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andform and Environment in Border Region of N. Korea and China

북중 접경 지역의 지형과 환경

  • Received : 2016.12.29
  • Published : 2016.12.31

Abstract

This study is to suggest landform and environmental problems of border region of N. Korea and China by analyzing results of field work for the Dumangang and the Amnokgang from year 2000 up to year 2016. By the social system in North korea, access of study material is possible with satellite image and published statistical data, but impossible direct data collection. We gathered field work data on landform and environment in border Region of N. Korea and China. Before field survey, we analysed geometrical landform and geology using DEM and digital geology map. We analyzed landform and environmental problems occurring in upper, midstream, and downstream region of the Dumangang and the Amnokgang using field work data. Resultingly, this study will be expected to support as basic data for resonable management on natural resources and empirical research activities on North Korea.

본 연구는 2000년부터 2016년까지 두만강 압록강 지역의 현지답사 결과를 분석하여 북중 접경지역의 지형과 환경문제를 제시하고자 한 것이다. 북한의 특수성으로 인해 인공위성이나 통계를 활용한 자료 수집은 가능하나 직접적인 자료 수집에 한계가 있다. 연구는 북중 접경 지역 답사를 통해 지형과 환경문제에 대한 현지 자료를 수집하였다. 현지 조사에 앞서, 수치고도모델과 지질도 분석을 통해 북한 전역에 대한 지형 및 지질 분석을 실시하였다. 현지답사 결과 이용하여 두만강, 압록강 유역의 상류, 중류, 하류에서 나타나는 지형과 환경 문제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향후 북한에 대한 실증적 연구 및 통일 대비 북한의 자연자원의 합리적 관리를 위한 기초 연구 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김갑덕.이승호.김길민, 1989, "Landsat TM data와 흑백 적외선 항공사진을 이용한 임상구분에 관한 연구," 한국임학회지, 78(3), 263-273.
  2. 김광래.이종성, 1998, "원격탐사자료를 이용한 서울시 토지피복의 시계열 변화량 추출," 국토계획, 95, 363-374.
  3. 김남신, 2011, "시뮬레이션에 의한 백두산 화산분출 영향범위 분석," 한국지역지리학회지, 17(3), 348-356.
  4. 김두일.한 욱.정상조, "1998, 위성 영상을 이용한 황해도 농촌 지역의 토지이용 변화 연구," 지리학연구, 32(4), 135-146.
  5. 김지은, 2002, DEM을 이용한 조계산 산림식생의 공간적 분포 분석, 순천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6. 김철민, 1991, "Landsat TM 데이터와 수치지형모델을 이용한 산림분포 해석에 관한 연구 - 금오산 지역을 중심으로 -,"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7. 대한지질학회 편, 1999, 한국의 지질, 시그마프레스.
  8. 박경석.이성연.박소영, 2009, "1990년대 경제난 이후 북한 산림관리 변화 연구," 통일문제연구, 21(1),459-492.
  9. 성효현.박옥준, 2000, "토지피복 변화에 따른 식생지수 (NDVI)분포 및 변화에 관한 연구: 성남시를 중심으로," 한국GIS학회지, 8(2), 275-288.
  10. 연상호, 1990, 리모트 센싱과 GIS의 종합 및 그 적용기법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1. 이금삼, 1999, DEM을 이용한 한반도 지형의 계량적 특성과 기반암질과의 관계분석, 경북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2. 이민부.김남신.강철성.신근하.최한성.한 욱, 2003a, "다시기 위성영상을 이용한 두만강 하류지역의 농경지 개간의 공간적 특성 분석," 대한지리학회지, 38(2), 630-639.
  13. 이민부.김남신.강철성.신근하.최한성.한욱, 2003c, "북한 회령지역의 농경지 변화에 따른 토양침식 추정," 한국지역지리학회지, 9(3), 373-384.
  14. 이민부.김남신.최한성, 2004, "수치고도모델을 이용한 북한지역의 지형분석," 한국지형학회지, 11(1), 53-63.
  15. 이민부.김남신.최한성.신근하, 2003d, "GIS와 RS를 이용한 토지피복 및 식생 분포의 시,공간적 변화 -평안북도 서부 지역을 중심으로 -," 대한지리학회지, 38(5), 835-848.
  16. 이민부.김남신.최한성.신근하.강철성.한욱, 2003b, "위성영상 분석에 의한 만포-강계 지역 경지확대에 따른 산림경관 변화," 한국지역지리학회지, 9(4), 481-492.
  17. 이민부.김남신.이광률.한욱, 2005, "Quick Bird 영상을 이용한 북한 서해안 구릉지 개간에 따른 지표 침식 분석," 한국지역지리학회지, 11(4), 453-462.
