도 사라지는 등 통합교과로서 사회과교육의 정체성이 흔들렸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지리와 일반 사회만으로 구성된 중학교 사회과의 기형적 통합구조는 여전히 유지되고 있다. 둘째, 사회과 통합에 대한 요구가 강할수록 각 학문영역 간 시수 확보 경쟁 또한 치열해져 학습자의 학습 부담도 증가했다. 그리고 중학교 사회과 통합구조는 지리학과 지리교육의 간극을 점차 벌렸고, 지식과 학생 경험의 괴리도 넓혔다. 이처럼 중학교 사회과 통합구조는 지리교육과정의 목표와 내용 조직의 상위 요인으로 작용하여 의미 있는 지리교육과정을 개발하는데 걸림돌로 작용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