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eographical Implications of Fieldwork Activities of Everyday-Life Space: A Case Study on Fieldwork of Students of An Elementary Teachers College

일상 공간에 대한 답사 활동의 지리 교육적 함의: G 교육대학교 학생들의 답사 활동을 사례로

  • 이간용 (공주교육대학교 사회과교육과)
  • Received : 2016.12.27
  • Published : 2016.12.31

Abstract

This paper is to elucidate geographical implications of fieldwork activities of everyday-life space of students of an elementary teachers college. The students depended mainly on questionaries and interview for gathering data during fieldwork. They had difficulty in processing data to visual-spatial representation, i.e. map, tables, and diagrams. But they were favourable for appling their fieldwork experiences to teaching the elementary geography. This is viewed as an unique behavioral orientation or desirable attitudes of students of an elementary teachers college. On the basis of the self-assessment and peer-assessment of fieldwork activities, it could be ascertained that the students came to understand the geographical value and significance of fieldwork activities. The fieldwork activities made them to heighten their interest of everyday-life space, and so to internalize positive their senses of place, to enforce their identities of place.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we need to develop a systemic contents for fieldwork activities in geography curriculum of elementary teachers colleges.

본 연구는 자신들의 일상 공간에 대한 교육대학교 학생들의 답사 활동에서 나타난 지리 교육적 함의를 고찰한 것이다. 답사 활동에 대한 관찰 결과, 교육대학교 학생들은 자료 수집의 방법으로서 설문지와 면담에 대한 의존도가 높았으며, 수집된 정보를 시각 공간 자료로 변환하거나 가공하는 데 다소 미숙하였다. 그렇지만 교육대학교 학생들은 자신들의 답사 활동 경험이나 결과를 장차 초등 지리 교육에 적극적으로 활용하거나 응용하고자 하였다. 이는 교육대학교 학생들의 학습 활동이나 과제 활동에서 나타나는, 이른바 초등 예비 교사로서의 독특한 행동 정향(定向)의 하나로 주목된다. 답사 활동에 대한 자기 및 동료 평가의 결과, 일상 공간에 대한 답사 활동이 지니는 지리 교육적 가치를 분명히 인식한 유의미한 경험이었다는 점, 자신들의 일상 공간에 대한 관심을 높이고 그 의미를 반추할 기회가 되었다는 점, 나아가 긍정적인 장소감을 내면화하고 장소 정체성을 공고히 하는 계기가 되었다는 점 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교육대학교 지리 교육과정에서 답사 방법론 내용을 더욱 체계화할 필요가 있다는 점을 함의한다.