  18. 이민부.김남신.김석주.김애분.주철, "2011,북한 무산시와 회령시의 토지이용 변화에 따른 생태서비스 가치 연구," 한국지역지리학회지, 17(4), 493-504.
  19. 이민부.이광률.김남신, 2009, "북한 지역 동해안과 서해안 평야의 지형 환경 변화 -안주평야와 함흥평야를 중심으로-," 한국지역지리학회지, 15(2),179-191.
  20. 이승호, 1992, Landsat 화상자료를 이용한 산림식피 변화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1. 조명희, 1990, Landsat TM 영상을 이용한 토지피복분류: 낙동강 하구지역을 사례로, 경북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2. 통일원, 1993, 북한지지요람, 통일원.
  23. 평화문제연구소, 2006, 조선향토대백과사전, 함경북도 (1,2).
  24. 황순욱, 1997, NOAA/AVHRR 자료를 이용한 북한 지역 지피식생 및 농경지 모니터링,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5. Bentz, B. J., Regniere, J., Fettig, C. J., Hansen, E. M., Hayes, J. L., Hicke, J. A., Kelsey, R. G., Negron, J. F., and Seybold, S. J., 2010, "Climate change and bark beetles of the western United States and Canada: direct and indirect effects," BioScience, 60, 602-613. https://doi.org/10.1525/bio.2010.60.8.6
  26. Bradshaw, W. E., and Holzapfel, C. M., 2006. "Evolutionary responses to rapid climate change," Science, 312, 1477-1478. https://doi.org/10.1126/science.1127000
  27. Cardoza, Y. J., Mose, J. C., Klepzig, K. D., and Raffa, K. F., 2008, "Multipartite symbiosis among fungi, mites, nematodes, and the spruce beetle, Dendroctonus rufipennis," Environmental Entomology, 37, 956-963. https://doi.org/10.1093/ee/37.4.956
  28. Hobbs, R. J., 2016. "Degraded or just different? Perceptions and value judgements in restoration decisions," Restoration Ecology, 24, 153-158. https://doi.org/10.1111/rec.12336
  29. Hobbs, R. J., Arico, S., Aronson, J., Baron, J. S., Bridgewater, P., Cramer, V. A., Epstein, R. R., Ewel J. J., Klink, C. A., Lugo, A. E., Norton, D., Ojima, D., Richardson, D. M., Sanderson, E. W., Valladares, F., Vila, M., Zamora, R., and Norton, D., 2006, "Novel ecosystems: theoretical and management aspects of the new ecological world order," Global Ecology and Biogeography, 15, 1-7. https://doi.org/10.1111/j.1466-822X.2006.00212.x
  30. Hofstetter, R. W., Cronin, J. T., Klepzig, K. K., Moser, J. C., Ayres, M. P., 2006, "Antagonisms, mutualisms and commensalisms affect outbreak dynamics of the southern pine beetle," Oecologia, 147, 679-691. https://doi.org/10.1007/s00442-005-0312-0
  31. Lee, M-B, 1993, "Diffusion equation models for geomorphic dating,"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28(4)(English Ed.), 285-296.
  32. Kolbek, J., and Jarolimek, I., 2013, "Vegetation of the northern Korean Peninsula: classification, ecology and distribution," Phytoeoenologia, 43, 245-327. https://doi.org/10.1127/0340-269X/2013/0043-0544
  33. Kim, S-J et al., 1993, Geology of Korea, Foreign Languages Book, Publishing House, Pyong-yang.
  34. Mucina, L., Dostalek, J., Jarolimek, I., Kolbek, J., and Ostry, L., 1991, "Plant communities of trampled habitats in North Korea," Journal of Vegetation Science, 2, 667-678. https://doi.org/10.2307/3236177
  35. 한국지질자원연구원, http://gmap.kigam.re.kr/
  36. 김천, 위성 원격탐사자료를 이용한 북한 홍수피해지역의 환경계측, http://krsc.kigam.re.kr.
  37. Soil Erodity Factor, http://mepas.pnl.gov.