Keywords

References

  1. 남상준, 1999, 지리 교육의 탐색, 교육과학사.
  2. 류재명, 2002, "도시 지리 교육에서의 학습 활동 개발에 대한 소론," 지리과교육, 4, 한국교원대학교, 119-24.
  3. 류주현, 2004, "지리 교육과 교육과정에서 효과적인 야외 조사 교수.학습 방법,"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12(2), 343-353.
  4. 류주현, 2012, "근대도시 대전으로의 답사 프로그램 개발 및 활용," 한국사진지리학회지, 22(2), 147-160.
  5. 박철웅, 2004, "실제 지형 연구를 통한 야외 학습 요소의 추출과 지도 방안," 한국지형학회지, 11(2), 47-68.
  6. 박철웅, 2013, "지리 교육에서 체험 활동으로서 야외 답사의 함의,"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21(3), 163-177.
  7. 박철웅, 2014, "도시 답사에서 다감각적 경험을 통한 질적 접근,"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22(2), 65-79.
  8. 박희두, 2006, "청주시 일대의 자연 지리 야외 학습장 개발, 한국지형학회지," 13(2), 1-11.
  9. 서태열, 2005, 지리 교육학의 이해, 한울아카데미.
  10. 송언근, 2015, "지리 탐구적 답사를 위한 연수 과정의 구성 -지리교사를 대상으로-,"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23(3), 71-86.
  11. 송언근, 2016, "사전 조사가 탐구적 답사에 미치는 영향,"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24(2), 1-16.
  12. 안재섭, 2013, "지리-역사 장소 답사를 중심으로 한 학습 내용 구성 및 평가 방법," 한국사진지리학회지, 23(1), 61-73.
  13. 오선민.이종원, "2014, 중등학교 지리 답사 연구: 목적, 유형, 계획과 제약 요소,"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22(1), 111-130.
  14. 윤옥경, 2009, "장소 중심의 답사를 통한 지역 이해의 가능성 탐색: 강원도 탄광 지역 답사 실행 연구," 한국사진지리학회지, 19(4), 199-214.
  15. 이간용, 2014, 재미있고 의미있는 지리 학습의 설계, 교육과학사.
  16. 이건학, 2014, "스마트폰과 지리 공간 기술을 활용한 스마 트 지리 답사," 국토지리학회지, 48(2), 257-277.
  17. 이경한, 2016, 사회과 지리 수업과 평가, 교육과학사.
  18. 이민부.김정혁.최훈, 2014, "자연 지리 답사를 통한 지역화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과 운영 -미호천 유역 하천 지형을 사례로-," 한국지형학회지, 21(4), 53-67.
  19. 이의한, 2014, "화천.양구의 야외 답사 코스 개발: 지오파크를 중심으로," 한국지형학회지, 21(1), 51-61.
  20. 이의한, 2016, "인제의 야외 답사 코스 개발 -지오파크를 중심으로-," 한국사진지리학회지, 26(2), 99-110.
  21. 이종원, 2011, "도해력 다시 보기: 21세기 도해력의 의미와 지리 교육의 과제," 한국지리환경학회지, 19(1), 1-15.
  22. 이종원, 2014, "영국 초.중등학교 지리 과목의 야외 조사 활동 분석," 비교교육연구, 24(4), 1-27.
  23. 이종원.함경림.김보경, 2007, "워크북 스타일 답사 자료집의 개발과 적용,"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15(4), 345-361.
  24. 임은진, 2011a, "지리과 야외 학습 모델 개발 및 적용," 한국사진지리학회지, 21(4), 39-51.
  25. 임은진, 2011b, "사회과 야외 학습에 대한 학습자 태도 연구, 사회과교육," 50(4), 215-226.
  26. 임은진, 2011c, "장소에 기반한 자아 정체성 교육,"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19(2), 25-239.
  27. 정문성.김동일, 1999, 협동 학습의 이론과 실제, 형설출판사.
  28. 조철기, 2014, 지리 교육학, 푸른길.
  29. 허은경, 2002, "지역 조사 프로젝트 학습의 설계 및 적용에 관한 연구,"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10(2), 61-81.
  30. Bailey, P., 1974, Teaching Geography, Newton Abbot: David and Charles, UK.
  31. Balchin, W., 1972, Graphicacy, Geography, 57.
  32. Bland, K., Chambers, B., Donert K., and Thomas, T., 1996, Fieldwork, in Baily, P. and Fox, P.(eds), Geography Teachers's Handbook, Sheffield: The Geographical Association.
  33. Daugherty, R.(eds), 1989, Geography in the National Curriculum: A Viewpoint from the Geographical Association, Sheffield: The Geographical Association.
  34. Lidstone, J., 1988, Teaching and learning geography through Fieldwork, in Gerber, R. and Lidstone, J.(eds), Developing Skills in Geographical Education, Brisbane: IGUCGE, 53-59.
  35. Parkinson, A., 2009, Fieldwork-an essential part of a geographical education, Geographical Association, UK, 1-6, http://www.geography.org.uk/resources/fieldwork/ga_fieldworkentitlementguidancev2[1].
  36. Pawson, E. and Teather, E. K., 2002, Geographical expedition: Assessing the benefits of a student-driven fieldwork method, Journal of Geographical and Environment in Higher Education, 26(3), 275-289. https://doi.org/10.1080/0309826022000019864
  37. Sauer, K. O., 1956, The education of a geography, AAAG, 46(3), 287-299.
  38. WASSCE/WAEC, 2015, Geography syllabus 2015-2016, http://www.larnedu.com/wassce-waec-syllabu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